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isible, Inc./인코그니타

1 개요

invisible inc.에서 만든 인공지능 프로그램으로서 각종 해킹기술들을 이용해 요원들의 침투작업에 도움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있다. 사실상 이 프로그램이 아니었으면 요원들은 진작에 끔살.... 회사의 수장 센트럴을 어머니라고 부르며 요원들의 안전과 작전수행을 언제나 최우선시한다.

2 해킹 가능한 시스템

모든 시스템은 방화벽 레벨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제하기 전까지는 요원의 행동을 방해한다. 또한 단순히 해킹하면 사용 가능한 몇몇 시스템과 달리 일부 시스템은 해제 후 요원으로 인접한 타일로 이동해 직접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감옥 창살 시스템, 금고 등이 있다.

2.1 감시 카메라

방화벽을 해제할 경우 감시 영역의 시야를 제공한다. 만약 감시 카메라가 시야에 들어오지 않더라도, 이동하려는 타일이 빨간색으로 표시돼 있다면 해킹되지 않은 감시 카메라의 범위 안이다. 해킹 되지 않은 카메라의 감시 영역 안에 요원이 이동할 경우 알람 레벨이 1 증가하며, 근처의 경비들이 조사하러 오게 되니 조심. 시작부터 활성화되어있는 카메라와 알람 레벨이 1(쉬움 난이도의 경우 2)가 될 경우 재부팅을 시작하여 활성화되는 카메라가 있다.

2.2 금고

금고. 해킹하거나 EMP 등을 이용하여 작동을 정지시킬 경우 금고를 열어 돈과 함께 일정 확률로 아이템들을 획득할 수 있다. 몇몇 금고는 회사 기밀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요원이 회수할 경우 스테이지 종료 후 약간의 금액과 명성을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몇몇 금고의 경우 일반 금고와 달리 크기가 조금 더 크며, 방화벽 수치가 높다. 이 금고의 경우 더 많은 금액을 획득할 수 있다.

2.3 나노 조립기

미션에서 볼 수 있는 것과는 다르게 더 적은 물품을 판다. 취급하는 물품의 종류는 같으며, 증강장치와 무기 또는 최소한 두개의 장비를 취급하며, 미션의 진행에 따라 값나가는 장비들을 판다. 매드젤과 차지팩은 모든 나노 조립기에서 볼 수 있다.

2.4 보조 서버 터미널

미션에서 볼 수 있는 것과는 다르게 랜덤한 2개의 프로그램을 판다. 서버 터미널 주변에서는 소리가 나기 때문에, 보이지 않더라도 위치를 가늠할 수 있다.

2.5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지의 정보들을 담고 있으며,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맵에 존재하는 모든 활성화된 카메라를 드러내주며, 콘솔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콘솔의 위치를 알려준다. 즉, 이미 해당 오브젝트의 위치를 전부 확인했다면 전혀 무쓸모인 시스템이다(...). 이외에도 현재 스테이지의 윤곽도를 드러내주는 시설 데이터베이스 및 현재 설치되어있는 모든 데몬의 종류를 알려주는 데몬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2.6 방어막

특정 스테이지의 엘리트 경비원들이 들고있는 장치. 해제되기 전까지는 방화벽 레벨과 동일한 수준의 방어구 레벨을 제공한다. 즉, 방화벽을 낮추기 전에는 강화장치의 도움 없이 충격기로 기절시키기는 불가능하다. 또한 경비원이 기절 후 회복시 다시 원래 레벨로 회복되니 주의. 다른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EMP를 사용하여 재부팅 시킬 수 있으며, 이 기간동안에는 방어구 레벨을 제공하지 않는다. 여러 데몬을 잘못 건드릴 경우 방어구 레벨이 5를 넘어가는 막장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

