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lt and Sanctuary/보스

Salt and Sanctuary에 등장하는 보스들.

소개하기에 앞서 약간의 팁을 주자면, 거의 모든 보스룸 앞에는 촛대가있다. 다만 스킵 가능한 보스는 정상 진행했을경우 보스를 클리어하고 나오는 길로도 보스전 진입이 가능하고, 그 길에는 촛대가 없다. 즉, 보스룸으로 들어가는 입구 앞에만 촛대가 있다고 보면 된다. 켜진 촛대의 수는 최근에 격파된 횟수. 난이도가 아니라는 것에 주의.

다크 소울 시리즈가 그랬듯, 대부분의 보스가 좋은 방패 하나를 들면 난이도가 급락한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보스들은 패링이 불가능. 또한 소울 시리즈와는 달리 적에게 살해당할 경우 해당 몹이 플레이어의 솔트를 들고 있는데, 다행히 보스는 일정량의 체력만 깎아내도 빼앗아간 솔트를 되돌려준다.

1 The Sodden Knight

width=100%
The Sodden Knight
한글명 생기없는 기사
장소 The Festering Banquet
드롭아이템 1,000 솔트[1]
900 골드
Fortress Key
The Sodden Knights' Ashes
약점 타격/전기/성/신비
공격속성 물리/번개

페이즈 1

1. 한 손에 번개를 모아 내려쳐 전기 구체를 좌우로 보낸다.

점프만 하면 피하기 쉽다. 오히려 패턴 도중 보스가 움직이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점프어택으로 소소하게 딜을 넣을 수 있는 패턴. 다만, 점프 도중에 시전중인 마법을 시전중인 마법에 닿거나 갈라지기 전에 직접적으로 맞으면 5~60%정도 체력이 닳는다. 이 패턴에 맞을경우 멀리 날아가서 다음 패턴에 피하기 힘들어지므로 주의.

2. 점프 내려찍기.

모션이 크기 때문에 적당한 거리에 있으면 플레이어를 뛰어넘기 때문에 구르기로 적당히 거리를 조절하면 피하기 쉽다. 다만 너무 가까히 있으면 점프하는 몸에 맞으므로 주의.

3. 검으로 크게 베고 찌르기.

연속 공격이나 찌르기 등 근접공격 패턴은 연속으로 보스의 뒤로 굴러주면 간단하게 피할 수 있다.

페이즈 2

전체적으로 기사의 모든 공격이 빨라지기 때문에 구르기를 할 경우 약 0.5~1초 더 빠르게 해야한다.

1. 번개 마법 이후 점프공격.

번개 마법이후 점프 공격을 하는데 번개 마법을 점프로 피하자마자 구르기를 해서 피한다.

2. 점프 내려찍기 후 두번 베기.

페이즈 1 의 점프 내려찍기 이후 즉시 플레이어 방향으로 2번 베기 때문에 보스 착지 후 2번 연속으로 보스의 뒤로 구르기를 하면 쉽다.

3. 검으로 베고찌르기 강화형.

페이즈 1과 다르게 모션이 엄청 빠르니 방패로 버티거나 빠르게 보스 뒤로 굴러주자.

초반인 만큼 성소에서 충전해주는 포션이 3~4 뿐일테니, 무리하게 공격하기보다는 생존을 우선시할 것.

지역 상층에서 나오는[2] 수류탄 5개가 있다면 페이즈 2 진입 시 멀리서 던져주기만 하면 데미지가 엄청나게 들어가서 근접해서 구르기보단 빨리 클리어가 가능하다. 처음부터 던지면 페이즈 2에 진입하고도 피통이 약간 남아있으므로 그나마 수월한 페이즈 1에선 직접 빼는 편이 좋다. 단점은 기회가 한번뿐이라는 것.

보스로부터 얻는 The Sodden Knights' Ashes로는 나중에 나오는 연금술사에게 대검 카테고리 무기를 연성할 수 있다. 가는 도중에 하나 얻을수 있어서 강화템만 있다면 상당히 쓰기 좋은 대검을 사용할 수 있다.

설정으로는 옛날부터 지루한 연회를 지키던 기사라고 한다. 연회에는 전혀 참가하지 않고 우직하게 그곳을 지키고 있는 금욕적인 기사라고. 저 망토는 불어오는 해풍때문에 소금기에 절어있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처치 시 주는 소금이 망토의 소금기로부터 오는 소금일 듯 하다.

2 The Queen of Smiles

width=100%
The Queen of Smiles
한글명 미소짓는 여왕
장소 Village of Smiles
드롭아이템 5,000 솔트
~2,259 골드
The Queen of Smiles' Ear
약점 신성
공격속성 물리

방패를 쓰면 그럭저럭 쉽게 깨는편이지만.. 방패를 안쓴다면 입문자 구르기 테스트 1

미소의 여왕은 점프를 할 필요없이, 구르기만으로 회피가 가능하니 잘보고 피해야한다. 하지만 방패를 들고 있을 경우 대부분의 패턴이 파훼가 되기 때문에, 방패를 쓰고 안쓰고의 차이가 상당히 큰 편.

  • 1 페이즈

칼날 날리기 패턴은 거리 조절만 잘해도 안 맞고 맞아도 안아픈 기술. 리치가 긴 무기를 사용한다면 딜타임을 만들기도 용이하다.
돌진패턴은 자기 팔에 달린 칼날을 세워서 돌진하는 패턴이다. 구르기 무적 시간을 잘 이용해야하며, 거리에 따라서 타이밍이 맞질 않으면 어떻게 피해도 맞는다. 정확한 시간에 맞춰서 피하거나 , 돌진 거리가 끝날 때쯤 팔이 움직이는데, 그때 피하자. 이걸 못 피하면 계속 맞게되니 반드시 피할 것. 돌진 직후에는 내려찍기 패턴을 자주 볼 수 있다. 플레이어가 근처에 있으면 내려 찍는다.. 여기서 더 나아가면 내려 찍고 플레이어가 회피한곳으로 올려치니깐 이 패턴이 나오면 양손무기를 들었을때 들어갈지 안들어갈지 판단을 잘 해야 한다.

내려찍기 패턴은 내려찍기 1타, 내려찍은 후 올려치기 2타, 올리치고 다시 내려찍기 3타까지 나올 수 있다. 중간에 멈출 수도 있고 계속할 수도 있으니 2타 올려치기 끝났다고 접근할 때는 주의하자.
  • 2 페이즈

2페이즈 돌입시에는 공속/이속이 전반적으로 올라가는 편이니 주의할 것.

