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자





鐙子 / Stirrup


1 개요

인류 전쟁사의 패러다임을 바꿔버린 물건.

등자의 발명으로 인해 종전의 기병=귀족=소수정예라는 공식에서 벗어나 기병대의 대량운용이 가능해졌다.

등자는 안장에 달린 발 받침대이다. 이 등자는 말에 오르거나 말 위에서 균형을 잡는 데 매우 유용한 발명품이다.[1]

이런 유용함과 간단한 디자인에도 불구하고, 안장이 발명된 지 무려 천 년 가까이 서구 문명에서 쓰이지 않았다. 말은 기원전 4천 5백년 경에 길들여졌고 안장은 기원전 800년 경에 등장했는데, 등자는 기원후 700년즈음 동방으로부터 보급되기 시작하여 기원후 800년 경에 널리 쓰이게 된다.

아시아에선 유럽에 비해 일찍 등자를 발명한다. 인도에선 기원전 500년 경 아주 원시적인 형태의 등자를 발명했는데 이는 그들이 더운 지역에서 맨발로 돌아다니기가 예사였으므로 말에게 자극을 줄 신발을 대신할 기구를 안장에 달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는 인도 남부에서만 쓰였을 뿐이고 전 세계적으로 알려지지는 않았다. 그러다 중국에서 현대적인 등자가 쓰였는데, 현존하는 가장 오랜 등자 자료는 기원후 322년의 무덤에서 발굴한 것이다.[2] 이 때는 사마염이 건국한 왕조가 중국을 통치했을 때였다. 이 시기 후연등 북방 기마족이 등자를 단 기병을 활용했으며, 이 기마족들 중의 일부가[3] 동유럽과 접촉하여 비로소 유럽인도 등자를 알게 된다. 유럽에서 발견된 가장 오랜 등자는 헝가리에 있는 기원후 7세기 경의 무덤에서 발굴된다.

6세기 무렵의 유물로 알려진 신라 금령총에서 출토된 국보 91호 '말 탄 사람 토기'에도 등자가 있으며, 가야 유물에서도 발견된다.
500px

기원후 800년 경엔 서유럽에서 등자를 쓰기 시작한다. 등자의 도입은 기병 육성을 손쉽게 하였고, 전투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덕분에 기병은 전투의 주력이 되었으며 기사 계급과 봉건주의 출현에 공헌한다.

일설에 따르면 유럽에 등자가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훈족을 비롯한 중앙아시아계 유목민들의 이주가 시작된 약 기원후 400년 무렵부터라고 한다. 허나 이 설은 아직 검토 단계이며, 실제론 약 700~800년 무렵에 들어서야 서유럽에 등자가 들어서기 시작한 것을 보면 유럽의 등자 보급은 훨씬 이후일 수도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움베르토 로베르토에 의하면 훈족 멸망 1세기 후인 558년 아바르족 이 출현할 때 등자가 알려졌다고 한다.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의 궁정에 군사 동맹을 위해 파견된 사절단은 "등자를 사용하여 전장에서 기동 작전에 능하고 투석기를 써서 전투에서 최고 능력을 보여주는 아바르족 기동대" 라고 했으며, 동로마는 직접 전투를 치루었다. 다만 이때 문헌에 처음 등장했고, 실용화는 훨씬 뒤일 것이며 그것이 동로마를 넘어 서로마까지 전파되는 시간은 상당히 걸렸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최근 고대의 발견 다큐에서 실험한 바로는 등자와 카우치드 랜스를 쓰지 않은 창기병의 파괴력은 화살과 거의 동급이었다.
그러나 등자와 카우치드 랜스를 사용한 창기병의 경우 말의 무게를 확실히 실어서 100km로 달리는 차에 치이는 것에 버금갔다.

2 대 등자 논란

등자의 도입과 기사 계급의 출현이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는 논란이 있는데, 등자가 봉건주의 출현을 초래했다는 주장은 프린스턴과 스탠포드의 중세학과 교수를 역임했던 역사학자 린 타운젠트 화이트 주니어가 제기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찮은데 등자가 기병 전력을 강화시키긴 하지만 봉건주의를 낳을 정도로 대단한 영향은 주지 않았다는 견해가 있다. 가령 동방에 기사보다 천 년 전에 존재했었던 카타프락토이의 경우 매우 강력한 돌격력을 발휘하였는데[4] 이들은 등자를 착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보병에 대해 기병이 가지는 우위는 등자의 유무와 무관하게 발휘될 수 있으며, 봉건주의의 출현은 시대의 흐름에 불과하다는 견해이다.

린 화이트 주니어의 경우 등자로 인하여 기병들이 '카우치드 랜스', 즉 겨드랑이 사이에 창을 끼우고 돌격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병이 다수의 보병을 원활하게 제압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등자의 발명과 카우치드 랜스의 등장 사이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있는지, 나아가 카우치드 랜스가 이전의 오버 핸드 차징[5]이나 양손으로 창을 잡고 돌격하는 방식에 비하여 보병전열을 수월하게 분쇄할 수 있는지도 논란의 대상이다. 이 논란은 의외로 심각하여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태이다. 이를 '대 등자 논란(Great Stirrup Controversy)'이라고 한다.

실험에 따르면 창을 들고 돌격하는 상황에서 등자가 기여하는 역할은 매우 적다고 하고, 숙련된 기수라면 등자 없이도 말에서 떨어지지 않고 카우치드 랜스를 성공시킬 수 있다. 하지만 기병끼리 말 위에서 칼을 들고 교전하는 상황에서 등자는 분명한 안정성을 주며 장거리 이동에 있어서도 기병에게 상당한 편의를 제공한다.

