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우 텐메이

가디언즈의 플레이어 캐릭터
길리언 엘다인흑기사젤디아진레이
스컬뷰레털크스P.벨바로우 텐메이


朧 天明

파일:Attachment/Rou.gif1173750652883933630.jpg

가디언즈의 등장인물.

1편인 전신마괴에서는 등장을 안하니까 스토리가 없어서 그런지 인지도도 떨어지고, 같은 신캐릭터인데도 똥파워를 자랑하는 스컬뷰레라든지, 기술의 연계성이 최강인 진레이에게 밀려서 전혀 관심을 못받는 투명 캐릭터다. 물론 로우의 성능 자체는 흑기사처럼 잉여기술이 미치도록 넘치거나 파워가 약해서 쩔쩔 매지도, 젤디아처럼 운영법이 지랄맞거나 하지도 않지만... 이 캐릭터는 적에게 접근해서 싸우는 스타일이 아니라 웬만큼 거리를 두고서 싸워야하기 때문에 횡스크롤 액션 특유의 호쾌한 액션을 기대했던 사람들이 쓰기에는 부적합한 캐릭터라서 인기가 없어서 그다지 선택이 안되는 비운의 캐릭터다... 오죽했으면 애들도 얘한테는 별명을 안 붙여준다.[1] 적어도 흑기사는 그냥 여자라는 별명이라도 있는데 얘는 뭘까?
그런데... 이런 로우에게도 투명의 오명을 벗겨주는 특징이 있다. 바로 특수장착무기인 검과 봉을 다 쓸 수 있는 유일한 캐릭터. 검과 봉을 장착할 때의 공격 형태가 달라지는 것이 특징.

로우는 진레이처럼 다양한 기술을 구사하는 캐릭터이기는 하다. 그러나 진레이하고는 다르게 직접 달려가서 상대와 엉겨붙으며 치고받고 싸우는 것보다는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원거리에서 적을 쓸어버려야 하는 캐릭터.

기본공격 A타입은 괜찮은 성능의 마무리를 자랑한다. 발동속도도 빨라서 좋고, 리치도 적절하고, 기술의 연계성 또한 나쁘지 않고, 데미지도 보통. 여러모로 적절함을 갖췄다. 모든 캐릭터들의 기본공격 중에서도 가장 스탠다드함을 느낄 수 있다.

기본공격 B타입은 기본공격을 3타까지 때릴 때, →+A, 혹은 ←+A를 입력하면 조금 전진해서 팔꿈치 공격을 적에게 날리는데, 다른 캐릭터들의 B타입하고 사뭇 다르다. 왜냐하면 사정거리가 다른 캐릭터들에 비해서도 짧고, 다른 캐릭터들의 B타입 공격과 비교해보면 딜레이가 짧은 사정거리만큼 없다는 특징을 띄기 때문에 그렇다. 한마디로 다른 캐릭터들의 B타입 공격이 좀 더 전진하여 여러 적들을 때린다는 형식을 갖추고 있다면 로우의 B타입 공격은 제자리에서 끝내는 목적을 갖췄다고 보면 된다.

기본공격 C타입은 기본공격 막타를 치기 전에 ↑+A. 먼저 크게 발을 올려서 적을 차올려 1타를 먹인 뒤에 뛰어올라서 다시 한 번 발로 차올리는 기술이다. 점프 계열의 기술이라서 빈틈이 많을 것 같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점프가 낮아서 의외로 그다지 딜레이가 크지 않은 것. 두번째 발차기 같은 경우에는 뛰어올라서 전방을 차올리기 때문에 범위도 꽤 되는 터라 이것도 마찬가지로 좋은 기본공격이다. 데미지도 상당히 많이 주는 편이다.

기본공격 D타입을 ↓+A를 입력하여 막타를 하면 나간다.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어깨로 적을 날려보내는 기술이다. 고정된 상태에서 동작을 시전한 직후 다시 돌아오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딜레이가 짧다는 것! 그만큼 적은 빈틈을 자랑한다.[2] 그리고 근접하여 사용하면 좀더 큰 데미지를 준다.