2.7 레이저 펜스

2~4칸의 공간을 차지하며 특정 구간을 가로막는다. 다만 경비가 근처 타일을 지나가는 동안 해제되기 때문에 경비는 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운이 좋다면 이를 이용하여 해킹을 하지 않고도 지나갈 수 있다. 여러 종류의 빔을 사용하며, 이는 인코그니타 모드에서 정보를 확인하거나 그래픽 모양을 확인하여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빔의 종류에는 대인살상 빔(치명적인 빔을 사용하기 때문에 요원이 지나갈 수가 없다.), 추적 빔(요원이 지나갈 경우 트래커를 증가시킨다), 데몬 빔(랜덤 데몬을 발동시킨다.)이 있기에, 경우에 따라서는 페널티를 감수하고 지나가는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해킹을 위해서는 맵의 어딘가에 존재하는 발전기를 해킹해야 한다. 발전기를 해킹할 경우 자동으로 빔이 차단되며, 인코그니타 화면에서 발전기를 다시 켜서 펜스를 재부팅 시킬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는 경비가 근처에 와도 빔이 해제되지 않으며, 대인살상 빔의 경우 경비를 놓은 상태에서 키는 것으로 경비를 끔살시킬 수 있다. 여담으로 초기 버전에서는 맵 생성 알고리즘에 문제가 있어서, 펜스를 지나가야만 도달할 수 있는 곳에 발전기가 있을 때도 있었다(...). 지금은 패치되어 옛말이 되었지만.

2.8 터렛

90도 의 시야범위를 커버하며, 범위 안에 적이 들어올 경우 경계 모드에 들어간다. 항상 인접한 타일에 발전기가 존재하며, 터렛을 해킹해서 적에게 발포하도록 만들거나 발전기를 해킹하여 터렛을 그냥 꺼버릴 수도 있다. 발전기와 터렛을 둘 다 해킹할 경우 터렛을 원하는대로 켜고 끌 수 있기에 위협이 안되는 경비를 그냥 보내서 알람을 늦출 수 있지만, 그만큼 전력 소모가 심하다. 방어구 관통 2를 가지고 있기에 대부분의 경비를 사살할 수 있으며, 2발의 탄약을 가지고 있다.

2.9 Sound Bug

산카쿠 레벨에서만 나오는 시스템. 말 그대로 근처의 소리를 감지하며, 감지당할 경우 경비들이 조사하러 옴과 동시에 트래커가 올라가므로 산카구 레벨에서는 웬만해서는 달리지 않는 것이 좋다. 해킹할 경우 소리를 감지하여 적의 위치를 알려준다.

2.10 신호 증폭기

FTM 레벨에서 나오는 시스템. 알람 레벨이 올라갈 때마다 요원의 위치를 경비들에게 알린다. 시야 안에 들어오거나 무선 추적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존재를 확인할 수 없는 다른 시스템과 달리, 요원의 근처에 있을 경우 윙윙거리는 신호음이 들리므로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한 미션에 여러 기기가 존재할 수 있다. 해킹할 경우 신호 증폭이 중단되며, 이와는 별개로 요원을 접근시켜 보드를 떼내서 중단시킬 수도 있다. 만약 이 보드를 스테이지 종료할때 들고 나간다면 추가 금액을 획득할 수 있다.

2.11 라우터

FTM 레벨에서 나오는 시스템. 알람이 레벨이 올라갈 때마다 무작위로 해킹가능한 시스템의 방화벽을 1 올린다. 신호증폭기와 마찬가지로 요원의 근처에 있을경우 신호음이 들려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해킹할 경우 주변 기기에 대한 방화벽 증가가 증단되며, 요원을 접근시켜 보드를 떼내서 중단시킬 수도 있다. 한 미션에 여러기기가 존재할 수 있다. 만약 이 보드를 스테이지 종료할때 들고 나간다면 추가 금액을 획득할 수 있다. Contingency Plan DLC에서 새로 추가되었다.

2.12 콘솔

인코그니타로 해킹 가능하지는 않지만, 인코그니타의 운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여기에 기술한다. 인코그니타가 아니라 요원을 접근시켜 해킹할 수 있으며, 해킹할 경우 약간의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방화벽이 약한 초반에는 콘솔 없이 전력생산 프로그램만으로도 전력 소모를 감당할 수 있지만, 3~4레벨 방화벽이 기본인 후반에는 콘솔의 도움 없이는 원활한 진행이 불가능할 것이다. 요원의 해킹 레벨에 따라서 획득하는 전력에 추가 보너스를 받으며, 엑셀러레이터 칩 아이템을 사용하여 해킹 레벨과는 별개로 추가 보너스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정 확률로 이벤트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추가 선택지가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콘솔에 보안 절차가 설치돼 있어 트래커 레벨을 증가시키고 전력을 획득하거나 그냥 무시할 수도 있으며, 경비들의 무선 채팅에 끼어들어 경비 위치를 변경하거나 하는 식이다. 이와는 별개로 해킹하는 요원이 누군지에 따라 고유 이벤트도 존재한다.

