파인만 알고리즘

이런거..

1 소개

이 세상의 어떠한 어려운 문제도 간단히 해결할 수 있게 해 주는 우주 최강의 무적 알고리즘이다.

The Feynman Problem-Solving Algorithm:

(1) write down the problem;
(2) think very hard;
(3) write down the answer.

(번역)

파인만의 문제해결 알고리즘:

(1) 문제를 쓴다.
(2) 매우 깊게 생각한다.
(3) 답을 쓴다.


물리학자 리차드 파인만이 썼다는 문제해결 알고리즘. 오직 파인만에게만 적용되기 때문에 '파인만 알고리즘'이라 한다.
우리같은 평민들은 어이 살라고
파인만 IQ는 125밖에 안 됐음. 우리모두 해봅시다

(2)에서 막히는 경우는 (4)로 분기한다.

(4) 잠을 잔다.
(5) 다시 깊게 생각한다.
(6) 답을 쓴다.

(5)에서 막히면 다시 (4)로가면 된다.
참 쉽죠를 연상하게 하는 알고리즘이다...

2 누가, 왜 말했는가?

이 알고리즘은 파인만이 말한 게 아니다. 간혹 파인만이 스스로 말한 걸로 아는 사람들이 있는데, 같은 물리학자이며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머리 겔만이 말해서 유명해졌다. 이걸 알고 들으면 이 농담 뒤에 약간의 날선 비꼼이 느껴지는데, 겔만은 사적으로는 파인만과 친하고 직장 동료이기도 했으나 그만큼 앙숙으로도 유명했다. 일단 두 사람은 성격부터가 천지차이였는데, 권위를 싫어하고 자유분방한 파인만에 비해 겔만은 항상 양복을 입고 다니며 품위를 중시하는 등 귀족적인 성격의 소유자였다.

거기에 겔만은 파인만에게 열등감을 가지고 있었다. 본인 역시 대단한 천재에 업적도 대단한 겔만이었지만 [1] 파인만이 학계에서 자신보다도 조금 더 위로 대우받고, 대중적인 인기에서는 비교가 안 되는 것을 보며 불편해 했던 인물이다. 겔만이 파인만에게 가진 열등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는 파인만의 친한 친구였던 그가 파인만의 장례 후 고인 드립성의 인터뷰를 했던 것이다. 겔만은 파인만 사후 '그는 전설적인 일화들을 만들어내 자신 주위에 둘렀다. 그를 통해 그는 스스로 구름 위에 있는 신적인 존재처럼 보이고 싶어했다' 라는 발언을 했다. 이후에도 파인만이 어떤 학자였냐고 묻는 질문에 '그는 자기홍보가 뛰어났다' 라고 대답할 정도였다.

결정적으로 겔만은 물리학에 접근하는 방법이 파인만과는 전혀 달랐는데, 직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파인만에 비해 겔만은 철저히 수학적인 방법론으로 물리학에 다가가는 철두철미한 방법론의 소유자였다. 때문에 파인만과도 수시로 크고 작은 논쟁을 벌였는데 일단 겔만은 직관을 활용하는 파인만의 방법론에 거부감을 가졌고 파인만은 그런 겔만을 계속 놀려먹었다. 그리고 파인만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고 있으면 알겠지만 파인만의 장난은 당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상당히 괴롭다. (...)

즉 위의 발언은 파인만을 칭찬하거나 찬양, 혹은 이전 항목에 적혀 있던 것처럼 일반적인 문제 해결 과정을 도식화 하려던 게 아니다. 그냥 파인만을 까려고 한 발언이다. 직관으로 문제에 접근하는 그의 방법론이 까놓고 말해 찍기랑 뭐가 다르냐? 운 좋게 몇몇 결과 좋게 주워섬긴거지. 라고 비난하는 것. 실제로 겔만이 파인만을 비판할 때에는 말만 좀 점잖지 앞의 어조와 크게 다를 게 없었다.

물론 그렇다고 겔만이 파인만을 완전히 무시한 것은 아니다. 겔만은 학자로써의 파인만을 존중했고 그에게 놀림당하는 것을 질색하면서도 파인만이 있기 때문에 칼텍에 교수로 갔다. 공동 연구 역시 여러 번 진행했고. 다만 겔만의 자존심이 자극당할 때마다 그는 과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파인만에 대한 비꼬기나 이런 발언 역시 그런 과잉반응 중 하나다.

3 일상 적용

사실 이 이야기를 겔만이 했다는 뒷배경만 제외하고 나면 지당한 말이다. 모든 문제는 문제를 문제로서 인식하고, 깊이 숙고하는 과정을 거쳐야 해결할 수 있다는 말이기 때문. 보통 사람들이라도 문제 해결에 있어서 휴식을 취한다거나 잠을 잔다거나 하여 잠시 쉬는 것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즉 사실 이 알고리즘은 문제 해결의 아주 전형적이고 보통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방법이다. 하필이면 파인만이 얘기해서 전혀 공감을 못할 뿐이지 파인만이 얘기한거 아니라고

유명한 일화는 꿈에서 뱀을 보고 벤젠 고리를 발견한 케쿨레의 일화가 있으며, (4)번을 휴식을 취한다는 좀 넓은 의미로 받아들이면 목욕을 하다가 유레카를 외친 아르키메데스가 있다. 심리학에서 이렇게 휴식을 취하다 문제 해결의 기발한 착상이 떠오르는 현상을 연구하기도 했으며, 이 현상을 '아하 효과' 또는 '유레카 효과'라고 부른다. 정신의학적인 측면에서는, 휴식을 취하는 동안에도 무의식의 영역에서 계속 그 문제를 연구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순간 해결책이 떠오르는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알고리즘의 1번 스텝인 "문제를 쓴다"에 주목하는 의견도 있다. 난제에 부딛쳤을 때 문제를 한 번 적어 보지도 않고 머리속으로만 복잡하게 생각하며 고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문제를 한 번 적어 봄으로써 생각을 정리하고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것. 노스모크 위키의 파인만문제해결법 항목에서도 이러한 의견이 개진되었다.
  1. 가장 유명한 것 하나만 대보면 머레이 겔만은 쿼크의 존재를 증명한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