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토리오/Bob's Mod

1 개요

게임 팩토리오의 대형 모드 중 하나인 Bob's Mod에 대해 서술하는 항목.

Bob's mod를 오리지널 팩토리오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점은 현실성복잡함이라고 할 수 있다. 오리지널 팩토리오는 철/구리/석탄/석유/돌을 자원으로 이용하지만 Bob's mod에는 원재료 상태로 등장하는 자원이 15가지에 달한다. 또한 단순히 자원만 많아지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제조 공정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어 플레이어의 흥미를 자극한다. 가령 회로기판 하나를 만든다고 해도 석탄에서 뽑아낸 탄소, 납판을 가공해 만든 땜납, 회로기판의 베이스가 될 나무판을 요구하는 등 이러한 과정이 단순화되어 있는 오리지널 팩토리오에 비해 상당히 현실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들을 이해하면서 외계인도 막아내야 하니 초보자에게는 버거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팩토리오를 처음 접한다면 본편을 먼저 클리어한 다음에 이 모드에 도전하는 것이 좋다.

물론 그저 복잡해진 것이 다가 아니다. 게임이 진행될수록 거의 모든 게임 시스템들의 강화 버전이 제공되며, 따라서 기존 팩토리오와는 차원이 다른 막대한 물동량과 자원의 홍수를 체험할 수 있다. 상위버전의 드릴, 모듈화되고 강화할 수 있는 로봇 포트, 더 빨라지고 오래가는 물류 드론, 그리고 결정적으로 모든 슬롯에 장착할 수 있는 8단계로 강화된 생산성 모듈[1]과 갓 모듈이 그 주역이 된다.

팩토리오 위키의 Bob's Mod 항목에서도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1 설치 방법

원글 혹은 드롭박스에서 설치용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드롭박스에 있는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 받는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팩토리오가 설치된 폴더[2] 의 Mod 폴더에 집어넣는다. 단 압축을 풀지 말고 넣어야 한다.
  • 팩토리오를 실행한 후 메인 메뉴의 모드창에서 모드가 잘 적용되었는지 확인한다.

덤으로 한글을 포함한 언어팩.