하지만 유럽에서 등자의 도입과 기사계급의 출현이 시기적으로 일치하므로 등자가 봉건주의의 출현에 기여하는 역할이 없다고 결론내리기도 쉽지 않다. 다만 카우치드 랜스가 전장을 주름잡던 시기 이전에[6] 기사들이 주도적인 지위를 차지해 가는 것도 사실이다. 즉 등자의 출현이 기사들의 전투력에 영향을 주었을지라도 봉건 제도의 성립에 본질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는지는 여전히 의문의 대상이다.

3 창작물에서

영화 적벽대전의 한 장면.영화 글래디에이터

창작물에서는 정말 잘 틀리는 고증 중 하나인데 단순한 구조에 비해 실제로 등장하는 시기가 매우 늦어서 창작물에서 밥 먹듯이 틀리는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소재이기도 하다.사실 작정하고 봐도 잘 보이지도 않는다 고증오류의 주 무대가 되는 것은 동양의 경우 삼국시대(중국), 서양의 경우 고대 로마. 그래도 삼국시대는 실제 유물(서진)이 가깝기라도 하지, 로마는... 한편으로 소설 눈 속의 독수리에서는 아드리아노플 전투의 패배가 등자 때문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오늘날 드러난 사실과는 거리가 있다.

하지만 영상물의 고증오류를 탓하면 안 되는 것이 무등자 승마는 고난이도 기술이라 등자가 없던 시절의 기병은 정말 어린시절부터 수십 년간 승마훈련을 해야 했다. 때문에 현대에는 승마 자체도 할 줄 아는 사람이 적은데 승마씬 하나 찍자고 이런 위험하고 오래걸리는 기술을 배우들에게 훈련시킬 수도 없고, 배웠다 치더라도 원래 무등자 승마 자체가 사고의 위험이 크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존재한다. 아니 그게 거의 유일한 이유라고 보면 된다. 가뜩이나 전투씬 때는 여러 명의 기수들이 갑주를 입고 냉병기를 휘두르며 격렬한 액션을 펼쳐야 하는데, 고증 지킨다고 등자도 없이 찍었다가는 배우들이 파업해도 할말이 없다.요즘 cg기술이 발달해서 후처리로 없애도 될 것 같은데... 정지신이라면 간단히 지울 수 있지만 움직이는 장면을 다 지우려면 엄청난 돈과 노가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배우로 인한) 현실적인 제약에서 자유로운 CGI나 그림에서는 매체에 따라 다르지만 그래도 비교적 오류가 적은 편이다. 특히 고증에 신경을 쓴 경우는 더욱.
초한전쟁팽성대전(기원전 205년)을 그린 삽화. 근데 이 그림은 그냥 간지를 위해 등자를 넣은 것 같다.

여담이지만 아메리카 원주민이 나오는 서부영화에서는 안장조차 없이 말을 타는 원주민들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그쪽이 야만적이거나 자연친화적인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에 가깝다. 하지만 아메리카 대륙에는 원래 말이 없었고, 전부 유럽인들이 들여온거라 당연히 안장과 등자도 같이 들어 왔다. 미국 각지에서 가죽이나 천으로 만든 원주민들의 등자와 안장유물이 숱하게 발굴되었다. 단, 실제로 안장없이 말을 타던 원주민들의 사진도 남아 있으니 등자가 없다고 반드시 고증오류라는 건 아니다. 요컨대 안장없이 타는 경우도 있긴 있었겠지만 안장과 등자를 쓰는게 일반적이었다는 이야기. 애초에 역사 속 인물들이 게임의 유닛들도 아니고 등자가 발명된 후라고 해서 등자 없이 타는 경우가 단 한 번도 없었다고 할 수 있을리가..

4 그 외

DSCF1426.jpg

쇠뇌의 앞부분에 달려있는 고리 같은 것도 등자라고 부른다(모든 쇠뇌에 달려있는 것은 아니다). 화살 장전시 시위를 당기기 용이하도록 발을 넣고 쇠뇌를 수평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
  1. 이게 이해가 안간다면, 꼬꼬마 시절 해보았을 말뚝박기를 연상해보자. 등자가 없는 상태에서 균형을 잡는 것은 의외로 굉장히 어렵다. 말뚝박기에 등자를 등장시키면, 그건 그것대로 흠좀무하겠지만
  2. 중국에서 발견된 초기 등자는 지금의 양발을 얹는 형태가 아닌 한쪽만 얹는 답등(외등자)이였다.기록이나 그림으로 보면 그보다 이르며 인류 최초의 금속 등자는 2세기경의 중국 조각 작품에서 등장한다. 이런 형태는 말을 타기 위한 보조용구로 쓰였을 가능성을 알려주는 것으로 마상의 안정적인 자세보단 말타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용도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음을 알려주는 형태이다. 지금과 같은 형태의 등자는 5세기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3. 아바르족으로 추정된다.
  4. 다만 이들이 기사들을 능가하는 돌격력을 발휘했는지는 또 의문의 대상이다. 돌격 방식의 차이도 있고 이들의 마갑과 무장은 돌격 이후 백병전에 상당한 비중을 두고 있다. 이는 비잔티움 제국의 카타프락토이에서는 더욱 명확하게 나타나는데, 이들의 주된 무장은 철퇴였고 일부만이 기창으로 무장했다.
  5. 창을 머리 위로 들고 찍는 방식
  6. 린 화이트는 서구권에서 카우치드 랜스의 등장시기를 9 세기까지 소급시키나 실제 이 시기에 카우치드 랜스가 돌격전에서 주도적인 지위를 차지했다고 볼만한 명확한 근거는 없다. 반면 9 세기를 거치면서 바이킹과 마자르에 대항하면서 기사 계급은 확연히 성장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