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푸드

게임에 대해서는 패스트푸드(게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이름 그대로 빠른 음식이라는 뜻이다. 좁은 의미로는 공장에서 생산된 반조리 재료를 사용하여 조리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한 음식류를 가리킨다. 현대적인 의미의 음식인 공장식 체인점 만으로 따지자면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적은 수의 종업원으로 많은 수의 손님에게 빠른 시간 내에 균일한 맛의 음식을 싼 가격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졌으며 발상지는 미국이다. 중국어로는 '콰이찬'(快餐)[1]이라고 한다.

맥도날드 같은 익히 알려진 공장식 체인점뿐만 아니라 김밥 같은 종류의 음식도 한국 요리 쪽에 가까워서 아니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패스트푸드의 범주에 들어간다. 넓은 의미에서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인스턴트 라면이나 냉동 또는 레토르트 식품, 편의점 김밥도 패스트푸드인 것이다. 누들로드에서는 국수가 인류 최초의 패스트푸드라고 한다. 면류의 특성상 준비만 되어있다면 바로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잘 모르겠다면 일본 라멘집이나 잔치국수를 보면 된다. 주문하면 만 삶아서 국물에 말아서 바로 나오기에 대단히 빠르다. 일본스시(초밥)도 고급, 건강식, 장인 이미지가 강해서 좀 다르게 느껴지지만 사실 패스트푸드로서 발전한 음식이며 여전히 일본 현지에서는 그런 경향이 있다. [2] 어떻게 만드는지 생각해보면 사실 햄버거나 김밥보다 더 빨리 나오고 더 빨리 식사를 끝낼 수도 있는 것이 스시다. 그리고 회전초밥은 패스트푸드로서의 성격을 더욱 극대화한 방식이다.

2 특징

패스트푸드의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접객 서비스를 최소화하여 인건비를 줄인다.
  • 음식의 재료를 단순화, 공통화하여 조리 과정을 단순화하고 유통, 보관 비용을 줄인다.
  • 음식의 맛을 균일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역사

2차 대전 후 호경기이던 50년대에 발흥하여 1960년대에 급격하게 대자본화하여 숫자가 늘어났다. 1970년대부터 전세계에 퍼지기 시작했다. 각국의 경제개발 시기와 세계화에 맞춰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으나, 2000년대를 전후해서 환경문제, 채식주의 같은 웰빙 열풍 등으로 공공의 적으로 지목받아 성장이 주춤해진 상태. 이러한 공격 직후에는 저칼로리 메뉴나 양이 적은 스낵류를 전면에 내세워서 돌파구를 찾으려 했으나, 이미 뿌리깊에 박혀버린 정크푸드 이미지를 뽑아내는 것은 실패했다.(사실이기도 하고) 2010년대 들어서는 오히려 패스트푸드를 혐오하는 사람들을 고객으로 하기보다는, 패스트푸드를 좋아하는 사람들을 붙잡는다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여 오히려 더욱 더 양과 칼로리를 늘린 제품들을 출시하는 경향이 보인다.

4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패스트푸드라 살찐다?

편의성이라는 측면에서 상당히 좋은 점이 보이는데, 대부분의 상점/음식점에서 와이파이화장실 등을 유료로 제공하는 지역에서도 패스트푸드점은 무료로 개방해주는 경우가 많다. 알뜰한 여행자들의 소중한 쉼터이기도 하다. 또한 세계 어디서나 맛이 비슷하기 때문에 현지식에 질리거나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에도 좋은 편이다. 이러한 점에서는 스타벅스 같은 곳도 유사한 편.

미국에서는 자동차에서 내리지도 않고 음식을 주문하면 바로 건네주는 곳도 영화에서 자주 언급된다. 이런 방식으로 파는 곳을 드라이브 스루(Drive-thru)라 하는데, 한국에도 이런 곳이 많다.

일부에서 반대 의미라고 내놓은 단어로 슬로우푸드가 있다. 의미로만 따지자면 조리되지 않은 재료를 시간을 들여 조리하는 보통 음식이다. 신안주가 언급된 레모라는 영화에서 사부는 그걸 먹으면 무덤으로 가는 길이 빨라지기 때문에 패스트푸드라고 말했다. 밥 다해놓고 냉장고에서 꺼내먹는 건? 그래서 정크 푸드라고 불리기도 한다.

선진국의 상류 사회에서는 상당히 곱지 못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음식이기도 하다. 정크 푸드의 이미지 때문에 스스로 잘 소비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지역에 패스트푸드 점포가 들어오게 되면 그만큼 저소득층이 많이 들어올 여지가 생긴다는 이유로 혐오하는 편. 하지만 정작 저소득층은 패스트푸드 점포보다는 월마트의 입점과 관련이 있다. 월마트에선 식료품에 한해 푸드 스탬프 사용이 가능하며, 고용계층 또한 저소득층에 의존하기 때문.