2 오리지널 팩토리오와 달라진 점

  • 새로운 광물의 추가. 철, 구리 외에 주석, 납, 니켈, 석영, 텅스텐, 아연, 금, 은, 보크사이트, 코발트, 금홍석, 보석 원석 등의 광물이 새롭게 추가된다. 니켈의 경우, 기본적으로 납을 캐면 같이 나오기 때문에 납 광산에서는 이 둘을 분리해야 한다. 보석 원석은 총 6종류의 원석이 쏟아져나오기 때문에 기지 가까이에서 채굴할 경우 드릴 아웃풋에 바로 공급상자를 배치해서 물류 로봇으로 운송하게 하는 것이 편하다.
  • 가스 추가. 산소, 수소, 질소, 염소 4종의 기체와 다량의 혼합물들이 추가된다. 기존의 공장(어셈블러), 정제소 외에 전기분해기 계열 건물이 추가돼서 여러가지 화학혼합물들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오리지널에서는 원유만 드럼통에 담아서 보관/운반할 수 있었던 반면 이 모드에서는 경유, 중유, 윤활류는 물론이고 가스류 운반용인 압축가스통, 액체연료 운반용인 캐니스터가 추가된다.
  • 회로의 생산 방식이 더 복잡해졌다. 예를 들면 가장 기본적인 회로를 만들기 위해서는 나무를 필요로 한다.따라서 기본 게임에서 전신주를 만드는 데만 사용되던 나무가 초반에 매우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 [3]또한 회로가 3단계가 아닌 4단계로 나누어지며 회로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 단계에 맞는 회로 기판을 만들고 그 기판을 회로의 재료로 이용해야 한다. 회로가 특히 부각되어 보이는 것은 회로들의 제조 공정이 기존의 구리선+철판(+플라스틱+황산)에서 거의 천지개벽 급으로 달라진 것에 비해, 다른 제품들의 레시피는 (상위 티어 설비/장비를 제외하면) 거의 다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근데 대부분 회로를 요구한다(...)
  • 연구의 세분화. 기존에 연구실에서 일괄적으로 진행되던 연구와 달리, Bob's Mod에는 3종류의 연구실이 있다. 일반 연구실(MK2 업그레이드 가능), 외계인 연구실(Alien lab), 모듈 연구실(Modules lab)이다. 외계인 연구실의 경우, 여러 종류의 탄환과 로켓, 후반 파워아머와 파워아머에 들어가는 부품들의 연구에 사용된다. 모듈 연구실은 이름 그대로 각종 모듈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데 사용되는 건물이다. 각 연구실에 따라 사용되는 재료도 달라서 일반 연구실에서는 사이언스 팩 1부터 4까지(외계 사이언스 팩은 일반 연구에 사용되지 않고 대신 사이언스 팩 4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사용되고, 외계 연구실에서는 외계 사이언스 팩과 그 외 특정 외계 기지와 외계인을 없애면 나오는 6가지 색깔의 외계 유물을 이용해서 만드는 사이언스 팩 등을 사용한다. 모듈 연구실은 Bob's Mod에서 모듈 제작에 사용되는 여러 재료를 사용해서 연구를 한다. 때문에 연구 단지를 여러개 만들어서 나눠야 한다.
  • 바닐라 팩토리오와 달리 Bob' Mod의 지하 벨트는 단계에 따라 최대 연결 범위가 점점 길어진다. 원래 세 단계의 지하벨트 모두 다 최대 5칸 범위까지만 연결되지만, Bob' Mod에서는 단계별로 5칸씩 늘어나서 가장 높은 단계에서는 최대 25칸까지 연결 가능하다.(벨트 단계가 5단계 까지 존재.) 이 점으로 인해 디자인이 엄청나게 편해지고 공간의 제약을 덜 받게 되어 쾌적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다.
  • 추가되는 수많은 아이템. 새로운 광물이 추가되는 것 외에 다양한 아이템, 무기 등이 추가된다. 우선 운송 벨트의 경우 5단계까지 존재하여 물류 이동 속도가 아주 빨라진다. 여기에 맞춰 투입기 역시 기존의 빠른 투입기보다 훨씬 더 빠른 신속 투입기(Express inserter)와 물건을 가까운 쪽에 놓는 투입기(원래 투입기는 무조건 자신과 먼 쪽으로만 아이템을 놓는다.), 긴 팔 투입기처럼 한 칸 멀리 있는 물건을 잡아서 일반 투입기 처럼 놓는 투입기, 반대로 일반 투입기처럼 물건을 잡아서 한 칸 멀리 있는 곳에 아이템을 놓는 투입기(이 두 종류 투입기 모두 물건을 가까운 쪽, 먼 쪽에 놓게 하는 투입기로 나뉘어진다.) 등 많은 옵션을 제공한다. 덕분에 일반 게임에서는 할 수 없는 공장 디자인이 가능하며 훨씬 편하다. 이 외에도 발전소, 전신주, 용광로, 조립 생산설비, 파이프 등등 거의 모든 아이템에 상위 단계의 아이템이 추가되어 업그레이드 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 새로운 모듈. 사실상 Bob's Mod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점이다. 기존에는 생산성, 효율성, 스피드 세 가지 모듈만이 존재하지만 이 모드에서는 그 외에도 오염 생산, 오염 정화, 패널티를 없앤 스피드, 효율성 모듈 등이 존재하고 특히 가장 중요한 모듈로 갓 모듈(God module)이 등장한다. 갓 모듈은 총 5단계로 나뉘고 제작 속도, 생산량을 늘리고 오염,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가히 사기적인 모듈이다. 이 모듈이 존재하기 때문에 게임 중반이 넘어가면 자원이 남아돌고 아이템 제작 속도도 엄청나게 빨라진다.(아주 빠른 투입기가 존재하는 것도 이 때문) 하지만 단점도 존재하는데, 게임이 지나치게 쉬워진다는 점이다. 채광 드릴에 달아놓으면 원래 채취 가능한 자원보다 훨씬 더 많이 뽑아내고, 석유도 미친 속도로 무한정 뽑아내고 아이템은 수십개씩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사실상 자원 확장기지를 만들 필요가 없어진다. 때문에 일부러 이 갓 모듈을 만들지 않고 플레이 하는 사람도 있다.
  • 또한 제작 단계가 세분화되어 있다는 것은 얼핏 보면 난이도를 상승시키는 단점으로만 보이기 쉽지만, 효율성 모듈을 이용하면 각 단계별로 재료가 뻥튀기되기 때문에 모듈과 드론을 이용할 수 있는 후반에는 오히려 장점으로도 작용한다. 때문에 갓 모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효율성 모듈로 도배하는 단계가 되면 자원이 남아돌게 된다. 물론 갓 모듈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전력이 쉽게 고갈되지만, 남아도는 자원으로 솔라패널을 찍어내면 그만이다.