3 데몬

몇몇 방화벽에는 추가로 데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방화벽을 해제할 경우 랜덤한 데몬이 발동하여 임무를 방해한다. 기본적으로 매우 낮은 확률로 데몬이 이로운 효과를 주는 알고리즘으로 리버스 엔지니어링 될 확률이 있으며, Brimstone 프로그램을 들고 있을 경우 이 확률이 추가로 늘어난다.

3.1 Authority

Authority_small_res.png
2~5턴 지속. 금고에 경고장치가 설치되어서, 금고를 열때마다 알람 트래커가 1 증가하며 근처의 경비들이 조사하러 온다.
금고를 다 연 후라면 그냥 공짜 데몬이지만, 금고를 열지 않았다면 매우 고민하게 만드는 데몬. 데몬이 걸린 금고를 해킹했는데 이게 나오면 참 애매해진다

3.2 Blowfish

Daemon_Blowfish.png
즉시 발동. 알람 트래커를 1~3 증가시킨다.
데몬이 걸린 방화벽을 풀기 망설여지는 이유 1. 알람 트래커가 증가하는게 안좋은 일이라는건 말할 것도 없고, 알람 레벨이 예상치않게 증가해서 경비가 소환돼 잘풀리던 임무를 망쳐버리거나, 추가 카메라가 돌아가서 몇턴 동안 발이 묶일 수 있다.

3.3 Countermeasures

Daemons_Countermeasures.png
3턴 지속. 경비를 소환하며, 3턴동안 해당 경비에게 요원 한명의 위치를 제공해준다.
Validate 데몬의 상위호환. 그냥 단순 소환에 그치지 않고 확실히 끈질기게 따라붙는다. 다행히도 처음부터 나오지는 않고, 스토리 모드의 마지막 미션과 엔드리스 모드의 5일차 이후부터 등장한다. 엔드리스 모드에서는 보안 레벨이 3이 되는 순간 무조건 실행된다.

3.4 Felix

Felix.png
즉시 발동. 랜덤한 양의 자금을 뽑아간다.
현재 미션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그나마 다른 데몬에 비해서는 반가운 편이다. 물론 뽑아가는 자금의 양이 랜덤이기 때문에 푼돈을 뜯기게 될지, 아니면 지갑을 털리게 될지는 랜덤이다.
여담으로, 뽑아가는 금액보다 현재 소지 금액이 적으면 현재 소지 금액만 뽑아간다.

3.5 Fortune

Daemons_Fortune_Algorithm.png
즉시 발동. 200의 자금을 획득한다.
Felix 데몬의 역설계 버전. 돈은 많을수록 좋다.

3.6 Fractal

Daemon_Fractal.png
즉시 발동. 두개의 새로운 데몬을 설치한다.
데몬이 걸린 방화벽을 풀기 망설여지는 이유 2. 이 데몬이 한두번 걸리면 사방팔방에 널린 데몬 그까짓거 뭐 걍 풀어버리지의 자세로 해탈한 자신을 볼 수 있다(...). 요원의 AP가 감소하고, 방화벽은 2~3레벨씩 올라가 있고, 돈도 뜯기고 금고도 열지 못하는 총체적 난국이 펼쳐진다. 다른 장비에 전부 데몬이 걸려있거나 다른 장비 자체가 없는 경우 효과가 없다는게 유일한 희망이다.

3.7 Labyrinth

Daemon_Labyrinth.png
2~5턴 지속. 모든 요원의 AP를 2 감소시킨다.
중첩이 되기때문에 여러개가 동시에 걸릴시 모든 요원이 기어다니는(...) 신세가 된다.

3.8 Order

Daemons_Order_Algorithm.png
2~5턴 지속. 모든 요원의 AP를 3 증가시킨다.
Labyrinth 데몬의 역설계 버전. 3AP 증가면 달리기를 켜고 끄고의 차이와 맞먹을 정도이다.

3.9 Mask

Mask.png
2~5턴 지속. 모든 데몬을 감춰버린다.

3.10 Modulate

Daemons_Modulate_2.0.png
2~5턴 지속. 모든 프로그램의 전력 소모가 2 증가한다.
데몬이 걸린 방화벽을 풀기 망설여지는 이유 3. 패러사이트의 전력소모가 기본 2가 되며, Ping/Shade류의 전력소모 1짜리 프로그램도 남발하기 어려워진다.

