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

연료를 제외한 동음이의어에 대해서는 LPG(동음이의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분별증류로 얻는 석유제품
LPG(액화석유가스)~30℃
휘발유30~140℃
나프타140~180℃
등유180~250℃
경유250~350℃
중유350℃~
윤활유잔여물
아스팔트


Liquefied Petroleum Gas
Autogas[1]

1 개요

액화석유가스. 가정용, 업무용, 공업용,운송용(주로 택시)의 연료로 쓰기도 한다. 잘못 다루면 폭발할 가능성이 높기에 주의.원유를 정제할 때 제일 처음 나오는 물질로 주성분은 프로판부탄가스이다. 프로판은 가정용으로(20kg 그 이상의 가스통에 담긴게 이거다) 사용하며 부탄은 자동차용으로 주로 쓰고 캔에 담겨 브루스타[2]라 불리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넣는 용도로 사용한다. (부탄가스 문서 참조.)

pcp_download.php?fhandle=RDhvN0BmaWxlLmFnb3JhLm1lZGlhLmRhdW0ubmV0Oi9EMDAzLzAvNDcuanBn&filename=10.jpg
2002년경 HID동지회, 설악동지회 등 북파공작원 출신들이 실체인정과 보상을 요구하면서 가스통을 불에 붙여서 굴리면서 시위를 한 사례가 다수 있었다.
이건 유명한 소드마스터 짤방의 원본.
pcp_download.php?fhandle=RDhvN0BmaWxlLmFnb3JhLm1lZGlhLmRhdW0ubmV0Oi9EMDAzLzAvNTMuanBn&filename=3.jpg http://file.agora.media.daum.net/pcp_download.php?fhandle=Nk8wYzlAZmlsZS5hZ29yYS5tZWRpYS5kYXVtLm5ldDovSzE2Mi8wLzMwLmpwZw==&filename=설악동지회.jpg pcp_download.php?fhandle=MXZrUTJAZmlsZS5hZ29yYS5tZWRpYS5kYXVtLm5ldDovSzE1My8wLzYyLmpwZw==&filename=020315_lee_08.jpg

09년도 말에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담합과 관련[3]하여 정유사 전체에 총 6689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였는데[4] 이는 과징금 사상 최고액에 해당[5]한다. 이후 행정소송이 진행되었는데 정유사의 패소 쪽으로 저울추가 기울고 있다. 2011.08.18일 현대오일뱅크가 패소 판결을 받았고 나머지 정유사도 큰 이변이 없는 한 동일 조건의 판결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뉴스 참조 대법원 고고 [6] 결국 대법원 상고심에서 공정위의 처분이 정당하다는 결론으로 최종 확정 되었다. 뉴스 참조

1.1 수송용 LPG

프로판의 경우 끓는점이 낮고(-43℃) 기화가 쉬운 반면 부탄은 끓는점이 높아 (-0.5℃) 추운 겨울철, 부탄이 기화가 되지 않아 야외에서 사용이 좀 어려운 단점도 있지만 대신 열량이 더 높다는 장점도 있다. LPG 충전소에서도 위의 문제로 겨울에는 프로판을 일부 섞어서 판다.
주성분이 메탄이라 분자량이 작고 비중이 높아서 가스가 새면 하늘로 날아가는(이건 지구온난화의 주범 중 하나..) LNG와 달리 LPG는 바닥에 깔린다.[7] 그래서 가정용으로는 더욱 위험해서 취급에 절대 주의를 요한다[8].

남아돌아서 수출까지 하는 휘발유 등과는 달리 사용량의 상당량을 외국에서 수입하며 사우디 아람코 사에서 정한 가격에 환율, 세금 등을 묶어서 매월 1일 가격고시 후 팔고 있다. 휘발유 값이 쭉쭉 떨어지던 2014년~2015년초 당시에도 LPG는 가격 하락이 진행되지 않아 공급사들은 욕을 바가지로 먹었으며(특히 택시 기사들의 반발이 거셌다) 2016년 현재 가격은 휘발유의 60%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2 LPG 차량

대한민국에서는 장애인과 국가유공자(및 그 자녀), 택시 사업자(및 기사), 렌터카 사업자만 7인승 미만의 차량을 구매할 수 있다. 일반인은 7인승 이상 승용차, 경형 자동차에 한하여 구매할 수 있다.