또다른 돌진패턴으로 칼을 풍차처럼 돌리는 패턴이 추가된다. 칼날을 붕붕 돌리면서 돌진하는데 1페이즈 돌진하고 비슷하나, 1페이즈 돌진보다 선딜이 짧아 구르기로 피할 경우 타이밍을 다시 익힐 필요가 있다. 방패로 막을 경우에는 1히트만 뜨고, 나머지는 죽 밀리기만 한다. 그러나 사실 1타 판정인 것은 아니며, 뭣모르고 방패를 풀었다간 갈려나가니 주의.
칼날 날리기 패턴 이후 풍차돌리기를 잘 쓰는 편이다.

설정상으로 타지에서 인자한 영주에게 결혼해온 여인이었는데, 그가 먼저 죽고 난 후 정신이 삐딱해져 시도때도 없이 마을 사람들을 학살시키고 그 시체를 빨간마스크 마냥 입을 죽 찢어 마을 벽에 거는 짓을 하다가(해당 지명이 Village of Smiles, 미소의 마을인 이유) 결국 민란이 터져 자신은 턱이 박살나(최고의 미소를 주겠다며...) 죽게 되었다 한다.

3 The Mad Alchemist

The Mad Alchemist
한글명 광기의 연금술사
장소 The Watching Woods
드롭아이템 8,000 솔트
~4,010 골드
The Mad Alchemist's Ear
약점 베기, 모든 속성
공격속성 독, 화염, 번개

페이즈 1
미친 연금술사는 직접 공격패턴은 없으며, 여러 가지 물약을 던져 공격을 해온다. 각 물약병별로 특징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 녹색 - 독가스+슬라임생성  : 가장 성가신 패턴. 물약이 떨어진 자리에 독가스를 만들며 슬라임 한 마리를 만들어내는데, 슬라임에만 붙잡혀도 중독치가 꽉 차버리는데다가 독가스까지 떠올라 매우 위험하다. 사실 순간 화력도 순간화력이지만 중독이고 슬라임이고 지속성이라는 특성때문에 특히 위험. 마법유저라면 파이어볼을 써서 1방에 슬라임을 녹여버릴 수 있다. 번개의 경우 최대 2타겟 동시공격이므로 슬라임과 보스 본체를 동시에 공격하기 편하다.
  • 붉은색 - 한 번에 세 병을 던지며 화염구를 불러낸다. 나타난 화염구는 잠시 제 자리에 떠있다가 플레이어를 향해 날아간다. 유도성은 없지만 맞으면 꽤 아프다.
  • 보라색 - 한 번에 세 병을 던지며 검은 안개를 만들어낸다. 검은 안개에서는 보라색 투사체가 2회 포물선을 그리며 캐릭터의 위치로 빠른 속도로 뛰쳐나온다. 1페이즈에서는 아직 크게 위협적이지는 않다.
  • 파란색 - 한 번에 세 병을 던지며 푸른 구체를 만들어낸다. 구체는 일정 시간이 지날 때까지 플레이어를 추적하다 바로 아래로 라이트닝 볼트를 발사하는데, 라이트닝 볼트를 발사할 때는 플레이어와 상관없이 이동하던 방향으로 이동한다.
  • 도약 : 알케미스트는 직접적인 공격은 전혀 없다. 다만 도약패턴으로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갖가지 약병을 던지는 것이 매우 성가시다.

페이즈 2
행동속도가 늘어나고 , 점프거리도 늘어나며 , 물약 던지는 횟수도 많아져서 반달형 투사체를 신나게 던진다. 알케미스트 공략은 회피도 점프도 아닌 딜로 빠르게 녹여버리는게 유리하다. 구르기로 회피하려면 독가스나 검은 안개가 길을 가로막고 수시로 화염구나 벼락이 떨어지는데다가, 모든 공격이 높이차이를 무시하고 들어오기 때문에 점프 회피도 여의치가 않은 편. 다행히 연금술사는 체력이 낮으므로 최대한 슬라임을 따돌려가며[3] 화력으로 밀어붙이자. 파란색 플라스크의 전격 공격은 넉백이 없어 맞는것을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보스만 때려잡다 되려 끔살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할 것.

원래 뛰어난 마술사이자 연금술사였으나, 연구를 하면서 점점 그 독에 삼켜져 끝끝내 과거의 영광은 껍데기만 남긴 채 괴물이 되어버렸다고 한다.

4 Kraekan Cyclops

Kraekan Cyclops
한글명 크레칸 사이클롭스
장소 Sunken Keep(가라앉은 성채)
드랍템 5,000 솔트
~3,500 골드
Green Key
Kraekan Cyclop's Horn
약점 타격, 모든 속성
공격속성 물리

초반에 볼수 있는 거대보스중 하나. 방패를 쓰면 무난하게 깨지만 구르기로 깨갰다 싶으면 난이도가 좀 올라간다. 가라앉은 성채는 두 보스중 하나만 잡으면 되지만, 보스인 만큼 솔트를 대량으로 얻을 수 있으니 둘다 잡아보자.

사이클롭스의 경우 거대보스이기 때문에 공격범위가 매우 넓다. 성소에서 거리도 그리 멀지 않기 때문에 구르기 연습을 하기에 꽤 좋은 보스.

페이즈 1
내려치기 패턴은 내려 찍는 순간 구르기 무적 시간을 이용해서 피하거나 방패로 막아주면 OK. 찌르기는 선모션이 빠른편에 속한다. 이 두 가지는 구르기로 피할 경우 2~3타 정도 때릴 수 있는 딜타임을 벌 수 있다.
점프후 내려치기는 소든 나이트와 비슷한 감각으로 굴러주면 된다.

1페이즈에서는 올려치기 패턴을 가장 조심할 것. 칼을 거꾸로 잡고 올려치는데 어설프게 굴렀다간 무조건 맞는다. 범위가 보스의 옆구리에서부터 정면 칼날 범위 전체라고 봐도 좋다. 이 기술 역시 대미지가 좀 높은편에 속하므로, 자신이 없다면 방패로 막는 편이 낫다.