5 패스트푸드와 계층

전통적으로 패스트푸드는 가난한 저소득층과 서민층이 주로 찾는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미국 UC데이비스 보건학과의 폴 레이 교수에 의하면 서민층보다는 오히려 중산층이 패스트푸드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산층 중에서도 하위 중산층[3] 이 패스트푸드를 좋아하며 이유는 수입은 충분하지만 패스트푸드의 편리함과 저렴함 때문이라고 한다. 반면에 서민층이나 빈곤층은 패스트푸드점의 세트메뉴조차 가격에 부담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이것을 연구한 교수에 따르면 그들은 가장 간단한 사실을 인지하지 못 해서 위의 편견이 생긴것 같다고 했다. 바로 미국의 저소득층은 정부에서 푸드 스탬프이라고 쿠폰 형태로 음식을 지원받는데 패스트 푸드는 이 푸드 스탬프으로 지원해주지 않는다. 한마디로 저소득층은 미국 정부가 지정해주는 푸드 스탬프에 있는 음식을 먹는다, 그 사람들은 그렇게 식품 지출비용을 0가까이로 유지해야만 간신히 쪼들리지 않고 생활할 수 있다고 한다. 과거에는 일부 식당에서 푸드 스탬프를 사용할수 있었던 경우가 아주 잠깐동안 있었다고하나, 보통 푸드 스탬프는 식료품점에서만 적용되는 상황. 만약 식료품점에서 튀긴닭, 냉동피자등의 패스트푸드를 취급한다면 구입이 가능한건 사실이다.

실제로 아프리카나 중남미, 아시아, 유럽... 다양한 개발도상국들을 여행한 이들의 증언을 봐도 현지 서민들이 정말로 패스트푸드에 온가족이 가는 게 1년에 1번 정도 생일잔치때나 큰 맘먹고 가는 수준이며 현지인 밥 몇 끼를 사먹을 돈이 드는 만만치 않은 경우도 있었으며 때론 패스트푸드에 중무장한 경비원까지 있는 경우를 봤다고 한다. 실제로 한국방송에도 슈트 입은 경호원에 으리으리한 인테리어의 캄보디아 케이에프씨가 나온 적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90년대 초중반 피자, 돈가스, 3분요리도 고급음식 취급이었다는 걸 생각하면 빠르다.

6 한국의 패스트푸드

패스트푸드는 그 특성상 규격화, 체인화가 잘 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매장 분위기나 맛이 국가마다 비슷한 편이다. 그래서 한국의 외국 브랜드 패스트푸드를 외국 매장과 비교했을 때 지역 특화 메뉴 몇 개를 제외하면 다른 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대한민국에는 1979년서울 중구 소공동에 롯데리아 1호점이 들어선 이래로 오늘날처럼 발전되어 왔다. 패스트푸드 시장의 형성기였던 1980년대에는 아메리카나, 빅보이, 웬디스, 달라스, 메드리아, 버거잭 등 다양한 국내/해외 브랜드가 난립하며 경쟁을 벌였다. 맥도날드1988년을 기점으로, 하디스1990년을 기점으로 한국에 진출하였다.

90년대 중반에 들어 소득의 증대, 패밀리 레스토랑 업체의 발전 등으로 인해 패스트푸드 산업은 재편기를 겪는다. 98년 말부터 2000년까지는 패스트푸드 브랜드들이 대규모 할인 행사로 출혈 경쟁을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다. 이 시기 중소 규모 브랜드가 시장에서 도태되었고, 하디스, 웬디스 등 일부 외국계 브랜드는 미국 본사와 한국 현지 운영사와의 마찰로 인해 운영을 종료하였다. 2016년 현재 대한민국의 패스트푸드 체인은 맥도날드, 롯데리아, 버거킹, KFC, 파파이스, 맘스터치 등 6개 체인으로 좁혀진 상태다.

2000년대에는 이런 움직임에 발맞추기 위해 고급화 전략을 사용한 크라제버거 등의 브랜드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또한 햄버거나 닭튀김 위주의 기존 패스트푸드와는 달리 멕시코 음식을 주제로 삼은 타코벨, 피타를 위주로 판매하는 피타핏 등 다양한 외국 브랜드, 또한 비비고, 밥이답이다 등 한식을 패스트푸드화한 브랜드도 생겨나고 있다.

한가지는 케찹을 넣을 용기를 제공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것. 롯데리아, KFC, 버거킹 등 메이저한 브랜드의 경우에는 전멸... 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용기를 제공했지만, 어느 순간부터 사라졌다. 미국의 경우만 하더라도 당연히 대부분 용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른 진짜 문제점은 많은 경우 쟁반 위에 깔린 종이에 케찹을 짜서 찍어 먹는다는 것. 종이에 인쇄된 잉크 성분은 먹으라고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참고로 식품과 접촉하는 포장지의 경우 법적으로 인쇄되지 않아야 하며 반드시 지정된 코팅처리를 해야 한다. 이걸 생각하면 얼마나 막장인지 알 수 있다. 그나마 최근에는 뒤가 구렸는지 종이에서 조막만한 영역을 인쇄 안 하고 거기다가 케찹을 뿌려 먹으라는 개소리 문구를 써놓았다.(...) 심지어 L모 브랜드의 경우에는 인쇄면에 음식물이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하세요라는 문구까지 써놓았다. 업체가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다는 이야기. 그래도 저런거 신경 안쓰고 인쇄면에 찌익 짜서 찍어먹는 사람이 더 많다는게 문제지만. 그나마 좀 신경쓰는 사람들은 감자튀김 포장이나 햄버거 포장, 아니면 음료수 뚜껑에 짜놓고 먹는다.