2.1 광물

파일:7Lj0gtP.png

위의 사진에 나온 광물에 추가로 보석(Gem)이 추가되어 실제 맵 상에서 보이는 광물의 종류는 오히려 더 많다. 철과 구리 및 석유 매장지 등은 오리지널 팩토리오와 동일.

  • 주석(Tin) - 지도에서 은회색으로 표시된다. 회로의 재료인 땜납판(Solder plate)를 만들 때 들어가므로 초반 필수 광물.
  • 아연(Zinc) - 지도에서 연하늘색으로 표시된다.
  • 보크사이트(Bauxite) - 지도에서 연노란색으로 표시된다.
  • 수정(Quartz) - 지도에서 흰색으로 표시된다. 유리의 재료.
  • (Gold) - 지도에서 연한 주황색으로 표시된다. 연노란색의 보크사이트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상당히 귀한 광물이지만 후반부에 쓰임새가 꽤 많아지기 때문에 공급 부족에 허덕이게 된다. 대표적인 쓰임새는 모듈.
  • (Silver) - 금과 함께 합금을 만들 때 사용된다.
  • 금홍석(Rutile) - 지도에서 연보라색으로 표시된다. 제련하면 후반부에 자주 쓰이는 티타늄이 된다.
  • 텅스텐(Tungsten) - 지도에서 갈색으로 표시된다. 맵과 구분하기 어려우니 세심하게 살펴보아야 한다.
  • 보석 원석(Gemstones) - 지도에서 연녹색으로 표시된다.
  • 니켈(Nickel) - 지도에 있는 방연석(Galena)에서 납과 함께 얻을 수 있다.
  • (Lead) - 지도에 있는 방연석(Galena)에서 니켈과 함께 얻을 수 있다. 땜납의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 코발트(Cobalt) - 구리를 이용해서 얻을 수 있다.[4]

2.1.1 특정 광물을 직접 채취하는 방법

0.12.7버전 기준으로, 기본적으로 니켈/코발트/황은 필드에서 생성되지 않으며 필드에서 채굴하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광물들을 필드에서 채굴하기를 원한다면 설정을 살짝 바꾸면 된다.

1. bobores 모드 압축 파일을 열고 config.lua 파일을 연다.
2. 아래의 내용과 같은 부분을 찾는다.
if set to true, Nickel ore fields can spawn on maps. new maps will have autoplace control options.
bobmods.ores.EnableNickelOre=false
3. 마지막에 있는 =false를 =true로 바꿔주고 저장한다.
4. 플레이 하던 맵에 들어간다.
5. 콘솔창(기본 설정 ` 키)을 열고 다음을 입력한다.
/c game.regenerate_entity("cobalt-ore")
입력하면 게임이 잠깐 멈췄다가 진행되고 코발트 광맥이 맵에 나타난다. 니켈과 황 역시 같은 방법으로 해주면 된다. 이런 방법을 통해 니켈 광맥이 코발트를 함께 주게 한다거나, 석탄 광맥에서 다이아몬드가 나오게 한다거나 하는 수정도 가능하다.

2.2 채광

바닐라 팩토리오와 큰 차이는 없고 채광 드릴이 5단계까지 존재한다. 또 일반 채광 드릴보다는 느리지만 한번에 넓은 범위의 자원을 채굴 가능한 채광 드릴도 존재한다.
기술 중 특이한 점은 업그레이드된 채광드릴로 기본 부터 mk5까지 채광력과와 범위가 2씩 상승하며, mk5경우 10에 이르게 된다.
또한 mining excuvator가 존재하는데 독일산 채광기 bagger 288과 닮은 구조를 가지며 인게임 그래픽으로 회전하면서 자원을 채취한다.
차원이 다른 넒이와 속도를 보인다. 24x24라는 넒이와 정신나간 채광 능력을를 보이는데, 다만 출구는 하나라서 채취된 자원에 대한 포집에서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들어가는 자원도 무지막지한 양으로 소비하므로 계륵인 면이 존재한다.
하지만 철광석이나 동광석 같이 많이 쓰이는 지역에서는 든든한 힘을 보여준다.