페이즈 2
내려치기 이후 점프 내려치기로 이어지는 콤보패턴이 추가된다. 점프 내려치기 후 찌르기 패턴도 추가된다. 역시 공속/이속이 빨라지므로 묵직한 위력에 더해 상대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진다. 방패 없이 구르기만으로 플레이하자면 거리를 두고 점프 내려치기를 피하는 편이 낫다. 정공법으로는 무적시간을 정확하게 숙지할 필요가 있다. 한마디로 방패를 안쓰면 구르기 테스트2. 중갑으로 밀어붙이는 스타일이라도 어지간히 강화를 든든히 하고 물약을 잔뜩 준비해오지 않는다면 거구에서 밀려나오는 화력에 금새 눕고 만다.

설정으로는 크레칸들이 취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 중 하나라고 한다. 크레칸들은 바다에서부터 온 괴물들로, 뭇 사람들의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고 한다. 인게임에서 나오는 수많은 괴물들은 대부분이 크레칸들이기도 하다.

5 The False Jester

The False Jester
한글명 기만의 광대
장소 Sunken Keep(가라앉은 성채)
드랍템 6,000 솔트
~3,900 골드
The False Jester's Ear
약점 베기, 모든 속성
공격속성 물리

방패를 쓰면 그럭저럭 쉽게 깨는편이지만.. 방패를 안쓴다면 입문자 구르기 테스트 3

전형적인 속공형 스타일 보스. 페이즈는 나누어지는게 없는걸로 추정.. 페이즈가 없어서 오 ? 그러면 눈감고 싸워도 이기겠네?라고 생각하겠지만 초반에 나오는 보스중 가장 빠른 공격속도를 자랑한다. 소든 나이트 2페이즈나 알케미스트 2페이즈보다 빠른편.

주로 돌진 찌르기나 베기 패턴이 많지만, 주의할건 도약공격들이다 이 도약 공격들은 빠르고 범위도 생각보다 커서 구르기로 피하면 되겠네? 라고 생각하고 구르기를 했다간 맞을 가능성이 높다.

일반 공격도 주의해야할건 찌르기 선딜레이가 빠르고 후딜레이도 적다. 패턴이 전부다 랜덤성이다보니 찌르기 후 또 찌르기 후 또 찌르기 패턴이 나올수도 있는데, 스테미나에 투자를 열심히 한 플레이어가 아니고 적절하게 이리저리 나눈 플레이어라면 연속 공격이 들어오면 스테미나가 동난다. 정신나간 패턴이 나온것 같으면 구르지말고 막아내자. 도약 공격이후 때릴수 있는 딜 타임이 있으니 확실하게 막거나/구르기를 하자.

약점을 보면 알듯이 매우 멧집이 약해서 패턴만 익숙하다면 빨리 깰 수 있는 보스다.

물론 패턴 숙지를 하는 순간, 혹은 방패를 드는 순간 호구가 되는 보스. 공격 모션 자체는 상당히 빠르지만 모션과 모션 사이에 멍때리는 시간이 제법 된다. 덕분에 물약 마실 시간도 넉넉하고, 그동안 딜을 빠르게 넣어서 금방금방 솔트와 금화로 바꿔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 정체는 오벨리스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광대를 찾아온 사람들을 잡아먹기 위해 광대의 모습으로 변장하고 있었던 악마라고 한다.

6 Kraekan Wyrm

Kraekan Wyrm
한글명 크레칸 흑룡
장소 Castle of Storms(천둥의 성)
드랍템 24,000 솔트
~12,500 골드
Kraekan Wyrm's Horn
약점 모든 속성
공격속성 물리, 화염

화염 방어력을 얼마나 맞췄는지에 따라 클리어 난이도가 결정되는 보스.

기본적으로 브레스는 방어에 상당히 투자한 팔라딘이나 기사에게도 아프며, 풀히트시에는 사실상 즉사라고 봐도 좋을 대미지가 들어온다. 더불어 브레스 피격시 방패로 막더라도 최대체력이 얼마씩 깎여버리기 때문에 장기전으로 갈 수록 불리해진다. 즉, 웜을 잡기 위해서는 브레스에 대한 대책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페이즈 1
지상 브레스는 몸을 세우고 입을 크게 벌리는 선모션으로 구분 가능하다. 재빨리 용의 등 방향으로 굴러주자.
공중 브레는 용이 날아간 방향 반대로 달리는것 , 아니면 구르기를 해서 피하는 방법이 있는데 정확한 칼 타이밍에 구르기를 해야 화상 대미지를 피할 수 있다. 용이 날아간 방향 반대로 달리는 편이 안전하게 물약을 빨 수도 있어 편리한 편. 다만 가끔 버그로 용이 어마어마한 높이까지 올라가는데[4], 이 때는 용이 날아갔던 방향으로 쭉 달리는게 안전할 수도 있다.
종종 짧은 선딜 후에 무는 패턴이 나온다. 선딜레이가 좀 있어서 못피할정도는 아니다. 몸이 움츠라들면 이 패턴이 나올 가능성이 굉장히 높은 편.
꼬리치기는 범위가 큰데, 공중에 뜬 플레이어 히트판정이 아예 없다. 몸을 비틀면 점프하자. 은근히 우아하게 돈다.

페이즈2
지상브레스 이후 덮치기 패턴이 추가된다. 패턴이 랜덤이다보니 물기 - > 꼬리치기 -> 물기 -> 브레스 -> 덮치기 라는 뭔가 당해보면 더럽다 라는 느낌의 패턴이 나올수도 있다. 페이즈2에 들어와도 공중 브레스만 주구장창 한다면 쉽게 깰 보스고, 근접공격 패턴이 나오면 좀 고생할 보스. 다만 구르기 타이밍을 어느 정도 익혔다면 지상브레스 콤보가 더 반가워지는데, 브레스 뿜는동안 2~3대, 덮치기 선모션동안 다시 1~2대 정도 때릴 시간이 있기 때문. 어떤 보스든지 등을 잡는다는 생각을 하자.

드래곤 형태의 크레칸의 마지막 생존자. 흑룡 크레칸들은 대부분 사냥당해 멸족당했으며, 가장 마지막으로 알려졌다는 흑룡의 기록이 남아있다.

10월 30일 기준, 2페이즈에서 사망한 뒤 재도전을 하면 1페이즈에서 2페이즈의 덮치기패턴이 나온다. 버그인지 의도된 것인지 모름.