장애인은 이동권의 보장과 저렴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지적 측면에서, 국가유공자는 수혜면에서, 렌터카, 택시 사업자는 저렴한 연료 사용을 보장하는 보조성격이 강하다. 7인승 이상 승용차는 RV형 차량과 미니버스 차량에서 주로 쓰이나 2016년 기준으로 큰 인기는 없다.
그동안 일반인은 6인승 이하 LPG 차량 구매가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중고 LPG차량의 중고 거래 또한 LPG 구입 자격자로만 제한되어 있어 수요자가 적기에 차량의 감가상각이 컸다. 하지만, LPG 의무 수입량이 늘어나고 있고 LPG 차를 구입하는 장애인 中 경제 취약계층이 많아 이들의 재산상 손실을 보전해야 한다는 논리로 차령 5년 이상에 한하여 일반인의 6인승 이하 승용차 명의이전이 2011년부터 허가되었다.

최근에는 렌터카와 택시차량 중 5년 이상 사용된 차량에 한해서도 2017년부터 일반인의 명의이전이 허용될 예정이다.

LPG 차량을 운전하는 소비자들은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교육하는 액화 석유 가스 사용 자동차 운전자 안전 교육(3시간)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안 받으면 과태료 20만 원. 다만, 여러 현실적인 이유(경찰공무원은 LPG 교육에 대한 단속 권한이 없다!)로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 물론 택시 기사들은 안 받으면 취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니 꼬박꼬박 받는다. 택시 운전 자격증을 취득하였으면 LPG 운전자 교육을 무료로 수강받을 수 있으니 참조하도록 하자.

2.1 특성

연료계통을 제외하면 가솔린엔진과 구조가 같다. 따라서 가솔린차량도 출고후 약간의 개조를 통해 LPG차량으로 사용가능하다.가솔린에 비해 열량이 적기 때문에 출력과 연비가 떨어지고 상온에서 불안정한 연료특성 탓에 부수적인 에너지손실이 있다.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세단은 트렁크에 가스봄베가 위치하기 때문에 대부분 트렁크공간에서 손해를 보며 가스 봄베가 무겁기 때문에 승차감이 떨어지는 편이다. 일부 순정차량[9]이나 출고후 개조 차량은 # 스페어 타이어 자리에 도넛형태의 가스봄베를 장착하기도 있다.[10]

겨울철 시동을 끌때는 차량에 있는 LPG버튼을 눌러 연료를 차단하여 연료계통에 남아있는 잔연료를 모두 소모하고 자연스레 시동이 꺼지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경우 연료라인에 남아있는 가스가 얼어 시동이 안걸리는 일이 생긴다. 특히 사고시나 화재시엔 필히 이 버튼을 눌러 연료를 차단하고 대피하여야 한다.

가스차가 법적으로 충족해야할 사항은 실내공간에 봄베가 설치되어있으면 안되며 해치백차량 또는 원박스 카처럼 부득이 실내공간에 봄베를 설치하여야할 경우 봄베를 감싸는 금속제 외피를 둘러야 설치가능하다는 조항이 있다. 또한 트렁크리드에 열쇠잠금장치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키 차량에도 별도의 열쇠구멍을 만들어야한다.

비상시에는 부탄가스를 별도의 어댑터를 통해 주입하여 임시로 운행할 수 있다.[11] 임시라고 쓴 이유는 성능의 부족 그런것보단 가격. 국민연료 썬연료 한 캔과 LPG 충전소 가격을 비교해보면 답이 나온다.

2.2 종류

2.2.1 기계식

액화된 석유가스를 베이퍼라이저로 보내서 1차-2차 감압을 거친후, 기화된 가스를 믹서로 공기와 섞는방식
믹서부분이 쓰로틀이며 베이퍼라이저라는 기화기가 별도로 들어가는것만 제외하면 가솔린의 카뷰레터(기화기)와 판박이인 연료시스템이다.

구조가 간단 하지만 성능도 낮고 효율이 떨어지며, 특히 겨울철에는 낮은 기온으로 인하여 기화가 어려워서 예열이 다되기 전까지는 본성능을 내지 못한다.

베이퍼라이저의 경우 카뷰레터와 마찬가지로 수시로 점검하여 항상 최적인 세팅를 유지해줘야 하는 귀찮음 또한 공존한다.물론 이상이 있을때까지 점검하지 않지만...

한국의 경우 LPG를 사용하는 차량이 택시나 렌트같은 영업용이나 장애인용 차량만 사용가능하는등의 제약이 조금있다.
이런차들은 일단 굴러만 가면 되기때문에 단가가 싼 SOHC 8밸브엔진[12]을 많이 적용했다. 여기에 기계식 연료시스템은 전자식대비 80~90% 정도의 효율만 냈기때문에 당시 2리터 sohc엔진 기준으로 가솔린은 110~120마력이였지만 LPG차량은 90~100마력이 고작...여기다 2리터엔진을 올리지 않고 1.8리터 엔진을 올린 경우도 있었기때문에 이 경우는 출력이 80마력대 까지도 떨어졌다.