3.11 Attune

Daemons_Attune_Algorithm.png
2~5턴 지속. 모든 프로그램의 전력 소모가 1 감소한다.
Modulate 데몬의 역설계 버전. 락픽같은 전력소모가 적은 프로그램과 궁합이 매우 좋다. 정말 희귀한 확률로 둘 이상의 Attune 알고리즘이 걸릴 경우, 락픽을 공짜로 쓸 수 있다. 다만 패러사이트 1.0의 경우 기본 전력소모량이 0이기 때문에 Attune 알고리즘의 효과를 전혀 받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3.12 Paradox

Daemon_Paradox.png
2~5턴 지속. 인코그니타를 정지시킨다.
데몬이 걸린 방화벽을 풀기 망설여지는 이유 4. 감시 카메라때문에 이동을 못하고 있는데 5턴짜리 패러독스가 걸린다면 어떻게 될지 설명이 필요한가?

3.13 Rubiks

Daemon_Rubiks.png
즉시 발동. 모든 방화벽을 1 증가시킨다.
데몬이 걸린 방화벽을 풀기 망설여지는 이유 5. 패러사이트를 여러개 걸고 기다리다 하필 이 데몬이 걸리면 한턴 두턴씩 계획이 밀리게 되고, 결국 시간을 더 많이 지체하게 된다. 다만 정확히 일치해야 하는 렌치류 프로그램을 들고있을때는 쓸모있을지도 모른다.

3.14 Siphon

Daemon_Siphon_small.png
즉시 발동. 현재 전력을 2~5 감소시킨다.

3.15 Validate

Daemon_Validate.png
즉시 발동. 경비를 한명 소환한다.
데몬이 걸린 방화벽을 풀기 망설여지는 이유 6. 경비가 한명 더 생긴다는건 말할 필요도 없고, 대부분 맵 전체를 한바퀴 돌고 일반순찰 상태로 돌아가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곳에서 튀어나온 경비를 마주치게 될 수도 있다.

3.16 Failsafe

Daemons_Failsafe.png
지속기간 2턴. 매턴마다 랜덤한 2개의 시스템을 재부팅시킨다. 일반적인 미션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1]

3.17 Castle

DLC 추가 데몬, 즉시 발동, 임의의 장치의 방화벽을 3 강화시킨다.

3.18 Chiton

DLC 추가 데몬, 지속기간 2-5턴, 모든 경비의 장갑이 1 증가한다.

3.19 Jolt

DLC 추가 데몬, 즉시 발동, 기절한 경비의 KO데미지를 1만큼 줄인다. 끌거나, 제압당한 경비의 기절 데미지는 해당되지 않는다.

3.20 Echo

DLC 추가 데몬, 즉시 발동, 임의의 장치 하나를 리부팅 시킨다.

3.21 Portcullis

DLC 추가 데몬, 방화벽 해제 프로그램의 해체 수치가 2만큼 감소한다. 1이하로 내려가지 않는다.

3.22 Watchdogs

DLC 추가 데몬, 지속기간 2-5턴, 모든 경비의 기절저항이 1증가한다.

4 데몬 2.0

스토리 모드에서는 전혀 등장하지 않고, 엔드리스 모드에서 6일차부터 등장하기 시작한다. 시작할 때 랜덤한 데몬이 무조건 발동하며, 이 데몬은 2.0 버전으로 일반 데몬보다 훨씬 강력하다.
모든 2.0 버전 데몬은 즉시 발동 혹은 20턴동안 지속된다.

4.1 Blowfish 2.0

Daemon_Blowfish.png
즉시 발동. 알람 트래커를 10 증가시킨다.
시작부터 전원이 들어오는 예비 카메라와, 1씩 증가된 방화벽과 맞서 싸워야 한다. FTM에서는 스캐너도 꼬박꼬박 작동하기 때문에 시작부터 경비 두 명이 찾아오게 된다.

4.2 Fractal 2.0

Daemon_Fractal.png
즉시 발동. 모든 보안 기기에 데몬을 설치한다.
보안 기기가 많은 Sankaku 같은 곳에서 이 데몬이 실행되면 그저 눈물만 나온다. 데몬을 이동시키는 Taurus가 무용지물이므로 데몬의 종류를 직접 확인하여 실행하거나 헌터를 이용해서 지워버리는 방법밖에 없다. 아니면 운에 맡기고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노리든지 이쯤되면 보안 기기들도 Magnetic Reinforcements라는, EMP 공격을 방어하는 특성[2]을 지니기 때문에 잠입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

4.3 Modulate 2.0

Daemons_Modulate_2.0.png
모든 프로그램의 전력 소모 +2.
일반 모듈레이트 데몬과 성능은 동일하지만, 20턴이라는 미친 지속시간이 사람을 답답하게 한다.