7 The Tree of Men

The Tree of Men
한글명 살아있는 철장 나무
장소 Red Hall of Cages
드랍템 8,000 솔트
The Tree of Men's Ashes
약점 모든 속성
공격속성 물리, 화염

페이즈1

보스 본체에는 피격판정이 없다. 대신 보스에 걸린 체인드 맨 들 을 때려야한다.. 이 체인드맨들은 필드에서 만났을 때 처럼 화염속성을지닌 투척물을 던져대는데, 보스룸 양 옆의 플랫폼에서 솟구치는 불꽃과 마찬가지로 역시 체력 최대치를 깎아내니 주의해야 한다.
이 플랫폼은 주기적으로 불꽃이 튀어나오는데다가, 불이 나오지 않는 맨 위와 맨 아래 플랫폼은 밟으면 부서지는 판자들이니 상당히 위험하다. 되도록 가운데 세 층을 오가며 체인드맨을 때려주면 된다.
플랫폼 아래에서 싸우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 높은 확률로 보스한테 걷어차이고 낙사한다. 운 안좋으면 별거 아닌 패턴에 리트라이 하는 상황이 자주 있다.
보스 본체도 놀고만 있는 건 아니며, 종종 정해진 방향으로 화염구를 날린다. 다만 미소의 여왕이 날리는 검처럼 정해진 방향으로만 날아가니 별로 주의할 것은 아니다.[5]

페이즈 2
체인드맨들을 전부다 죽이게 되면 머리 부분에 빛이 나는데 이제 여기를 때려야한다.
이제 다리만 둥둥 구르는게 아니라 상체를 이용해서 플레이어가 있는 장소에 펀치를 날려주니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피해주자. 때리고 난후 약간의 경직 때가 딜타이밍에 가깝다.
원거리공격이 가능하다면 맨 윗층에서 원거리공격만 해도 금방 쓰러진다. 다만 화염브레스(?)와 화염트랩은 조심해야한다.
1페이즈에선 화염구나 던졌다고 2페이즈에서 가만히 있다간 브레스에 통구이되기 딱이다. 보스가 보는 방향으로 뿌려대는데, 대충 180도는 되니 보스 머리에 빛이 난다면 최대한 빨리 내려온 다음 반대편 플랫폼에 올라가자. 절대로 맞으면 안되는게, 데미지가 높은건 둘째치고 이것에 맞고 죽었다가는 소금 회수가 안 되는 버그가 있다.
하지만 포션이 어느 정도 여유가 있다면 불이 닿기 전에 윗 플랫폼으로 올라가자. 플랫폼으로 올라가는 동안은 무적판정이기에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단, 너무 이르거나 늦으면 대미지를 받으니 플랫폼으로 기어 올라가는 모션으로 불을 맞을 수 있도록 타이밍을 잘 재야 한다.

초반에 볼 보스중 상당히 기괴한 보스.
고철덩어리에 사람이 대롱 대롱 달려있는걸 보다보면 이게 뭔지 싶기도 하다.
설정상 감옥에서 죽은 원혼들이 고문기구들에 스며들어 살아 움직이게 된 기계라 한다.
바로 윗 문단의 'Kraekan Wyrm'과 아래의 'The Disemboweled Husk'를 잇는 화염공격 보스. 보스에 매달린 체인드맨부터 필드 양쪽에 주기적으로 불을 뿜는 트랩, 보스 본제의 화염공격 등 사방에서 불질이다. 웜을 잡을 때부터 보스전에는 대장장이 세트를 껴주는게 큰 도움이 된다.

8 The Disemboweled Husk

The Disemboweled Husk
한글명 내장이 적출당한 껍데기
장소 Hager's Cavern(하거의 동굴)
드롭아이템 24,000 솔트
~7,200 골드
Spiked Key
The Disemboweled Husk's Doll
약점 성, 불 속성
공격속성 물리, 화염
  • 페이즈 1

권총 쏘기패턴. 1~2회 권총으로 직선 사격을 한다. 유효거리는 보스방 끝에서 끝까지. 사실상 보스와 플레이어가 양 끝단에 선게 아니면 무조건 맞는다고 보면 된다. 웬만하면 보스에게 딱 붙어서 권총 패턴에 반대편으로 구를 수 있도록 하자.

검으로 베는 패턴은 기본적으로 1타, 회피시 3타까지 이어진다고 보면 된다. 아래로 한번 내려찍고 올려베기 그리고 도약 내려베기 콤보로, 내려찍은다음 반대편으로 회피하면 곧바로 플레이어 있는쪽으로 몸을 돌려서 올려베기가 들어온다. 즉, 구르자마자 곧바로 다시 굴러줘야 맞지 않는다. 도약 공격은 방향을 바꾸지 않으므로 두 번 구른 뒤 뒤를 잡고 때려주면 된다.

하늘에 총 쏘는 패턴은 광역패턴이다. 하늘에 총을 쏜다음 넓은 범위에 공격이 들어오는데 좀 떨어지거나 구르면 그 범위에서 벗어나게 된다. 대신 실수로라도 맞으면 상당히 체력이 많이 까인다.

  • 페이즈 2

범위 공격 이후 도약 찌르기 : 하늘에 총을 쏜다음 플레이어를 향해 빠른 속도로 돌진해서 찌르기를 한다. 이 패턴이 2~3번 나오게 되면 범위 공격 때문에 조금 골치 아파질 것이다.
좀 더 공격적으로 공격을 하게된다. 1페이즈땐 공격 후 딜레이가 있는데 2페이즈에선 그 딜레이 시간이 짧아졌다고 보면 된다


이 보스는 불 속성 대미지 주는 스킬이 많기 때문에 대장장이 세트를 입고 싸우면 꽤나 수월하게 깬다.

보스 체력이 꽤 높은편에 속하는데 Wyrm은 체력이 1000이고 Tree of Men은 체력이 1200이다. 보스의 정신나간 화력에 이런 단단함이 더해지며 체감 난이도가 상당히 오른 편. 다행히 The Tree of Men 보스룸 바로 직전에 있는 카타나를 든 몹이 낮은확률로 Lord's orders를 드랍한다. 무기를 적절히 강화해주고, 덤으로 대장장이 세트도 적당히 강화해주면 어느 정도 쉽게 클리어가 가능하다.[6]

보스에게 얻는 아이템으로 전에 쓰던 대검을 변성시킬 수 있다. 커틀러스라고 하지만 사람 키보다 더 큰 크기가 압박적. 이 맵에서 전용 강화 템도 상당량 나오니 강화를 해둘 기회다.

본명은 해거, 이 지역의 이름에서 나오는 그 해거가 맞다. 원래는 이 지역의 해적단의 두령이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내장이 뽑혀져 죽게 되었고, 그 구멍 안에 어떤 인형이 들러붙어 조종하고 있는 형태라고 한다. 안쪽에 매달려 있는 인형이 본체라는 것.