2.3 에너지

발전:

초기에는 추가적으로 풍력터빈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보일러, 증기터빈은 업그레이드 형이 존재한다
보일러는 mk1~mk5까지 존재하며 업그레이드 시 brass, bronze, steel furranece, tungstan, nitional (니켈, 티타늄 합금) 등이 들어간다.
솔라패널은 베이직, 미들, 라지로 나뉘게 존재하며, lv2, lv3 로 업그레이드 되며,
패널의 경우 plastic, silver, glass, sulfic acid 등이 필요하\다.

또한 오일버닝 발전기를 지원한다.

  • 핵 모드를 병행한다면 발전에서 밥스 모드에서 지원하는 발전기는 핵발전 이후 거의 안쓰게 된다.


저장:

배이직, 속도, 고용량 3가지 형태로 나뉜다.
mk1 부터 mk3까지 진화하면, 각각 업그레이드 시, 리튬베터리와 은아연 베터리를 사용하게 된다.

2.4 전기분해조

전기분해 : 물로 수소와 산소를 얻어낸다.
수소는 거의 사용치 아니한다. 하지만 후반에 텅스텐 산을 텅스텐 산화물 형태로 변화시킬때 필요하다.
염소만을 사용하여 제련하는 금광석 제련의 경우, 남은 수소를 고체연료로 변화시켜서, 전력소비가 최소가되는 자원지점을 얻을수 잇다.

산소의 경우는 니켈 제련에 사용한다.

전기분해2: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염소, 수산화나트륨을 얻는다.

염소는 자체적으로는 금광석 제련에 이용되며,
수소와 염소를 가공하여 생산하나는 염화수소는 반도체 생산에 중요한 제련액 생산이라던가.
돌을 가공하여 생산하는 염화칼슘의 생산(실리콘 잉갓 생산에 이용)에 사용된다.

수산화나트륨은 알루미늄 생산이 이용되나, 알루미늄의 사용처가 한정된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으며, 폐기및 저장에 어러움이 발생한다.

전기분해3: 펌프를 이용하여 얻어낸 리튬 이온수를 화학처리로에서 만든 염화리튬을
가공하여 만들며, 결과로 리튬 전해질과 수소를 얻는다.
리튬전해질은 리튬전지생산에 이용된다.

2.5 전기분해조2

아연: 아연광석을 황산과 반응시켜 아연판을 얻는다.
brass나 invar에 이용

리튬: 염화리튬을 가공하여 리튬을 얻는다.
코발트 산화물과 가공하여 리튬전지 재료로 이용.

실리콘: 염화칼슘, 실리콘, 카본을 이용하여, 잉갓을 얻는다.
잉갓은 두 방법을 이용되며, 웨이퍼로 만드는 트랜지스터, ic, cpu의 재료로 쓰이며,
실리콘분 만드는 질화규소, 탄화규소 등의 재로로 쓰인다. (질화규소는 cpu와 사이언스팩4의 재료로, 탄화규소는 보석을
가공할때 쓰는 재료로 이용된다.

니켈: 니켈광석을 산소와 결합시켜서 니켈판을 얻으며 부산물로 황산이 만들어진다.
황산은 건전지, 엘로우케이크 등의 재료로 이용되며, 아연광석 제련이나 반도체 생산에 잘 들어간다.

알루미늄: 화학반응조로 만든 알루미나는 카본과 제련하여 알루미늄판으로 얻는다.
알루미늄은 로지틱 로봇이나 패널 케이스등에만 사용된다.

티타늄: 전기분해조 1의 염화칼슘, 카본, 티타늄 광석을 제련하여 티타늄 판을 얻는다.

티타늄은 은근 많이 쓰이는 재료로, 베어링, 기어, 전신주 등의 주 재료이다. mk4시리즈에 거의다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

2.6 화학반응조1

주석: 주석광석에서 주석판을 얻는다
주석은 5개 재료중 하나이다.
주석은 주석피복선이라던가. 반도체의 기판, 남땜 등의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변환비율은 1대1로 철과 구리 생산체계가 완비되면 찾아야 할 1번 재료
lv 2기판부터 들어가는데, lv2기판에 fast arm이 있다. 할말 다함.

은: 은광석에서 은판을 얻는다.
은에서 은아연 전지라던가, 솔파패널 mk3라던가를 얻지만, 이에 대한 대체체계가 완비되어있다.
중요도가 매우 낮다.

납: 납광석에서 납판을 얻는다.
납땜이나 건전지의 재료로 이용된다.

유리: 실리콘광석에서 유리를 얻는다.
유리는 fiberglass나 솔라패널에 들어가는데, 중요도는 낮다.