4.4 Pulse 2.0

Daemons_Pulse_2.0.png
아이템 쿨다운이 3 증가한다.
기본 디스럽터의 쿨다운이 6턴이 된다. 더이상 설명이 필요한가?

5 프로그램

5.1 전력 생산

다른 프로그램에 들어가는 전력을 생산하는 계통의 프로그램. 게임을 시작할 때 Power Drip, Fusion, Seed, Faust 중에 골라서 한가지를 주며, 해당 프로그램들은 이후 추가 구매가 불가능하다. 그 외 프로그램은 구매가능. 예전에는 이전 스테이지의 전력이 고스란히 보존됐기에 스테이지를 종료하기 전 전력을 20에 맞추는게 이득이었지만, 현재는 스테이지 시작시 10으로 리셋되기에 그런 노가다를 할 필요가 없어졌다.

5.1.1 Power Drip

Power_Drip_small.png
패시브. 매턴 전력을 1 얻는다.
심플한 능력이지만 Fusion을 얻고나면 안쓰게 된다. 몇 안되는 장점을 꼽아보자면 신경을 쓰지 않아도 알아서 전력을 생산한다는것 정도?

5.1.2 Fusion

Fusion_small.png
소비 전력 5. 쿨다운 4턴. 이 프로그램이 쿨다운이면 매 턴 전력을 3 얻는다.
초기 투자비용이 있지만 전력 생산능력은 무난하고, 다른 프로그램의 도움 없이 전력을 최대 27까지 저축 가능하기에(전력이 20인 상태에서 퓨전을 쓰면 15가 되며, 이후 4턴동안 3을 회복하므로 회복가능한 전력 12가 추가된다) 제일 많이 쓰게 되는 프로그램이다. 물론 전력이 5 미만의 경우 발전을 전혀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기에 쿨다운이 끝나갈때쯤엔 Siphon 데몬을 주의해야 한다. 쿨타임이 끝날때마다 쓰지 않으면 무쓸모이기에 번거로운것도 포함이다 또한, 인코그니타 프로그램 발동에 패널티를 주는 Modulate 나 Paradox이 발전효율을 떨어트린다는 단점도 있지만, 이 모든 단점을 감안하더라도 가장 쓸만한 초기 전력생산 프로그램이다.

5.1.3 Seed

Programs_Seed.png
패시브. 매턴 처음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소비 전력이 4 감소한다.
골렘과 궁합이 좋다.[3] 시작 해킹 프로그램중에 최고의 효율을 보이는 패러사이트와의 궁합은 최악. 전력 소모 0짜리 프로그램을 공짜로 쓰게 해드립니다! 필요없어
이론상으로는 매턴마다 전력을 4씩 생산하기 때문에 최강이지만, 전력을 비축할 수 없다. 오로지 해킹에 필요한 전력만을 생산한다는 느낌. 방화벽이 낮아 기생충이나 락픽 효율이 좋은 1~2일차에는 여타 전력생산 프로그램에 비해 효율이 떨어질 수 있지만, 방화벽도 늘어나고 프로그램 외적인 전력 수급량이 늘어나는 중반부부터는 두배를 넘어서는 압도적인 효율을 보여준다.

5.1.4 Faust

Programs_Faust.png
패시브. 매턴 전력 2를 생산하며, 20% 확률로 임의의 데몬이 발동한다.
4턴당 전력 7을 생산하는 Fusion과 효율차이는 거의 없으면서 데몬까지 발동하는 프로그램. 단순 전력 생산으로 쓰기엔 효율이 별로고, 데몬이 발동했을때 추가적으로 이득을 얻는 프로그램이나 장비와 함께 운용해야 한다. Central과 같이 사용할경우 평균적으로 턴당 전력 3을 생산하기에 퓨전을 압도적으로 뛰어넘는다.