9 That Stench Most Foul

장소:Mire of Stench
드롭아이템:14,000 솔트, That Stench Most Foul's Tooth
약점:화염 / 성
공격속성 : 물리/독

보스 최약체로 꼽히는 보스중 하나다

페이즈 1
얼굴에 붙은 해골 하나를 불러내는 패턴과 브레스, 그리고 근접공격의 세 가지가 주요 패턴이다.

독 브레스의 경우 플레이어를 향해 독 브레스를 뿜는데 범위가 상당히 넓다. 특히 공중에서 수직으로 내려찍는 브레스의 경우 앞뒤로 골고루 퍼지므로 조심.

잡몹소환은 독안개와 함께 등장하지만 솔직히 큰 의미는 없다. 보통 2~3대 때려주면 죽는데다가, 거리가 어느 정도 벌어지면 추격을 멈춰버리는 한심한 AI를 가졌기 때문. 간혹 근접시 두 팔로 긁는 등의 근접패턴을 보이지만 후방 견제패턴은 전혀 없다고 봐도 된다. 아주 희귀한 패턴으로 근처에 있으면 광역 독 공격을 하는데 의미가 없다

이 보스 이후 슬슬 보스 패턴이 빈약해지는 보스들이 많이 나오는데 이 보스만큼 패턴이 빈약한 보스는 손에 꼽을정도로 적은편. 제작진이 슬슬 귀찮아진 듯

원래는 연금술사에 의해 창조된 존재이며, 처음에는 작았으나 점점 크기를 불리다 연금술사를 잡아먹고 현재의 크기까지 몸을 불렸다고 한다. 아마도 뱉어내는 작은 몬스터들이 원래 크기였을 듯.

10 The Untouched Inquisitor

장소:Dome of the Forgotten
드롭아이템:13,000 솔트~11,000 골드,The Untouched Inquisitor's Ashes
약점: 화염/ 신비
공격속성 : 물리

보스 약체중 하나로 꼽힌다
That Stench Most Foul랑 마찬가지로 패턴에 의미가 없고 저항이 낮고 체력도 낮은편
갈고리 던지기 , 베기만 하는데 놀랍게도 플레이어를 더럽게 못맞춘다
이런 놈에게 온 성당이 학살당했다 한다...

죄의 기운을 발견하고 빛의 성녀가 있던 빛의 돔을 침략해 신도를과 성녀를 죄의 희생양으로 바쳐버린 냉혹한 이단심문관. 신도들은 영원히 돔을 떠돌아다니는 몬스터로 바꿔버리고 성녀의 애완동물을 끔찍한 괴물로 만든 장본인이다.

11 The Third Lamb

장소:Dome of the Forgotten
드롭아이템:18,700 솔트, + ~17000 골드, The Third Lamb's Beak
약점:베기/ 화염/ 신비
공격속성 : 물리/독/번개

페이즈 1

꼬리치기 : 독 대미지를 입히는데 시전모션이 꽤 길어서 뒤로 구르기만 해도 안맞는다
앞발로 후려치기 : 시전모션이 위랑 동일하게 긴편 그냥 위로 들던 옆으로 들던 그냥 뒤로 구르자
광역 번개볼트 공격: 입에서 번개 볼트가 나오는데 타이밍에 맞게 굴러주자
부리로 찍기 : 뒤로 구르자.

페이즈 2

번개 볼트 이후 도약 공격 : 소든 나이트랑 비슷하게 한번 구른다음 또 구르면 쉽게 피한다
번개 볼트 이후 번개구 생성 : 번개 볼트이후 번개구 하나를 생성하는데, 잠시후 작은 알갱이 세 개로 분열되어플레이어를 쫓아다니며 보스에게 접근하지 못하게 한다.
중범위 번개 볼트 공격 : 가끔씩 근접공격 이후에 전방에 번개를 내뿜는 공격을 하는데, 선딜이 없고 범위도 꽤 넓어 견제기로 사용된다.
좀더 공격적이고 빠르게 공격한다
소든 나이트 강화판에 가까운데 이쯤되면 소든 나이트보다 흉악한 애들을 상대해서 내성이 많이 생겼을것이다.

2페이즈에 들면 소든 나이트랑 비슷하게 공격속도도 올라가고 공격적으로 바뀌므로 폭딜을 넣어서 잡기보단 느긋하게 한두대 때려가면서 싸우자. 2페이즈부터 추가되는 번개 볼트가 피를 야금야금 깎아먹기 때문에 접근이 힘들기 때문.

정체는 망각의 돔에 이단심문관이 들이닥치기 전부터 돔을 보호하던 존재이자 돔의 주인이었던 빛의 성녀의 애완동물. 세번째 희생양이라 부르는 이유는 이단심문관의 첫번째 희생양이 망각의 돔의 신도들, 두번째 희생양이 빛의 성녀, 그리고 세번째 희생양이 바로 성녀의 애완동물이었기 때문이다.

다만 툴팁상으로 보면 이단심문관이 발견했다던 죄의 기운은 이 괴물에게서 나온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엔 이단심문관도 이 존재를 멀리해 봉인하려 했다고 하는것을 보면.

12 The Dried King

장소:Ziggurat of Dust
드롭아이템:20,000 솔트, ~2000 골드, The Dried King's Ashes
약점:성/ 신비
공격속성 : 화염[7]

주요 패턴은 세 가지.
가장 자주 쓰는 패턴으로는 화염구 투척이 있다. 간단히 건너편으로 구르면 된다. Ziggurat of Dust에 나오는 기본 잡몹들도 쓰는 기술이지만 연속으로 던지니 그냥 구르는 편이 안전. 대각선으로 뿌리듯이 날려서 위협적으로 보이지만, 말라붙은 왕의 모든 패턴이 그렇듯 파훼법이 명확하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다. 좀 높은 위치로 던지는거랑 낮은 위치에서 던지는걸로 나뉘어지는데 별반 차이는 없다.
화속성 레이저 생성은 화염구를 던지고나서 연계 패턴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 이 스킬이후 또 화염구를 던질테니 타이밍에 맞게 구르자. 레이저가 나오기 전 하얗게 도화선(?)이 그려지는데, 이것대로만 피해주면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불벽치기 : 보스근처에 불벽이 생성 되는데 이 동작이 나온다면 반드시 멀리 떨어지자 아프다

페이즈가 없는 보스이지만 생각없이 때리면 불타죽는다. 체감상 Wyrm보다 불공격이 강하기 때문에 대장장이세트를 입는 등 화염방어력을 최대한 올려줄 것. 반대로 말하면 화염 방어력만 빵빵하다면 상당히 호구스러운 보스이기도 하다. 모든 패턴이 화염 단일 속성 뿐이기 때문에 화염저항을 떡칠하고 성속성 인챈트를 걸어주면 순식간에 녹는다.