7 기타

FOOD_MAFIA.jpg
각 브랜드를 마피아에 빗댄 것. 출처

Robert "JACK IN THE" BOXRON "The DON" McDONALD
With Grimace and Birdie
B.K. "The KING"
"WENDY" Gwendolenthe
FAST FOOD
MAFIA
"The COLONEL" SANDERS
"PAPA" JOHN"LITTLE" CAESAR
"PANDA" CHERNG
and Pan-Pan
"CHIHUAHUA" CARLITOTROY "The TROJAN"
and Katie
"Baby Face" BoBThe Subway Boys"QUEEN" D.Q.

버거킹의 왕은 2011년 8월 폐지암살당했고, 써브웨이의 아저씨는 아동 포르노성폭행 건으로 종지부를 찍었다.

8 나무위키에 등록된 패스트푸드

9 나무위키에 등록된 업체

※ 치킨은 치킨/가게 목록 항목을 참조.
모스버거, 크라제버거, 프레시니스 버거 등은 흔히 '수제 버거'라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패티를 매장에서 직접 만드는 게 아니라 반조리 상태의 제품을 납품받아서 쓰기 때문에 패스트푸드 음식점에 가깝다.

9.1 한국에서 영업 중인 외국 브랜드

콤마 옆은 국내 운영사다. '한국 지사'는 본사에서 직접 직영으로 진출한 경우고, 그 외는 국내 기업에서 라이선스를 받아 들여온 경우다.

9.2 한국에서 영업 중인 한국 브랜드

  • 뉴욕버거
  • 도니버거
  • 맘스터치
  • 롯데리아: 일본 롯데리아와는 경영 관계로나 운영상으로나 별개의 기업이다.
  • 밸런스버거
  • 아메리카나
  • 크라제버거/베러버거: 삼양식품에 매각되었다.
  • 한솥: 규격화된 제품에 튀김 등의 간단하고 빠른 조리 등의 특징이 있어 일종의 패스트푸드라고 볼 수 있다.
  • BHC: 일단은 배달치킨이 메인이지만 버거 3종을 초창기부터 지금까지도 팔고있으며 콜팝은 BHC를 대표하는 패스트푸트형 음식이다. 단지 치킨집이라는 인식이 강해서 다들 알아채지 못할 뿐. 다만 햄버거를 파는 점포는 드물다.

9.3 폐업/철수한 한국 브랜드

  • 버거앤쉐이크
  • 더블유버거
  • 프레쉬 버거: 프레시니스 버거가 한국에서 철수할 당시, 국내 법인을 할리스 커피에서 인수하여 브랜드를 프레쉬 버거로 바꾸었다. 그러나 이 역시 성과가 좋지 않아 사실상 브랜드를 버린 상태.
  • 달라스: 본사가 90년대 말 이래로 프랜차이즈 관리를 포기하고 패티생산에만 집중하고 있다. 현존하는 지점이 전국 통틀어 5개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패티공급 외에는 본사와의 관계가 없다시피 하므로 폐업/철수한 케이스라 봐도 무방하다.
  • 위너스버거: 한국에서 웬디스를 운영하던 '웬코'에서 웬디스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독립한 브랜드. 현재 웬코는 우일로 이름을 바꾸어 '위너스치킨'을 운영하였으나 이마저도 말아먹었다.

9.4 외국에서 영업 중인 브랜드

9.5 가공의 브랜드

10 관련 항목

  1. 성룡 주연의 영화 '쾌찬차'의 쾌찬이 바로 이 의미다.
  2. 물론 비싸고 격식 차리고 서두르지 않는 고급 스시집도 일본에는 많다.
  3. 잘사는 노동계층과 조금 못사는 중산층에 위치한 사람들, 한마디로 소시민 계층의 사람들이 가장 즐겨먹는다고 되어 있었다.
  4. 2010년 기준 미국에서 최저 시급은 7불 정도인데 맥도널드 빅맥 세트는 6불 정도였으니 확실히 부담스러운 가격이다.
  5. Quick. 벨기에의 햄버거 브랜드.
  6. Arby's 미국의 햄버거 브랜드
  7. 핀란드의 햄버거 브랜드. 본진에서의 인기만큼은 맥도날드 그 이상이다. 러시아를 중심으로 발트 3국, 우크라이나, 독일 등지에 진출했다.
  8. Nordsee. 독일에서 영업중인 세계적으로도 전례가 많지않은 해산물 패스트푸드전문점. 독어로 북해라는 뜻이다. 나름 사세가 작지않아 오스트리아를 위시한 동유럽 몇몇 국가에도 진출하고 해산물과는 영 거리가 있어보이는 두바이에도 진출했다.
  9. 자카예프 공항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