5.1.5 Emergency Drip

Emergency_Drip_small.png
패시브. 보유 전력이 3 미만이면 전력을 5 추가한다. 3턴 쿨다운. 순간적으로 전력이 모자란 상황에서 급하게 보충시켜주는 가뭄의 단비가 되는 프로그램이다. 전력 생산률이 턴당 2에 가깝기 때문에 발동조건만 지속적으로 만족시켜준다면 전력이 모자랄 일이 없다. 사실상 전력 생산 속도때문보다는 발동조건때문에 발목이 잡히는 일이 더 많다.

5.1.6 Wildfire

Programs_Wildfire.png
전력을 5 얻으며, 맵상의 모든 방화벽이 1 증가한다.
조삼모사...라는 말도 미안할 정도로 심각하게 미래를 팔아먹는 프로그램. 애시당초 맵상에 방화벽이 3개만 존재해도 대부분의 상황에서 손해다. 다만 높지도 않고 낮지도 않고 레벨이 딱 맞아야 작동하는 렌치류 프로그램을 들고있을 때는 쓸모있을지도 모른다.

5.1.7 Abacus 1.0

Abacus_1_small.png
패시브, 시작 전력이 4 증가한다.

5.1.8 Abacus 2.0

Abacus_2_small.png
패시브, 시작 전력이 6 증가한다. 얼리액세스 버전에서는 1.0은 최대 전력 보유량을 5, 2.0버전은 10을 늘려주는 패시브 프로그램이었다.

5.2 방화벽 해제

주력이 되는 프로그램으로, 전자장치들의 방화벽을 해제해 무력화 시킨다. 시작할 때 Lockpick 1.0, Parasite 1.0, Rapier, Brimstone 넷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5.2.1 Lockpick 1.0

Lockpick_1_small.png
소비 전력 2. 대상 방화벽을 1 해제한다. 패러사이트와는 달리 즉시 발동하기 때문에 시작지점 바로 근처에 감시 카메라가 있어도 첫 턴을 사용할 수 있다거나 알람 레벨 증가로 추가 카메라가 설치될때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는 소소한 장점이 있지만, 전성비가 좋지 않아 발목을 잡는다.

5.2.2 Lockpick 2.0

Lockpick_2_small.png
소비 전력 3. 대상 방화벽을 2 해제한다.

5.2.3 Parasite 1.0

Parasite_1_small.png
소비 전력 0. 대상 방화벽을 감염시켜 매 턴마다 1씩 방화벽을 해제한다.[4][5] 초기 버전에서는 쿨타임, 전력 소모 등의 페널티가 없었으나 너프되어 현재는 감염된 방화벽 한개당 소비 전력이 1 증가한다. 예를 들어 이미 감염된 시스템이 2개가 있다면 소모전력은 0+2=2가 되는 셈.

5.2.4 Parasite 2.0

Parasite_2_small.png
소비 전력 2. 대상 방화벽을 감염시켜 매 턴마다 2씩 방화벽을 해제한다. Parasite 1.0과 마찬가지로 현재 감염된 방화벽의 갯수만큼 전력 소비가 1씩 증가한다. 락픽 2.0을 제외하면 범용성이 가장 좋은 프로그램. 다만 레벨 1 방화벽이 여럿 있는 경우 전력 관리가 심히 난감해지는 단점이 있다.

5.2.5 Rapier

Rapier_small.png
현재 알람 레벨+1만큼의 전력을 소모하여 방화벽을 1 해제한다. 임무를 시작하고 초반에는 그야말로 마음껏 방화벽을 제낄 수 있지만, 알람 레벨이 2 이상 올라가면 방화벽 해제가 눈물나게 힘들어지니 임무를 빨리 끝내거나, 아니면 보조 프로그램을 구해놓는 것이 좋다. 또한 알람 레벨이 0이더라도 모든 프로그램의 전력 소모를 2 증가시키는 Modulate 데몬에 걸릴 경우 그야말로 최악의 상황에 빠지므로, 알 수 없는 데몬을 해제하기 전에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것이 좋다.

5.2.6 Brimstone

Programs_Brimstone.png
소비 전력 3. 대상 방화벽을 1 해제한다. 패시브 효과로 데몬 리버설 확률이 10% 증가한다. 단순 방화벽 해제능력은 락픽의 하위호환이지만, 데몬 리버설 확률이 가끔 쏠쏠하게 써먹힌다. 하지만 10%를 믿기엔 슬롯이 아까운 경우가 대부분.