여담으로 해외포럼에선 레이저와 공격모션 때문에 디스코 킹이라고 불린다. 확실히 화려하긴 하다

살아생전에는 굉장히 어진 왕이었으나, 역병으로 죽은 자신의 형제의 영혼이 깃든 흙인형에 집착하여 말년에 국가에 역병이 들이닥치자 먼지의 지구라트에 틀어박혀 편집증으로 점점 미쳐갔다고 한다.

13 The Bloodless Prince

장소:Ziggurat of Dust
드롭아이템:20,000 Salt, + ~20,000 골드, The Bloodless Prince's Ashes
약점:화염/ 전기/ 성/ 신비
공격 속성: 물리

패턴:팔로 내려치기,여러번 내려치기,도약하며 배로 깔아뭉개기

몸집으론 최대크기를 자랑하는 거대보스이지만 대신 모든 패턴이 느리다. 범위와 깡댐으로 밀어붙이는 스타일이기에 적당한 방패를 구해뒀다면 매우 간단한 보스. 상대하지 않고 버려진 사원(the Ruined Temple)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스터와 마찬가지로 상당히 쉬운 보스니 솔트벌이를 위해 잡는 편이 좋다.

그 정체는 바로 메마른 왕을 미치게 만든 흙인형. 메마른 왕의 형제의 영혼이 깃든 흙덩이가 자신의 몸에 흙을 쌓고 쌓아 만들어진 존재라고 한다.

14 The Coveted

장소:The Ruined Temple

드롭아이템:25,000 솔트, + ~18,000 골드, The Coveted's Ashes

약점:신비

패턴:도끼를 뽑아들며 주변에 충격파생성,도끼 던지기, 하얀 투사체 날리기

참고로 왼쪽으로 가면 한명 더 늘어나기때문에 오른쪽에서만 싸우는게 좋다. 그리고 유령을 때리는게 아니라 도끼를 때려야 대미지가 들어간다.

먼 옛날 왕에게서 신비한 힘이 담긴 도끼를 수여받은 한 처형인과 그의 아들. 국왕이 죽자 그의 도끼를 이용해 영원한 왕이 되었으나, 아들과 함께 도끼의 힘에 홀려 자신을 잃어버린 망령들이 되었다고 한다.

버그가 하나 있는데 플레이어가 맨 우측에 위치 하고 유령은 더 우측에 넘어가있을 때, 도끼 자루부분이 오른쪽으로 가게 던지게 되면 유령이 멈춘다. 즉... 날로 먹을 수 있다. 맨 우측에서 구르기로 버티다보면 의외로 많이나오는 상황이니 4회차를 뛰고있는데 세번을 이렇게 잡음 귀찮으면 시도해보자.

15 Carsejaw the Cruel

Carsejaw the Cruel
한글명 잔혹한 칼스져
장소 Pitchwoods(추락의 삼림)
드랍템 20,000 솔트
Carsejaw The Cruel's Ashes
약점 화염
공격속성 물리

패턴:순간이동하며 가시 솟아올리기, 순간이동하며 찍기, 찍기, 베기

방패도 필요없이 적당히 구르면 모든 공격을 피할 수 있는 보스. 순간이동하며 찍기만 주의하면 된다. 정작 이놈보다 더 어려운 곳은 이놈에게 오는 길로, 돌진공격에 걸리면 거의 무조건 한 방이 나는 유니콘 3마리와 패턴을 익혀야만 지나갈 수 있는 사라지는 발판들이 성질을 돋구게 한다...

본명은 에드몽트 공작으로, 사실 마녀 사냥을 통해 백성들의 지지를 얻었던 사기꾼이었다. 처형당했던 마녀들이 무고한 시민들이었다는 소문이 돌자 사람들이 공작을 폐위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지만, 그들을 쇠꼬챙이에 꿰어 본보기로 삼았다고 한다.

이 녀석을 잡으면NPC 거지에게서 칠흑세트를 살 수 있는데, 정말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종합 방어력을 가지고 있다.단, 치명적인 약점이 두개가 존재하는데 한가지는 경갑정도의 밸런스와 무게이다. 비록 무게는 중갑 중 가장 무거운 정도는 아니지만 무게 36정도의 대형무기를 착용하려면 지혜,마력트리 쪽을 제외한 모든 지구력을 다 찍어야 75%구르기 가능해진다.

16 The Witch of the Lake

두번째 난관...이자 최종보스보다 어려운 진 최종보스다.
장소:Siam Lake

드롭아이템:26,400 솔트, + ~10,000 골드, The Witch of the Lake's Ear

약점:베기/ 화염/ 성

패턴:1페이즈는 손 두번 휘두르기,전방에 별같은 투사체존나생성하기,[8]박쥐 생성하기,구체에서 검은 화살 날리기

2페이즈는 기모으며 박쥐를 생성하는 패턴이 추가된다.

모든 마법 패턴이 똑같이 '경직'과 '연타'이기에 일단 걸리면 반피를 훌러덩 까놓는 지독한 보스. 1회차 플레이라면 마법방어력만 미친듯이 올려주는 팔라딘세트와 마법방어력 상승반지를 두르고 원트라이로 깰수있다. 2회차 플레이라면 어짜피 대다수 공격들이 한두방에 플레이어를 아작내므로 소울 시리즈처럼 무게를 25%이하로 맞추고 절대 안 맞는다는 생각으로 임하면 몇번 죽고 깰 만 하다. 검은 구체에서 레이저를 쏘는 패턴만 빼면 구르기와 공중대쉬로 전부 피할 수 있다.

위대한 소금술사 쌍둥이의 한 명이다. 본명은 사이라이며, 로브로 가려진 진짜 몸은 흉측한 고깃덩이로 뒤덮혀 있다고 한다.

