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간

1 개요

궤간(軌間)이란 철 차륜을 사용하는 휠-레일 시스템에서 레일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철도건설규칙에서는 "궤간"이란 양쪽 레일 안쪽 간의 거리 중 가장 짧은 거리를 말하며, 레일의 윗면으로부터 14mm 아래 지점을 기준으로 한다." (제2조 7항) 라고 정의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철도 궤간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여 표준궤로 불리는 1,435mm. 이보다 큰 궤간은 광궤, 적으면 협궤라 부른다. 보통 식민지배를 받았던 국가는 협궤, 궤간이 넓으면 넓을수록 생기는 이점을 취하기 위한다면 광궤로 짓는다.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서는 항목을 참조하자. 물론 요즘은 표준궤로 대동단결

우리가 흔히 보는 철도 차량은 보통 로 된 바퀴(보통 차륜이라 부른다)[1] 두 개와 하나의 축으로 구성된 "윤축" 이라는 것을 통해 차체를 지지하며 견인, 제동력을 레일을 통해 노반으로 전달한다. 이 윤축은 하나의 차축에 두개의 바퀴 강제 압입하는 형태로 제작되며 차량 측의 차륜간 폭은 고정되어 있다. 그러니까 궤간이 다르면 차량도 달라져야 한다. 때문에 직통운전과 각 노선과의 연결을 중시하는 철도교통의 특성 상 동일 궤간으로 건설되는 경향이 높은 편이다. 또한 궤간이 크면 차량도 커지고 궤간이 작으면 차량도 작아진다. 이 때문에 궤도 중심을 기준으로 차량의 크기를 규정하는 "차량한계", 마찬가지로 궤도 중심을 기준으로 건설물의 침범 한계를 규정한 "건축 한계"도 달라져야 하기에 궤간 통일은 원활한 철도 운영을 위해 꼭 필요하다 하겠다. 하지만 언제나 예외는 있어서 우리나라의 경우 구 수인선, 수려선의 경우는 협궤로 건설되었다.[2]

2 연결할 수가 없다!

철도의 레일 두 가닥은 한 번 설치하면 움직이지 않는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게 한 국가 안에서도 협궤, 표준궤, 광궤가 섞여있는 판에 국가간으로 간다면 우리나라표준궤인데 옆 국가는 광궤 (예를 들어 러시아), 저 나라는 협궤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일본) 이런식이 되는 경우가 생긴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 철도 차량이 러시아로 못들어가고[3], 마찬가지로 일본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물론, 요즘에야 표준궤가 대세이긴 하지만 이게 대세라고 이미 지어진 철도 노선을 전부 표준궤로 바꿀수는 없는 노릇이라 (러시아 대륙횡단 철도만 해도 10,000km에 육박한다. 우리나라 철도 총 연장의 3배 가량)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고안되었다.

2.1 극복하기 위한 방안

  • 환적 또는 환승한다. 뭐 방법이랄 것도 없다. 궤간이 달라 이 차량은 저기를 못 가고 저 차량은 여기를 못 오니 궤간이 다른 두 국가의 국경 근처, 또는 두 노선 사이에 대규모 환적, 환승용 역을 짓고 짐이나 사람이 옮겨가는 것.
  • 궤간가변. 특수한 구조를 통해 윤축의 차륜 간의 거리를 바꾼다. 현재 국경을 넘는 수요가 많거나 일본처럼 협궤 표준궤가 혼재되어 있는 국가에서 시도하는 방법. 환적이나 환승이 필요 없으며 이 작업에 필요한 장소가 넓지 않아도 된다. 시간 절약은 덤.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
  • 제3레일. 제3궤조랑은 다르다! 듀얼게이지라고도 말하기도 한다, 궤간이 다른 노선 두 개를 연결할 필요가 있으면 두 가닥 레일 말고 레일을 하나 더 설치하는 것. 이는 건설비가 추가로 필요하고 각 노선별로 차량한계와 건축한계가 다르기에 노선 전체를 제3레일로 뒤덮는 일은 잘 없다. 흔히 환승 또는 환적장을 건설할 때 상대 환적장으로 진입하기 위해 조금만 설치한다.
  • 대차 교환. 복잡한 거 다 필요없이 그냥 대차를 바꿔 버리는 것. 대차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윤축은 대차에 조립된다. 차체는 대차에 올라가 있으므로 윤축을 교환하는 건 힘드니 차체를 들어다 대차와 차체를 분리 후 대차를 바꾸고 다시 차체를 내려 조립하는 것. 물론 차체는 그대로 이기에 차량한계와 건축한계에 대한 고려는 필수다.
  • 양 국가나 노선 간 궤간 차이가 크지 않다면, 환승이나 가변궤간이라든가 이런 거 저런 거 다 필요 없이 그냥 이어버린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흔치 않다.
  • 정말 단순하고(?) 확실한 방법으로, 그냥 뜯어내고 다른 궤간으로 다시 까는 방법도 있다(...). 아주 좋은 예로 미니 신칸센이 있다.
  1. 간혹 철제 바퀴를 고무 타이어로 감싸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부산 도시철도 4호선.
  2. 현재 시점에서 수인선표준궤로 개궤라고 쓰고 신설이라 읽게되었으며, 수려선은 폐선되었다.
  3. 북한은 표준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