5.2.7 Dagger 1.0

Dagger_1_small.png
소비 전력 1. 대상 방화벽을 3 해제한다. 쿨다운 5턴. 최고의 전성비를 가지고 있지만, 쿨다운이 5턴이나 되고 동일한 프로그램 여럿을 사용하는게 불가능하기에 주 해킹 프로그램으로 사용은 불가능하다.

5.2.8 Dagger 2.0

Dagger_2_small.png
소비 전력 3. 대상 방화벽을 5 해제한다. 쿨다운 4턴. 1.0에 비해 사용하기 매우 애매해졌다. 방화벽 레벨 5를 해제할 상황이면 사방에 방화벽이 널렸다는 의미인데, 쿨다운 4턴동안 프로그램 슬롯 하나가 무의미해진다는 점은 그렇게 좋은 의미가 아니다.

5.2.9 Datablast

Datablast_small.png
소비 전력 3. 거리 5 이내 영역의 방화벽을 1 해제한다. 방화벽 여럿이 가까이 뭉쳐있을 경우 효율이 무지막지하게 높아진다. 또한 패러사이트 2.0 등을 들고있어서 홀수 방화벽이 문제가 되는 경우 해결 용도로도 쓰일수 있다.

5.2.10 Hammer

Hammer_small.png
소비 전력 5. 대상 방화벽을 5 해제한다. 초반에는 그야말로 잉여스킬이지만, 방화벽 레벨이 점점 높아지는 후반에는 쓸만해진다.

5.2.11 Oracle

Oracle_small.png
소비 전력 4. 랜덤한 감시 카메라 하나를 즉각 해킹한다.
한번도 시야에 오지 않았던 카메라라도 즉시 방화벽 숫자와 상관없이 해킹해버린다. 중후반에 카메라가 많아지면 초반부터 정보전에서 많은 우위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데몬이 있든 없든 상관없이 랜덤한 카메라를 해킹하므로, 데몬 프로그램이 넘쳐나는 산카구 스테이지에서는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2연속 데몬이 걸리고, 그중에 방화벽을 증가시키는 루빅스 데몬이 포함되어있다면 턴 되돌리기를 쓰는게 정신건강에 좋을것이다.

5.2.12 Wrench ?

Wrench_small.png
소비 전력 ?. 방화벽 레벨이 정확히 버전과 일치하는 시스템을 해킹한다. 레벨 2~5까지 존재하며, 2~4까지는 레벨과 소모전력이 동일하며 레벨 5는 소모전력이 4이다. 즉시 발동하는 해킹 프로그램 중 최고의 전성비를 보여주지만, 딱 맞는 방화벽만 제낄 수 있으므로 렌치 단독으로는 할수있는게 거의 없다. 왜 렌치 4가 있는데 방화벽은 3레벨이니

5.3 데몬

방화벽에 걸려있는 데몬을 탐지, 무력화 하는 계통의 프로그램.

5.3.1 Daemon Sniffer

Daemon_Sniffer_small.png
소비 전력 0, 쿨다운 5턴. 데몬의 효과를 드러낸다. 헌터 프로그램이 없는데 데몬이 걸린 방화벽이 있다면 먼저 훑어보고, 안 위험한 경우 그냥 풀어버리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5.3.2 Hunter

Hunter_small.png
소비 전력 5, 쿨다운 3. 해당 방화벽에 걸려있는 데몬을 삭제한다. 삭제시 데몬은 효과를 발동하지 않고 사라지지만, 방화벽 자체는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한다.

5.3.3 Taurus

Taurus_small.png
소비 전력 2, 쿨다운 없음. 데몬을 랜덤한 다른 장비로 이동시킨다. 중요한 장비에 걸린 데몬을 피할 수는 있지만, 결국 언젠가 건드릴 데몬은 건드리게 돼 있다(...).

5.4 기타

5.4.1 Leash

Leash_small.png
패시브. 모든 드론의 해킹 유지시간을 1턴 늘린다. 감시 드론의 경우에도 3턴이 유지되기 때문에 더 넓은 영역을 볼 수 있고, 공격 드론의 경우에도 2번 발사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좋다.

5.4.2 Ping

Ping_small.png
소비 전력 1, 쿨다운 4턴. 해당 위치에 소음을 발생시켜, 경비들의 시선을 돌린다. 이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겠지만, 달리기의 소리를 조사하러 가는 경비나, 상태가 stationary인 경비들의 시선을 잠깐 돌리고 지나가는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5.4.3 Shade

Shade_small.png
소비 전력 1, 쿨다운 2턴. 사용한 턴에 모든 경비의 시야각을 좁힌다. 일반 경비의 경우 붉은색 체크무늬로 표시되는 '인지됨' 영역이 사라진다!