대시공격은 달려가면서 어퍼컷! 모션이 왠지 초풍이 떠오른다! 그런데... 문제는... 그놈의 선딜레이[3]가 뭔지 사람을 미치도록 골때리게 만드는지... 다른 캐릭터들은 준비동작 따위는 가볍게 엿바꿔먹는지라 즉시발동이 가능한데 그 약간의 준비동작 시간이 무척 신경쓰이게 만든다. 실제로도 그 준비시간에 존내 두들겨맞는 경우가 허다하다. 대신 특징이 하나 있는데 대시공격빼고 처맞고 쓰러져있는 적들도 맞출수가 있다. 모션이 초풍을 닮은 덕분인지 대시공격에 맞은 상대는 공중에 떠버린다. 그런데... 문제는... 로우는 거의 모든 기술에 선딜레이가 들어가있다! 그러기 때문에 콤보를 그렇게 마음먹은 대로 쉽게 되는 일은 별로 없다... 대시공격이 보통 다른 기술들과의 연계가 좋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역시 로우는 이리저리 싸돌아다니면서 닥치는대로 무쌍난무를 펼치는 것보다는 부동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적과 거리를 두면서 싸우는 타입이라는 것을 일깨워주는 기술. 그러기 때문에 로우에게 있어서 대시공격은 절대 남발해서는 안되는 기술이다![4] 판정은 좋아서 겹친적에게 까지 들어가서 생각보다는 나쁘지 않다.

대시필살기는 모션이 양손에서 단도 비스무리한 것을 빼들어 적을 두 번 베어내는 형태를 띄고 있다. 대시공격에 비하면 데미지와 판정도 좋고, 발동도 더 빠른 기술인데 기를 소모하는 단점 때문에 대시공격과는 다른 이유로 남발해서는 안되는 기술.

돌진필살기는 P.벨바털크스의 돌진필살기처럼 어딜 봐서 돌진필살기라는 것일까? 라고 의문을 제기하고 싶은 돌진필살기다.발동하면 웬 작살을 던져서 전방에 있는 적들을 꼬챙이로 꽂은 뒤, 이 상태에서 A를 누르면 추가타로 작살에 전기를 흘려보내 감전시키는 기술이다.[5] 약간의 선딜레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그다지 긴 편도 아니고, 사거리도 꽤 되기 때문에 적의 공격이 안 닿는 곳까지 도망가서 쓸 수 있는데다가 데미지도 좋으니 주력 기술이다. 다만 주의사항이 있다면 X축 공격과 후방에서 당하는 공격에는 상당히 취약하다는 것이다. 그 점만 새겨둔다면 큰 문제는 없는 기술.


점프필살기는 반원형의 에너지 칼날 비슷한 물체를 적에게 날리며 베어버리는 기술이다. 점프필살기는 그다지 데미지도 크지 않고, 범위 또한 넓은 편이 아니지만 저것이 지상에서 적의 에너지를 갉아먹으며 경직을 주고 있을 때, 그 틈을 노려서 로우가 뭔가를 노릴 수 있으니 로우의 모든 것들의 시작으로는 나쁘지 않는 기술이다. 하지만 조심해야 하는게 칼날이 내려가는 속도가 빠른 편이 아니라서 뭣도 모르고 괜히 앞으로 점프해서 설친답시고 이 기술을 날리면 칼날은 내려오지도 않았는데 로우가 먼저 내려와버리는 상황이 발생, 그야말로 망했어요가 된다. 거리를 잘 재야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이 기술의 포인트다. 3탄보스에게 쓸만한데 내려오기 전에 보통 2회정도 공격 가능하다.

회피기는 어디서 꺼냈는지 통 감이 안잡히는 전기 채찍을 꺼내들어 크게 휘두르며 적들을 날리는 기술. 회피기로서의 성능은 평범하기 이를데 없다만 화려한 이펙트와 효과음 때문에 많이 써주는 기술이다.

슈팅공격은 퇴마사스럽게 부적을 꺼내 불을 붙이더니 그 부적들을 적에게 날리는 기술. 부적에 맞은 적들은 일정 시간 동안 아무것도 못하며 괴로워하는데 도대체 부적에 뭔 짓한거냐? 범위는 상당히 좁고, 사거리도 그다지 길지 않지만 맞은 상대의 경직 시간이 꽤 길어서 그동안에 로우는 별 짓거리를 다하면 된다. 데미지가 낮아서 데미지 딜링을 목적으로는 쓸 수 없지만 적들을 묶어놓기에는 최적격의 기술.