17 The Unskinned and the Architect

장소:Salt Alkymancery

드롭아이템:24,000 솔트, The Unskinned's Liver, The Architect's Ear

약점:Unskinned: 모든 속성,Architect: 모든 물리

패턴:Unskinned:돌진하며 바닥에 눕기,발로 찍기, Architect:하얀 구생성하기, 전격 데미지를 주는 마법 함정을 무작위로 공중에 설치하기

얼핏 설명만 보면 아무것도 아닌 놈들 같지만 벗겨진 자의 공격에 날아가다 건축가의 함정에 두세개를 한번에 걸려 사망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할 것. 둘중 하나만 없애면 난이도가 급감하므로 일단 한 놈만 패자.

사실 건축가는 위대한 소금술사 쌍둥이중 한 명으로, 호수의 마녀의 자매이며 자신의 연구실에 틀어박혀 연구를 도와 소금을 모을 피조물들을 창조했고, 그 중 하나가 벗겨진 자 이다.

18 Kraekan Dragon Skourzh

장소:Crypt of Dead Gods

드롭아이템:25,000 솔트, Skourzh's Horn

약점:베기/ 화염/ 독/ 성/ 신비

패턴:찍기,번개벽 세개 생성,도약하며 찍기,자신을 기준으로부터 전방에 번개브레스,번개구 핵폭탄날리기

처치 시 얻는 뿔로는 5 클래스 장검인 레비아탄을 변성 가능하다.

바다로부터 온 악마 종족인 크레칸 종족중에서도 가장 강력하며 폭풍왕이라는 이명도 가지고 있다. 폭풍으로 인해 배가 가라앉으면 이 용군주의 소행이 틀림 없다고 하며, 현재는 죽은 신들의 묘실을 수호하고 있다고 한다. 아마도 이름없는 신에 의해서 수호자 노릇을 하고 있는 듯 하다.

19 The Nameless God

The Nameless God
한글명 이름없는 신
장소 The Still Palace(고요의 궁전)
드랍템 50,000 솔트
~50,000 골드
The Nameless God's Ashes
약점 치기
공격속성 물리, 신성

패턴:돌진하며 베기, 돌진하며 멱살잡고 머리로 후려치기 상남자... 전방에 발차기, 검을 공중으로 보내 땅에 찍고 다시 자신에게 가져와 앞으로 베기, 공중에 떠서 신성 속성 칼날 난사

이 작품의 최종보스이자 최후의 흑막.

자신이 가지지 못한 인간들의 것을 질투한 악신. 바다로 부터 온 크레칸들을 이용해 세상을 어지럽혔으며, 폭풍의 왕 자렌[9]과 계약하기도 하였다.[10] 끝없는 탐욕으로 인해 생명을 갈구하다 자렌에 의해 봉인되어 이름이 잊혀졌다고 한다. 이 신때문에 인간들은 소금으로부터 유래해 무한히 죽어야 하는 운명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주인공이 호송하던 공주는 사실 공주로 치장된 노예였고, 그 호송선의 정체는 주인공을 섬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명분이었다. 벽점프를 주는 여인의 퀘스트와 호수의 마녀 앞에서 만나는 노인의 말에서 알 수 있다. 벽점프를 주는 여인의 말에 의하면 그녀가 호송하기로 했던 귀족도 노예였다고 하니, 이러한 방법으로 수많은 자들을 섬으로 끌어모은듯 하다. 아마도 최종 목표는 허수아비에 묶여 영원히 고통받게 된 자신의 영혼을 죽여줄 이를 찾는 것. 그것을 위해 인간계에 끝없는 전쟁을 일으키고 있었다 한다. 엔딩의 분기 2개는 전쟁의 굴레를 끊고 돌아가느냐, 아니면 새로운 무명의 신으로 거듭나느냐의 선택.

여담으로 다크소울에 영향을 많이 받아서 그런지 최종보스가 다크소울 최종보스 그윈하고 상황이 유사하다 신에 가까운 종족 , 잊혀져간다는 점 을 보면.

다만 솔트 앤 생츄어리 최종보스는 왜 거기서 주인공을 가로 막는지 목적이 뭔지 자세한 행적이 안나온다. 생각해 보자면, 잊혀져야만 한다고 하거나 탐욕스럽다는 것을 보면 자신을 막으러 온 존재라고 생각해서 제거하려 한걸지도 모른다.

20 옵션 보스

20.1 The Unspeakable Deep

장소:Prologue

드롭아이템:8,000 솔트, Black Pearl, Shimmering Pearl, Drowned Tome

약점:모든 속성

패턴:추후에 수정함

참고로 생각보다 잡기쉽다. 걸치고있는 모든 아이템을 벗고 무기만 들고때리면 보스의 공격속도가 느린편이기 때문에 한대도 안맞고 깨는건 생각보다 어렵지않다. 참고로 장갑만 남기고 벗을경우 피가 간당간당하게 남는다. 즉슨, 한대의 피격여유분이 생긴다.

설정상으로는 크레칸들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라고 한다. 바닷사람들은 크레칸들을 매우 두려워했고, 그 검푸른 형상을 두려워하고 형용할 방법이 없어 Deep이라고만 불렀다고 한다.

20.2 Murdiella Mal

장소:Mal's Floating Castle

드롭아이템:Murdiella Mal's Ashes

약점:신비, 베기

패턴:

1페이즈: 순간이동,날개휘두르기,유도소울 결정체[11],비내리기

유도소울 결정체 같은 경우는 점프 구르기로 피하거나 막으면 쉽게처리 된다. 단, 이것을 달고 순간이동 하며 날개휘두르기를 쓰면 대방패를 들고있지 않은 이상 대처하기 힘들다. 시전시에 가능하면 보스 근처에서 어물쩡거리며 유도소울 결정체를 빠르게 소비하게 유도해보자. 비내리기 같은 경우엔 바닥에 흰색으로 어디 부근에 내릴지 표시가 되는데 윗 방향으로 넓게 흩뿌려진 자그만한 탄들이 그 방향으로 쭉 쏟아져 내린 형태라 표시에서 조금 멀리 떨어지는 것을 추천한다. iron rampart를 들고 버티는게 가장편하다 날개 휘두르기는 쉬운 패턴이나 순간 이동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보스가 멀리 떨어져있다고 너무 안심하진 말자.

2페이즈: 날개 세번 휘두르기
위 패턴을 사용하다가 추가로 넣는 패턴은 없고 날개 휘두르기가 랜덤으로 한번 휘두르기,세번 휘두르기가 나온다. 날개를 휘두른다고 해서
보스 뒤로 구르면 바로 두 번째 휘두르기에 맞게되니 이 점만 주의하자.