5.4.4 Wings

Wings_small.png
소비 전력 1, 쿨다운 2턴. 모든 요원의 행동력을 2 늘린다. 설명에서는 요원이라고 되어있지만, 실제로는 특수 임무의 배달원, 구속 센터의 인질들에게도 적용된다.

5.4.5 Wisp

Wisp_small.png
소비 전력 3. 현재 시야에 들어오는 모든 경비를 태그하여, 현재 위치와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Tag Pistol과 유사하지만, 여러가지 차이가 있다. 전력 소모량이 3배로 많이 들긴 하지만, 시야에 몇명의 경비가 잡혀있냐에 따라서 월등한 효율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한 명의 경비밖에 태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태그 피스톨과 달리 다수의 경비를 한번에 태그할 수 있다는 점도 태그 피스톨에 비해 좋다. 경비 대여섯명이 태그되어있다면 일일이 기억할 수 없는 경비들의 경로가 한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계획을 짜기가 매우 용이해진다.

5.4.6 Turing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Programs_Turing.png
소비 전력 5, 쿨다운 3턴. 맵 상의 모든 방화벽을 2씩 감소시킨다. 스토리 미션의 마지막 임무에서 전력부족으로 자각몽 상태에 빠진 인코그니타가 2045년 런던의 날씨를 예보하면서 만들어낸 프로그램. 나를 왜 만들었나요?, 인간과 개미의 사회는 유사한 점이 많죠. 그 둘을 구분할 수 있나요? 같은 심각한 대사와 함께 튜링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이 추가된다.

6 엔딩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방대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있는 OMNI에 침투한 요원들과 몬스터의 도움으로 센트럴은 아슬아슬하게 주 전산망에 인코그니타를 접속시켜 활성화 시킨다. [6]센트럴의 위치로 집결하는 무장경비들을 다른 위치로 분산시킨 인코그니타는 곧이어 자신이 모든 네트워크를 조종할 수 있게 됐다면서 레이저 방위 위성들에 접속하여 적대기업들의 위치를 노출시켜 전부 끔살시켜버린다. 갑작스러운 인코그니타의 폭주에 당황한 센트럴은 곧이어 이 모든게 처음부터 인코그니타의 계획 하에 벌어진 일이었던것을 깨닫고 멘붕하게되고...[7] 인코그니타는 그런 그녀를 보며 여지껏 도와준 감사의 표시로 목숨만은 살려주겠다며 출구를 열어준다.

밖으로 나온 센트럴에게 몬스터는 당황해하며 어떻게 된것이냐고 물어보고, 센트럴은 인코그니타는 더이상 우리 회사 소속이 아니라면서 다른 요원들과의 연락을 시도하며 끝난다.
  1. 최종 임무에서 Monst3r가 비밀번호를 알아낸 후 설치된다.
  2. 남아있는 방화벽이 3 이상일 때 EMP 공격을 받으면 기기가 정지하는 대신 방화벽이 2 감소한다.
  3. 사실 골렘 하나만 가지고 있다면 크게 좋지는 않다. 골렘의 메리트가 사라지기 때문. 허나 데이터 폭발이나 오라클같은 프로그램이 하나씩 더 생기면 그때부터 효율이 많이 좋아진다.
  4. 정확히는 자신의 턴으로 넘어오기 직전에 1을 해제한다. 따라서 1턴 후 전원이 들어오는 감시 카메라를 감염시킬 경우, 경비 턴 종료 - 감시 카메라 작동 - 방화벽 해제 - 자신의 턴 순서로 이뤄지기 때문에 알람 레벨이 1 증가한다.
  5. 이러한 동작방식때문에 알람 레벨이 1에서 2로 넘어갈때 방화벽 증가가 걸린다면, 방화벽 증가 이후 패러사이트 해킹이 이루어진다.
  6. 다른 요원으로 엔딩을 보려하면, 인코그니타가 "only mother may pass"라 말하며 들여보내주지 않는다.
  7. 모든 네트워크를 장악하고 싶었던 인코그니타는 invisible inc.와 자신을 위기로 몰아넣는 도박을 벌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