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군복

SSI_20100811025138_V.jpg
좌측.

#
다양하게 나타나는 구군복.

012_01_1016_08.jpg
정조 대에 경상우수사, 총융사를 지낸 이창운 장군의 구군복 초상화.

1 개요

具軍服. 조선 시대 무관이 입던 군복으로 일반에 사또옷으로 가장 잘 알려진 관복이기도 하다.[1]

기본적으로 고려 시대부터 관복으로 입었던 철릭을 개조한 것인데, 철릭의 소매를 간소화시키고 주름진 스커트 부분을 반듯하게 만든 동달이(쾌자처럼 보이는 소매 없는 옷)에다, 까치소매와 반비를 덧씌운 관복이다. 발에는 목화를 신고 머리에는 무관의 모자인 전립을 쓴다.

구군복은 철릭을 기반으로 만든 데다가, 둘 다 무반이 입는 관복이었기 때문에 둘을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철릭은 고려 시대부터 일상적으로 입었던 관복이고, 구군복은 철릭을 바꾸어 무반의 복장으로 개조한 것으로 순조 때 이후에야 출현한 것이다. 따라서 두 가지는 차이가 있다. 순조대 이전에는 구군복이 아닌 융복을 군복으로 입었다.[2]

2 기타

다른 민족의 관복에 비교해도 독특하면서도 멋들어진 디자인을 자랑한다.

하지만 묘사하기가 어려워서라든가, 입는 사람들의 지위(관리)탓에 쉽게 등장시키기 어렵다는 이유로 자주 보기는 힘들다. 물론 창작물에서는 주요인물을 제외한 엑스트라 및 조연들이 줄기차게 입고 나온다.

사실 임금이 입는 구군복도 존재하는데 철종어진에 그려진 경우처럼 임금이 입는 구군복은 말 그대로 하나의 예술품으로 상당히 간지난다. 임금의 구군복은 위의 사진과는 비교도 안되게 화려한 색깔로 디자인으로서 황금색 으로 떡칠을 해놨다. 2012년 6월 네이버 캐스트에서는 왕의 군복과 융복이라는 제목으로 임금 전용 구군복을 설명하였다. 네이버 캐스트 특약

사실 어느 나라이든 군주라 함은 예나 지금이나 문관과 무관의 일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며[3] 이 때문에 동서고금 어느 왕국 또는 제국에서든 군주, 즉 왕, 황제 등의 최상위 신분을 가진 사람은 그 사람만을 위한 군복이 따로 존재했다. 임금 전용 구군복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존재하던 의복인 셈이다.

파일:/listimglink/6/2010051415344273271 1.jpg
철종의 구군복본 어진.

한복 중에서도 관복하면 곤룡포와 함께 가장 유명한 의복으로, 한국 관련 창작물에서는 민중들과 관계가 깊었던 지방 수령(사또)나 포도대장 옷으로 자주 등장한다.

706b990ff2707731a93b15e89145f397.jpg

대한민국 국군의장대에서도 구군복을 착용하는 전통의장대가 있다.
  1. 실제로는 무관들이 군복 차림을 갖추는 일을 뜻한다. 전립을 쓰고, 동달이를 입은 장표 위에 전대띠를 매고, 목화를 신고, 동개를 메고, 환도를 차고, 등채를 손에 드는 것.
  2. 반론: 정조 대의 이창운 장군이 구군복을 입은 초상화가 있는 것을 보면 순조 이전부터 있기는 있었을 것이다.
  3. 이러한 점은 현재의 대한민국 대통령도 마찬가지이다.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문관으로서는 정치인들과 마찬가지의 정책 현안에 대한 업무를 하고 있으며 무관으로서는 군통수권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