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정보통신학교

틀:군관련

해군교육사령부
해군제1군사교육단해군제2군사교육단근무지원전대
목포해양대 학군단 / 부경대 학군단
한국해양대 학군단 / 제주대 학군단
해군전투병과학교해군기술행정학교해군정보통신학교충무공리더십센터
실습전대학생대대

1 개요

대한민국 해군 해군교육사령부 제2군사교육단 예하의 부대이다. 1946년에 진해특설기지사령부 휘하에 통신교육대 생겼고 이듬해인 1947년에 조선해안경비대 통신학교로 개편되었다. 1948년 8월 15일에 해군이 발족하면서 해군통신학교가 되었고 1956년 3월에 교육단(현재의 교육사)이 생기면서 통신학교와 전자학교로 분리되었다. 1987년에는 기술병과학교 소속의 일개 학부(통신전자학부)로 격하되었으나 2003년에 독립하였다. 학교장은 해군 정보통신병과 대령이 보임된다.

이 항목은 육군정보통신학교공군정보통신학교보다 늦게 생겼다. 이게 다 위키러 중 수병 출신이 유난히 적어서다.[1]

2 구성

  • 교수부
    • 지휘정보학부 : 정보통신병과 장교를 교육한다. 전투병과학교의 정보학부와는 다르다.
    • 정보통신학부 : 전공, 전산, 통신 직별을 교육한다. 유/무선통신체계,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등도 교육한다.
    • 음탐전자학부 : 음탐(음파탐지), 전자전 등의 직별을 교육한다.

3 생활상

정통교 생활관 바로 옆의 생활관 건물은 해군기술행정학교 중 구 기술병과학교 소속 부서가 들어와 있는 건물이다. 2003년 정통교 설립 초기에는 기병교 건물이었는데 기병교와 정통교간 은근 라이벌 의식같은게 있기도 했다. 주로 기병교가 장난쳐놓고 정통교에다 덮어씌우는 식

교육생의 동초근무는 구 생활관이 있던 시절엔 앵곡동 교회쪽 통문과 그 위쪽으로 있는 산중턱(이라고 해 봐야 별로 안높은)에 있는 비포장도로(길을 쭉 따라가면 헬기장이 나온다. 그렇다고 근무지 이탈은 하지 말자.) 통문 2군데에서 했다. 그리고 2010년경 신축 생활관이 완공된 이후에는 별도의 동초근무 없이 생활관 내에서 층별로 부사관교육생 2명, 수병교육생 2명이 2시간씩 교대로 불침번근무를 서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앵곡동 교회쪽 통문은 평일 야간에는 거리도 짧고 언덕을 오를 일이 없어서 힘들지는 않지만 수요일일요일에는 각 학교에서 몰려드는 종교인원을 보고하느라 아주 머리가 아파진다.

  1. 사실 위키러 뿐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수병 출신은 적을 수 밖에 없다. 40만명이 넘는 육군병과 4만에 가까운 공군병에 비해 해군은 해병대를 제외하면 전체 인원이 4만명 정도이고 부사관의 비율이 높아 수병의 숫자가 2만이 안 된다. 더군다나 정통교에서 훈련받는 전공, 전산, 통신, 전자전은 수병들이 많이 몰리는 직별인 갑판, 전탐, 헌병등에 비해 인원이 훨씬 적다. 추가로 음탐은 수병을 아예 선발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