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생활기록부

1 개요

초ㆍ중등교육법 제25조(학교생활기록) ① 학교의 장은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인성(人性)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평가하여 학생지도 및 상급학교(「고등교육법」 제2조 각 호에 따른 학교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학생 선발에 활용할 수 있는 다음 각 호의 자료를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작성·관리하여야 한다.
1. 인적사항
2. 학적사항
3. 출결상황
4.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5. 교과학습 발달상황
6.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7. 그 밖에 교육목적에 필요한 범위에서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② 학교의 장은 제1항에 따른 자료를 제30조의4에 따른 교육정보시스템으로 작성·관리하여야 한다.
③ 학교의 장은 소속 학교의 학생이 전출하면 제1항에 따른 자료를 그 학생이 전입한 학교의 장에게 넘겨주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초·중·고등학생의 학적을 기록한 장부를 말한다. 1995년 5.31 교육개혁에 따라 1996학년도부터 도입되었으며 흔히 내신이라 불리던 교내 시험 성적에 한 줄짜리 인성평가 정도가 첨가된 것이 전부였던 이전의 생활기록부를 대체하였다. 시행 초기에는 ‘종합생활기록부’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약칭인 ‘종생부’의 어감이 좋지 않다는 이유[1]1997학년도부터 현재의 이름이 쓰이게 되었다. 그 이후 2000년대부터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이 도입되면서 현행 제도가 정착하였다.

2 종류

학교생활기록부 I과 학교생활기록부 II로 나누어져 있다. I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노출되는 정보를 최소화한 것이고 II는 세부적인 사항까지 보여주는 것이다. 이 중에서 고교·대학입시에 쓰이는 버전은 II인 학교생활세부사항기록부이다.
참고로 학교생활기록부 II는 준영구보존되는 학교생활기록부 I와 달리 졸업 후 5년이 지나면 사라진다.

3 바이트 수

한글을 2바이트로 하고 알파벳, 숫자, 공백을 1바이트로 하는 통상적인 계산법과는 달리, 생기부를 포함한 나이스에서는 바이트 수를 조금 다르게 계산한다. 한글은 3바이트이고, 알파벳, 숫자, 공백은 1바이트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바이트 계산기를 기준으로 작성할 경우 문제가 발생하며,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야 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프로그램

4 구성

학교생활기록부 II 기준으로 설명한다. 맨 첫 장의 맨 위에는 증명사진과 학년, 반, 번호, 담임교사 성명이 기재된다.

4.1 인적사항

성명, 성별, 주민등록번호, 주소, 가족상황, 특기사항을 적는 칸.

4.2 학적사항

입학, 졸업, 전학 등의 정보를 적는 칸. 별 탈 없이 전학도 가지 않았다면 OO중학교(혹은 초등학교) 졸업과 OO고등학교(혹은 중학교) 입학만 심플하게 적혀있을 것이다.

4.3 출결상황

총 수업일수 중 결석이나 지각, 조퇴, 결과 등을 얼마나 했는지를 적는 칸.

4.4 수상경력

말 그대로 수상경력을 적는 칸. 상의 이름, 등급(최우수, 우수, 장려), 수상년월일, 수여기관, 대회참가인원 등이 표시된다. 학교생활을 하다 보면 알겠지만 상은 받는 학생들만 계속 받기 때문에(경시대회 수상 같은 경우는 더욱 심하다.) 빈익빈 부익부가 극명히 드러나는 대목이기도 하다. 2011년 이후에는 교내상만 기록 가능하다.[2] 이름을 언급할 수 없지만 몇몇 학교에서는 대회를 열지 않고(대회를 폐쇄적으로 진행하고) 상위권 몇몇에게만 수상실적을 몰빵하는 경우가 있다.

4.5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말 그대로 어떤 자격증이나 인증을 취득했는지 적는 칸. 물론 고교 재학 중 국가에서 공인한 기술 관련 자격증만 적게 되어 있으며[3] 초·중학교는 아예 기록이 불가능하다.