그나마 DOHC 16밸브[13] 을 적용한 LPG 차량은 130마력 정도로(2리터엔진기준) 준수한 성능이 나왓다.

2.2.2 전자제어식

전자제어식은 Feed Back 기능이 들어갔기때문에 현재의 MPI가솔린 엔진과 거의 비슷한 성능을 가지게 된것이 특징이다.

현재 두가지 방식이 사용되는데 액상분사와 기존의 기화식이 있다.

액상분사식 시스템은 기존에 있던 별도의 감압장치(베이퍼라이저)를 거치지 않고 액화상태 그대로 인젝터를 통해 분사하는 방식이다. 따지고보면 가솔린 MPI와 같은 방식이며 가솔린대비 효율이 99% 정도까지 좋아졋다는게 크나큰 특징. 이 방식은 고압분사도 가능하기때문에 향후 GDI와 같은 연소실 직접분사방식을 적용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원표를 보면 MPI사양과 LPI사양의 성능 차이가 조금 있는걸 알수 있는데, 이는 가변밸브 기구 같은 단가 상승하는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기때문. 그래도 LF쏘나타 LPI는 150마력 정도 나오니 과거 2.0리터 가스차량보다는 나은 성능을 보인다.

여기서 사람들이 많이 오해하는 부분이 사실 액상분사식이지만 이걸 직분사라고 표현을 하는데 차알못인 사람의 경우 이를 GDI과 같은 연소실 직접분사 방식으로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이 보인다.
따라서 현대자동차의 LPI 시스템은 액상분사라고 용어를 사용해야한다.

기화식은 베이퍼라이저가 존재하며 감압과정 까지는 기존과 같지만, ECU의 Feed Back을 받아 기화된 가스를 공기와 혼합시키는 방식이다. 기존처럼 믹서를 이용해도 되고[14] 인젝터를 사용해 SPI[15]방식을 사용해도 되며 현재는 대부분 MPI[16] 방식을 적용한다.

이 방식은 큰 단점이 있는데 연료상태가 기화된 상태라서 환경에 따라 성능이 천차만별인데 기존 기계식 방식과 마찬가지로 기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 때문에 대우자동차의 LPG-i 가 많이 까이고 있다

2.3 LPG 가스겸용 차

가솔린엔진이 장착된 차량을 출고후 사용자가 LPG가스차량으로 개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LPG가스 겸용차로 개조된다. 가솔린과 LPG가스를 둘다 쓸 수 있는 차량인 것. 해당 차량의 이점은 가스충전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가솔린연료만으로도 운행가능 하단 것과 겨울철 시동불량문제에서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다.[17] 완성차 업체인 기아자동차에서도 모닝에 LPG가스 겸용차를 출시했다.

한가지 문제점이라면 LPG와 가솔린은 연료적 특성이 다르기때문에 엔진 세팅또한 약간 달라져야 된다. 과거 LPG 겸용 개조차들의 문제가 많았던것도 이말과 연관이 있는데, 순정으로 바이퓨얼이 되는 차량은 ECU에 가솔린세팅과 LPG세팅이 따로 되어있지만[18], 개조된 차량은 그렇지 못한게 문제가 된다. LPG때에는 점화시기를 다르게 해주거나 LPG용 점화플러그로 변경해야되는 것들이 있지만 [19] 겸용 개조시 ECU는 따로 건들지도 않으며, 후자는 많이 남겨먹을려고 점화플러그를 그대로 쓴다던지...

그나마 LPG전용으로 개조되는 거라면 LPG용 ECU로 갈아 끼운다던지 LPG엔진으로 바꾼다던지의 방법이 있다. 근데 이 경우는 대차를 하는게 빠르다.

3 LPG 버스

2016년 현재 대한민국에서 버스 연료로 쓰이는 가스는 대부분 LNG이지만, 과거에 시범적으로 LPG 버스를 운행한 적이 있다. 서울에서는 1968년 10월에 시영버스 27대, 일반버스 50대에 시범적으로 LPG 연료가 도입되었는데 1968년 11월에는 시영버스 50대가 LPG 버스로 증차되었다. 당초에는 1969년까지 시영버스 100대 모두 LPG 연료화 하려고 계획 했으나 1969년 이후로 LPG 연료의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정부에서 LPG 가스 사용 억재책을 마련하여 1970년에 LPG 연료 가격을 125%나 인상하는 바람에 LPG 연료를 사용하는 버스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고, 그 후로 수십년간 LPG 버스가 다시 등장하지 않았다. 그 이후로는 수도권에서는 포천 버스 7번에 시범적으로 투입된 적이 있고 LNG 수송 문제로 CNG 충전소를 운영하기 힘든 제주도에 2000년대 초 시범적으로 도입된 적이 있다. 하지만 친환경 문제와 경제성 문제 등으로 LPG 버스의 상용화가 취소되면서 천연가스버스만이 남게 되었다.