설정상으로는 부유하는 성채의 주인의 나비형 크레칸이라고 한다. 이 성에서 그녀는 불과 하늘의 지배자이며, 권능을 휘둘러 댄다고 한다. 참고로 불과 하늘이라는 것은 마법사들의 신앙 이름이다. 실제로 보스 패턴은 전부 마법의 속성인 비전 속성이다.

20.3 Ronin Cran

장소:Cran's Pass

드롭아이템:15,000 솔트, Ronin Cran's Ashes

약점:모든 속성

패턴:근접베기다수, 회전 점프베기, 잠시 기를 모아 공격력을 상승시키는 버프 걸기, 근접해서 찌르기

해보면 알겠지만 생김새를 뺀 대다수의 패턴을 기사 아르토리우스에서 따온 보스. 회전 점프베기는 공중에 떠 있는 동안 공격판정이 계속되기 때문에 주의할 것. 공격력 상승 버프는 시전도중 때리다 보면 경직을 먹고 풀리지만 시간이 지나도 알아서 풀리기에 그다지 걱정할 필요는 없다.

먼 옛날 폭풍의 대왕의 측근이었으나 불명예스러운 제대를 하게 된 것을 계기로 야반도주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처형당했다고 한다. 들고있는 검으로 인해 브로큰 크랜이라는 별명으로도 유명했다고 하며, 저 검은 중갑 수호자[12]의 일격을 막아내다 부러졌다는 설이 유명하다고 한다. 참고로 보스의 재로 변성가능한데, 클래스 2 도끼다(...)

20.4 The Forgotten King

장소:Crypt of Dead Gods

드롭아이템:7,500 솔트 x3, The Forgotten King's Ear, The Forgotten Knight's Ear, The Forgotten Judge's Ear

약점:King & Knight: 화염 Judge:신비

패턴:

knight: 한손 평타, 점프 공격, 가드, 랜덤으로 가드 중 피격시 바닥 쓸기
king:한손 평타, 점프 공격, 발차기
judge:문자를 링모양으로 15개정도를 흩뿌린후 유저를 향해 한번에 다 날린다.

knight 와 king은 패턴이 거의같으나 knight 쪽이 무기를 더눕혀서 때리기때문에 리치가 더길다.점프 거리도 마찬가지 이므로 보스들과 거리를 쭉벌려 놓았다면 knight쪽에 신경을 써보자. 가드를 쓸 때 맞게되면 빠르게 찌르기로 공격이 들어오니 이 점 만 유의해주자.

king은 셉터의 둥근 부분으로 유저를 가격하는게 아니라 셉터 지팡이부분 맨끝으로 유저를 찍는 느낌의 평타,점프공격을 하므로 knight에 비해 리치가 짧은편이다.하지만 king은 발차기를 가지고 빠르게 공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말뚝딜은 되도록이면 자제하자.

judge는 기존 맵들의 마법사몹들 처럼 이리저리 날아다니며 저 문자를 흩날리는게 패턴의 전부다.[13]

후반부 히든보스인데다가 세마리가 한번에 나와서 힘들어 보이겠지만 개체당 패턴은 어려운편이 아니므로 침착하게 당장 근처의 보스들부터 천천히 때리면서 처리하다보면 보스들 방어력,체력이 약해서 금방 죽는다.

삼신중 기사가 드랍하는 기사의 귀를 연성하면 Trinity Greatsword(삼위일체의 대검)을 만들 수 있는데, 대검이면서 한손검과 맞먹는 공격속도로 최강의 대검으로 평가받고 있다. 유일한 단점은 레벨5 대검이라 한손으로 잡을 수 없어 횃불을 키면 공격이 거의 봉인된다는 것.

가장 어려운 점은 보스방까지 가는 길. 숏컷도 마땅히 없어서 죽은 신들의 묘실 성소에서 왼쪽으로 출발해야 하는데, 거기서 점프로 들어간 동굴에서 낙사를 조심하면서 계속 떨어져야 한다. 설상가상으로 너무 어두워서 바닥이 잘 안보인다는 점. 안전한 바닥은 촛대가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사실 이것들이 The Three 신앙이 숭배하던 것들이다. 그 정체는 단순한 언데드로서, 이름없는 신이 인간들에게 혼란을 일으키기 위해 시체들을 이용해 만든 존재들로 추정된다.[14] [15] 왕 에리코와 기사 아미르는 Askaria에 실존했던 옛 존재 이다

  1. 80,000솔트
  2. 오벨리스크가 있는 도적 세트 얻는 구역
  3. 보스룸 양편의 발판 위에서 싸우는 것이 좋다. 아래쪽에 떨어진 슬라임은 올라오지 못한다.
  4. 화면이 용을 따라 위로 올라간 뒤 한동안 고정되있는다(...)
  5. 이는 플랫폼 위에서 전투할 경우의 이야기다. 플랫폼 아래로 내려갈 경우 상술한 것처럼 보스의 발길질에 날아가 그대로 낙사한다.
  6. 잭오랜턴과 대장장이 세트를 Soldser's Poem으로 IV까지만 강화해도 화염방어력이 300을 넘는다!
  7. 특이하게도 물리공격이 전혀 없다
  8. 한번 정통으로 맞으면 그냥 죽는다. 마방이고 뭐고 의미없다. 죽는다.
  9. 처음부터 만날 수 있는 누더기를 걸친 노인이 바로 자렌이다.
  10. 허나 그의 갑주의 설명을 보면 착용자에게 욕망을 끊임없이 불어넣는다고 설명되어 있다. 그 또한 원래 악신은 아니었을지도...?
  11. 다크소울의 그것 맞다.
  12. 대빵 큰 갈색 중장비 대방패 기사
  13. 날아온 방향쪽으로 점프 구르기를 사용하면 쉽게 피할 수 있다.
  14. The Three신앙을 이름없는 신이 의도적으로 만든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Askaria의 왕족이 만들었다는 기록으로 볼때 유명한 몇몇 인물을 신격화해서 생긴 종교일 가능성도 있다. 혹은 왕과 기사를 신의 화신이라고 여기는 종교일지도 모른다.
  15. The New Gods, also known as The Three, emerged through monarchy and dynasty. Devara's made equal with that of two new dieties drawn from Askarian royalty: The King and The Knight, divine incarnations of Askarian men. (Pantheonus 2:3-4) King Ericho the Austere and Sir Amar the Proper are credited with uniting all of Askaria, a decades-long conquest that began under the King Ericho's father, Relon the Bear. (Pantheonus 2:5)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Salt and Sanctuary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