대학 갈 때 유리하다
하지만 왠만한 일반고 아이들은 이 칸이 비어있다

4.5.1 기록 가능한 국가 공인 민간 자격증 목록

  • (사)신용정보 협회
    • 신용관리사
  • (사)한국금융연수원
    • CRA(신용위험분석사)
    • 신용분석사
    • 여신심사역
    • 자산관리사
  • 삼일회계법인
    • 재경관리사
    • 회계관리
      • 1·2급
  • (사)한국금융연수원
    • 국제금융역
    • 외환전문역
      • 1·2급
  • 한국경제신문사
    • 경제이해력검증시험(TESAT)
      • S급, 1·2·3급
  • 매일경제신문사
    • 경제경영이해력인증시험 매경TEST
      • 최우수, 우수
  • (사)한국원가관리협회
    • 원가분석사
  • (사)한국창의인성교육연구원
  • e-Test Professionals
    • 1·2·3·4급
  • (주)피씨티
    • PC활용능력평가시험(PCT)
      • A·B급
  • (사)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 인터넷정보관리사
      • 전문가, 1·2급
    • 리눅스마스터
      • 1·2급
    • 디지털정보활용능력(DIAT)
      • 초·중·고급
  • (사)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 네트워크관리사
      • 2급
    • PC정비사
      • 1·2급
  • 한국생산성본부
    • 정보기술자격(ITQ)시험
      • A·B·C급
  • (사)한국정보평가협회
    • PC Master(정비사)
  • (재)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 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
  • (재)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 SQL자격
      • 전문가·개발자
  • (사)한국인터넷진흥원
    • 정보보호전문가(SIS)
      • 2급
  • 한국생산성본부
    • ERP물류정보관리사
      • 1·2급
    • ERP생산정보관리사
      • 1·2급
    • ERP인사정보관리사
      • 1·2급
    • ERP회계정보관리사
      • 1·2급
  • 대한정보통신기술(합)
    • 정보기술프로젝트관리전문가(IT-PMP)
  • (사)한국사물인터넷협회
    • RFID기술자격검정
      • RFID-GL·RFID-SL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브레인트레이너
  • 사)한국포렌식학회/한국인터넷진흥원
    • 디지털포렌식전문가
      • 2급
  • 한국옥외광고협회
    • 옥외광고사
      • 2급
  • (사)한국행정관리협회
    • 행정관리사
      • 1·2·3급
  • (사)한국정보화진흥원
    • 정보시스템감리사
  • (사)범국민예의생활실천운동본부
    • 실천예절지도사
  • (사)한국종이접기협회
    • 종이접기마스터
  • (사)한국국어능력평가협회
    • 한국실용글쓰기검정
      • 1·2·준2·3·준3급
  • (재)한국언어문화연구원
    • 국어능력인증시험
      • 1·2·3·4·5급
  • KBS한국방송공사
    • KBS한국어능력시험
      • 1·2+·2-·3+·3-·4+급
  • (사)한국직업연구진흥원
    • 샵마스터
      • 3급
  • (사)한국에너지기술인협회
    • 지역난방설비관리사
  • (사)한국정보평가협회
    • CS Leaders(관리사)
  • 한국생산성본부
    • GTQ
      • 1·2급
  • (재)한국산업교육원
    • 빌딩경영관리사
  • (사)한국에이치백산업협회
    • 시스템에어컨설계시공관리사
  •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 점역 교정사
      • 1·2·3급
  • (사)대한병원행정관리자협회
    • 병원행정사
  • (사)한국농아인협회
    • 수화통역사
  • 대한상공회의소
    • 컴퓨터운용사
    • 가구설계제도사
  • (사)한국정보관리협회
    • 문서실무사
      • 1·2·3·4급
  • 한국세무사회
    • 전산세무회계
      • 전산세무1·2급, 전산회계1·2급
  • (사)한국자동차진단보증협회
    • 자동차진단평가사
      • 1·2급
  • (사)한국열쇠협회
    • 열쇠관리사
      • 1·2급
  • 도로교통공단
    • 도로교통사고감정사
  • (사)한국수목보호협회
    • 수목보호기술자격
      • 수목보호기술자
  • (사)한국분재조합
    • 분재관리사
      • 1·2급, 분재전문관리사
  • (사)한국조경수협회
    • 조경수조성관리사
      • 2·3급

4.6 진로희망사항

말 그대로 장래희망을 적는 칸이다. 학생과 학부모의 장래희망을 각각 기재한다.