고무: 레진2개에서 고무를 얻는다.
고무는 피복전선 생산에 이용된다. 피복전선은 빨간선(원자력발전소 재료)과 mk3전신주 생산에 이용된다.

금: 금광석과 염소에서 금판을 얻는다.
금판은 금피복선(cpu), mk4전신주, 모듈 컨트락트, 멀티레이어 서킷 등에 이용된다.

텅스탠 분: 텅스탠산화물에서 텅스탠 분을 얻는다.
텅스탠분은 텅스탠 판이나 탄화텅스탠의 재료

소금: 물을 이용하여 소금을 얻는다. (?)
소금과 물을 이용하여 수소 염소 수산화나트륨을 얻는데 이용.

탄화규소: 실리콘분과 카본을 이용하여 탄화규소를 얻는다,
연마분의 주재료

질화규소: 실리콘분과 질소를 이용해서 얻는다.
질소는 콤프레셔 에어를 화학공장을 이용해 얻는다.
질화규소는 cpu와 사이언스팩4의 재료로이용.

텅스탠 산화물: 텅스탠 산을 이용하여 텅스탠 산화물을 얻는다.
텅스탠산화물은 유체형태로 공급되며, 파이프로 연결해줘야 한다.

2.7 화학공장

황산: 황과 철 물을 이용하여 황산을 만든다.
엘로우케이크 건전지 각종광석제련에 이용.

중유변환: 물과 중유를 이용하여 경유를 얻는다.
중반이후 사용도가 매우높다. 경유를 이용하여 디젤이라던가 가스라던가를 얻기 때문.

경유변환: 물과 경유를 이용하여 석유가스를 얻는다.
경유보다 더 중요한게 석유가스, 플라스틱이라던가 플라스틱이라던가..때문에.

중유 고체연료: 초반에 화력발전소 돌리는데 유용.

경유 고체연료: 상동

가스 고체연료: 거의 안쓰이지만 벨런스 무너졌을 경유 복귀시킬때 쓰인다.

디젤: 디젤연료 모드를 깔았을 경우 사용. 디젤발전은 단일발전소 기준 2번째로 효율이 좋다. (1위는 원자력, 원자력 모드팩있을 경우)

윤할유: 중유를 이용하여 윤할유를 얻는다.
전기엔진이라던가 베어링이라든가 lv3 벨트라던가 생산에 이용.

황: 천연가스와 물을 이용해서 황을 얻는다.
황은 폭발물과 황산의 재료로 이용된다.

플라스틱: 천연가스와 석탄을 이용하여 플라스틱을 얻는다.
각종 전지의 재료이자 반도체 기판의 재료이며 모듈제작 등 자주 사용되는 재료

폭발물: 황과 물 석탄을 이용하여 얻는다.
지뢰라던가 포탄, 로켓의 재료, 핵폭탄의 재료이다.

건전지: 납판과 플라스틱, 황산을 이용하여 얻는다.
사이언스팩3의 재료이자 전기 축전유니트, 로봇부품 등의 재료이다.

2.8 화학공장2

석탄 가스

염화철 솔루션

글리세롤

염화수소

가스 수소

액체연료

질산

이산화질소

질소

니트로 글리세린

2.9 테크

2.10 물류

2.11 전자

바닐라 팩토리오에 비해 회로와 전자 계통은 매우 복잡해졌다. 아래의 도식을 통해 직접 비교해보자.

먼저 바닐라 팩토리오의 전자부품 제작 단계는 다음과 같다.

구리판구리선
철판전자 회로
구리판구리선
플라스틱고급 회로
 전자 회로
전자 회로
고급 회로→처리 회로
황산

그러나 Bob's Mod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작 루틴을 따른다.

  • (원목)->(목재)->(서킷보드)
    • (구리판)->(구리선)
      • (구리선)+(서킷보드)->(베이직 서킷보드)
  • (물+석탄)-> (탄소)
    • (구리판)->(구리선)
      • (구리선)+(주석판)->(주석도금 구리선)
        • (탄소)+(주석도금 구리선)->(기본 전자부품)
  • (목재)->(레진)
    • (납괴)+(주석괴)->(납판)
      • (납판)+(레진)->(땜납)
  • (베이직 서킷보드)+(기본 전자부품)+(땜납)->(베이직 일렉트로닉 보드)

참고로 베이직 일렉트로닉 보드는 바닐라 팩토리오의 전자 회로와 같은 아이템이다.(...)