4 일상생활에서의 이용

뜬근없이 도시가스보다 비싼 LPG를 누가 난방하는데 사용하냐고 하겠지만.. 실제로 쓴다.
대다수의 도시에서는 난방에 도시가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 도시가스의 성분은 아시다시피 LNG이나, 제주도 지역에서는 2016년 현재까지 LNG인수시설이 없기때문에 LPG를 도시가스로 이용하고 있다. 해당지역에 LNG인수시설이 완공되는 2019년 이후부터 점차적으로 LNG 도시가스로 전환할 예정이다.
제주도 이외 지역에서는 도시가스가 들어올 가능성이 낮은 농촌의 일부지역에서 난방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도시가스 보다는 비싸지만, 등유보다는 싸고, 화목, 연탄보다는 쉽기때문에...
이용방식은 주로 전원주택을 신축하면서 자체적으로 소형 LPG탱크를 설치하고, 가스 공급업체에서 탱크로리를 이용하여 배달 및 충전해주고 충전량에 따라 결제하는 체적거래를 이용한다.
또한 경제력이 약하여 개별 가정이 탱크를 설치할수 없는 낙후 농촌지역의 경우 국비와 지자체예산에 주민들이 일부 부담하여 마을 공동 LPG탱크를 설치하고, 각 가정까지 가스를 공급하는 시설을 보급하는 중이다.
도시에서도 일부 식당의 경우 과거에는 화력을 높이기 위해 흔히 생각하는 가스통보다 큰 가스통을 다발로 엮어서 쓰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는 식당에서 자체적으로 LPG탱크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가스 탱크의 경우 일정기간 일정량의 가스 공급계약을 체결하면 가스공급업체에서 탱크를 설치해 주는 경우가 많다. 산업용은 대부분 이런식으로 이용하다 기부채납 받는 식이며, 가스업체에서 검사까지 대행해준다. 또한 가스통을 이용하는것 보다 체적거래를 이용하는것이 가격측면에서 훨씬 이득이 된다. 아무래도 가스통의 배달ㆍ회수ㆍ재충전ㆍ유지관리ㆍ파손[20]등의 상황에서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1. 차량에 쓰일 시
  2. 블루스타
  3. 각 사별로 공급가 차이가 0.XX원 수준밖에 되지 않았다. 서울시의 경우 싼 곳과 비싼 곳의 휘발유 가격 차이가 리터당 수백원까지 났던 것에 비해(이는 부동산 등의 여러 원가 요소가 감안된다) 이런 차이가 전혀 반영되지 않고 지역별로 가격 차이가 10원도 나지 않았던 등 여러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4. 자진신고한 SK는 1602억원을 부과받았지만 리니언시 조항에 따라 면제 받았다.
  5. 이전은 퀄컴사에 부과된 2600억원이 최고였다.
  6. 공정거래법에 따른 재판은 이례적으로 2심제를 적용한다. 서울행정법원이 설립되면서 행정소송도 2심제에서 3심제로 변경되었지만 해당 재판은 아직도 1심을 고등법원, 최종심을 대법원에서 관할한다. 사유는 공정위의 처분을 1심으로 보기 때문.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있어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7. 그래서 가스누출 경보기를 설치할때에도 LNG는 위로 뜨는 성질이 있어서 천장쪽에 설치하며, 반대로 LPG는 바닥에 가라앉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아래쪽에 설치한다.
  8. 같은 무게의 TNT와 같은 폭발력을 지니며 넓게 퍼트릴 경우 33kg만으로도 6층짜리 빌딩을 붕괴시킬 수 있다.
  9. 르노삼성의 Sm5노바 LpLi 차량과 Sm7노바 Lpe해당
  10. 본인 부담 하에 일반가스봄베->도넛형 가스봄베 교체도 가능하다. 단, 이 경우 교통안전공단의 승인을 필히 받아야 한다.
  11. LPG의 주 성분이 뷰테인이기 때문이다.
  12. 4기통 기준 6기통은 12밸브
  13. 4기통 기준
  14. 이 경우 믹서가 전자화가된다. 가솔린의 FBC(Feed Back Caburater)과 같다
  15. Single Point Injection 다른말로는 TBI Throttle Body Injection 이라고도 한다
  16. Multi Point Injection
  17. 시동시엔 가솔린으로 점화, 이후 가스연료로 변환
  18. 점화시기나 연료 분사량
  19. 보통 LPG의 점화플러그가 열가가 높다
  20. 특히 밸브의 파손이 잦다. 그리고 밸브한개 깨먹으면 가스통에 들은 가스값보다 더 많이 물어줘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