4.7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어떤 자율활동이나 봉사활동, 동아리활동, 진로활동 등을 했고 거기서 무얼 알게 되고 느꼈는지 등을 적는 칸이다. 활동에 대해 적는 칸이기 때문에 활동이 적으면 적을수록 적을 수 있는 것도 적어진다. 교내 활동이 많은 자사고자공고, 특목고의 경우는 전교생의 학생부가 이것으로 흘러넘친다.

자사고, 자공고, 특목고에서는 학생들이 자기 손으로 이걸 쓴다. 자기가 필력이 부족하거나 말 포장을 잘 못하는 경우 학기 말마다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는 주요 원인. 사실 쓸건 상대적으로 적더라도 웬만한 일반고에서도 학생들이 직접 쓰는 경우가 대다수다.

4.8 교과학습발달상황

흔히 내신이라 불리는 것으로, 입학사정관제 도입 이전에는 사실상 학생부의 존재 의의였다. 수시학생부 교과 전형에서 주로 보는 부분이다(나머지는 출결과 봉사시간).

학교 정규수업의 성적이 기록되고, 과목별 담당교사가 적어주는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이 기록된다. 고등학교는 내신9등급제가 적용된다. 최근 수정되어서 중학교의 경우 절대평가제로 바뀌어 성취도와 원점수, 과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기록한다. 다만 예체능은 우수, 보통, 미흡의 3단계 채점이다.

"학생부 종합 전형"에서는 현재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중요하게 본다. 전술한 교내상 몰아주기 등의 문제 때문에 입시체제 자체가 '교과활동(수업)'위주로 가고 있기 때문에 학생부 종합전형을 준비한다면 수업을 열심히 듣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자.

4.9 독서활동상황

어떤 책을 읽었고 거기서 깨닫게 된 것이 무엇인지 적는 공간이다. 요즘은 그걸 보고 면접 때 '이 책을 읽고 무엇을 어떻게 생각했나요?' 같은 질문도 하니, 읽지 않은 책은 애초에 적지 않는 게 좋을 것이다.

원칙상으로는 읽은 책만 적어야 하지만 인터파크네이버 책 등에서 줄거리만 대충 읽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다.

기재 예시) 훈민정음을 읽어 한글창제의 원리를 알게 되었으며 세종대왕의 업적을 올바르게 알게 되며 한글 연구원이 장래희망이기 때문에 자신의 장래희망에 큰 도움이 되었음.

4.10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담임이 한 해 동안 학생의 생활습관과 행동을 유심히 관찰한 후 그 특징과 잠재력, 학생의 개인적인 능력에 대해 적는 칸이다. 입학사정관제 도입 이후 교사 추천서와 함께 담임교사의 성명절기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에 혹시라도 좋지 않은 내용이 적히면 그 학생은 입학사정관제와 영영 이별해야 한다.

담임과의 관계가 나빠도 어지간 하면 적어도 대놓고 부정적인 단어는 쓰이지 않는다.
  1. 생을 마친다는 뜻의 ‘종생(終生)’이 연상된다는 이유였다.
  2. 하지만 대학 입시요강에 따라 특기자전형은 외부 수상경력이 인정되는 경우도 가끔 있다.
  3. 즉 어학이나 수학, 과학 인증은 못 적는다. 다만 경제(매경TEST, TESAT)과 한국어(KBS한국어능력시험, 국어능력인증시험)은 기재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