고급 회로에 해당하는 '일렉트로닉 서킷 보드'의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바닐라에서는 전자회로가 고급회로에 사용되지만 Bob's mod에서 3가지 종류의 회로는 완제품 상태에서는 각각 별개의 아이템이다.

  • (기본 전자부품 제작공정)->(기본 전자부품)
  • (땜납 제작공정)->(땜납)
  • (목재)+(레진)->(페놀릭 보드)
  • (물)->(소금)
    • (소금)+(물)->(염화수소)
      • (염화수소)+(철광석)->(염화철)
  • (페놀릭 보드)+(구리판)+(주석판)+(염화철)->(서킷 보드)
  • (물)->(소금)
    • (소금)+(물)->(염화수소)
      • (염화수소)+(돌)->(염화칼슘)
  • (염화칼슘)+(탄소)+(쿼츠)->(실리콘)->(실리콘 웨이퍼)
  • (구리판)->(구리선)->(주석판)->(주석도금 구리선)
    • (실리콘 웨이퍼)+(주석도금 구리선)+(플라스틱 바)->(트랜지스터)
  • (트랜지스터)+(기본 전자부품)+(땜납)+(서킷 보드)->(일렉트로닉 서킷 보드)

바닐라 팩토리오 기준으로 이제서야 고급 회로가 완성된 셈이다.

2.12 모듈

총 다섯 가지의 기본 모듈과 네 가지의 복합 모듈이 존재하고, 각 모듈은 8단계(갓 모듈 제외)까지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핵심적인 부분은 생산량인데, 갓 모듈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생산성 모듈 8단계를 이용하면 3개만 사용해도 1개를 생산하면 1.2개가 나온다. 그런데 Assembly Machine이 6단계인 상태에서는 모듈 슬롯이 총 여섯 자리가 제공되므로 1개를 생산하면 2.4개가 나오는 마술이 펼쳐진다. 광물 채집기나 석유추출기에 꼽으면 화수분처럼 자원이 계속 나온다. 사실상 후반부의 필수 모듈.

  • 오염 제거 모듈 -각 레벨별로 오염 생산 속도 10%씩 감소. 최종 80%.
  • 오염 생성 모듈[5]각 레벨별로 오염도 생산 속도 50% 증가. 최종 400%.
  • 스피드 모듈 - 각 레벨별로 생산 속도 20%씩 증가. 최종 생산 속도 160% 증가.
  • 효율성 모듈 - 각 레벨별로 에너지 소모량 15%씩 감소. 최종 에너지 소모량 120% 감소.
  • 생산성 모듈 - 각 레벨별로 생산량 5%씩 증가. 최종 생산량 40% 증가.
  • Raw 스피드 모듈 - 기존 스피드 모듈과 동일하나 전력소모 추가가 없다.
  • 그린 모듈 - 기존의 오염 제거 모듈과 효율성 모듈의 기능을 합했다.
  • Raw 생산성 모듈 - 기존 생산성 모듈과 동일하나 전력소모 추가가 없다.
  • 갓 모듈 - 각 레벨별로 에너지 소모량 30% 감소, 스피드 40% 증가, 생산성 10% 증가, 오염 20% 감소. 최대 5단계까지.

3

  • 인벤토리 용량 변경 하는 방법 (bobconfig v0.12.3 기준)

bobconfig_0.12.3.zip 파일 내부의 config.lua 파일을 텍스트 편집기로 열고 아래와 같은 부분을 찾는다.
-- Sets the new player inventory size
bobmods.config.InventorySize = 120

숫자 만큼 인벤토리 사이즈가 결정되므로 원하는 만큼 값을 변경하고 저장 후 재압축을 하면 된다.
  1. 기존 팩토리오에서는 부품을 만들 때만 생산성 모듈을 이용할 수 있었으나 Bob's mod에서는 완제품을 만들 때를 포함해서 모든 모듈슬롯에 생산성 모듈을 넣을 수 있다.
  2. 각 OS별 설치 폴더 위치는 옆의 링크를 참조할 것. https://wiki.factorio.com/index.php?title=Application_directory
  3. 단 극초반만 넘기면 인공적으로 중유를 가공하여 인공목재를 얻을 수 있으므로 그 후에는 스스로 나무를 벨 일이 없어진다.
  4. 구리 광석 7, 돌 1, 석탄 1, 수소 1을 재료로 해서 구리판 10개, 산화 코발트 2개를 얻는다.
  5. 적들을 더 빨리 모으고 싶을 때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