대공필살기는 단도로 지상에서 한 번 베어버리고, 그대로 공중으로 뜨며 크게 베어버리는 대공기다. 전 캐릭터의 대공필살기 중에서 가장 긴 시전시간을 갖고 있는데 비록 넓은 범위와 데미지 딜링을 목적으로 쓸 수 있지만, 기술 시전 도중, 혹은 시전 후에 착지하기 전까지 적에게 카운터를 먹을 확률이 상당히 높다. 거기다가 후딜레이가 긴 덕분에... 돌진필살기+대공필살기 콤보 패턴을 전혀 이용할 수가 없다.[6]

로우의 잡기 연타는 발동도 빠르지 않고, 데미지도 썩 좋지는 않지만 그다지 모자라지 않은 평범한 성능을 갖고 있다. 모션은 적을 잡은 상태에서 주먹으로 퍽, 퍽, 퍽... 최대 3타까지 연타를 먹일 수 있다.

특수던지기 1은 적을 잡고 점프한 상태에서 바닥에 쿵하고 찍어버리는 기술. 기본 연타보다는 데미지가 좋긴 하지만 적을 바닥에 찍은 이후에 앞으로 덤블링할 때가 위험하니 가급적이면 자제를 촉구한다. 덤블링 방향이 정해져있는 단정이 있다.

특수던지기 2는 적을 잡은 상태에서 →→ 혹은 ←←. 무난하기는 하지만 이것도 특수던지기 2처럼 적을 찍은 다음의 덤블링할 때의 빈틈이 커서 자제를 부르는 기술. 역시 방향이 정해져 있다. 열차에서 떨어지기 십상.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로우는 가디언즈의 모든 캐릭터들 중에서도 유일하게 검과 봉 2가지 다 사용가능한 캐릭터로서 각각의 무기에 따라 공격 형태도 달라진다.

우선 봉을 잡았을 때의 기본공격은 맨손 연타 때보다도 공격력이 세지고, 연타 속도도 빠른데다가 3연타로 끝맺기 때문에 시전시간도 짧다.
봉을 잡은 상태에서 →→+A 혹은 ←←+A를 입력하면 특수공격이 발동된다. 봉을 뻗은 상태에서 빙글빙글 회전시키며 적을 찌르는 기술인데 에너지를 소모한다. 물론 에너지를 소모하는 값을 하듯, 상당한 위력을 자랑하는데 즉시발동될 뿐만 아니라 리치도 길고, 적을 끌어당기는 효과도 있어서 적이 스치기만 하더라도 끌려들어와서 나머지 공격도 다 쳐맞는다. 거기다가 빠른 발동 덕분에 거의 웬만한 콤보도 다 성공시킬 수 있다.[7] 또한 결정적으로 이 기술을 시전한 후에 딜레이가 없기 때문에 마음껏 남발해도 되는 기술이다. 기본적으로 로우는 이 거리 저 거리를 재면서 속된 말로 소금처럼 짠 플레이를 해야하지만, 봉 하나만 장비하면 플레이어 입에서 저게 같은 로우 맞냐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무쌍난무를 펼칠 수 있게 된다. 그야말로 회심의 스타일 전환! 그만큼 이 기술이 최상급 성능을 갖고 있다는 소리다.

검을 잡았을 때의 로우는 봉 모드처럼 기본공격의 연타 모션도 변화가 된다. 검 모드에서는 봉 모드랑 다르게 데미지가 더 높고, 범위도 넓지만 대신에 공격속도가 봉 모드보다 떨어진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래도 단점보다는 장점이 훨씬 많으니 사용해서 나쁠 것은 하나 없는 것이 검 모드다. 일단 데미지는 검을 잡는 순간 최상위가 되고 점프공격에도 쩌리들은 한방이나 두방에 끝날 정도로 강력하다.
검을 잡은 상태에서 →→+A 혹은 ←←+A를 입력하면 봉 모드와 마찬가지로 특수공격이 발동된다. 이것도 봉 모드처럼 적을 끌어당기는 효과도 있어서 적이 스치기만 하더라도 끌려들어오게 된다. 봉 특수공격처럼 장단점이 명확하게 갈리는 기술. 봉 특수공격에 비해서 직선 범위도 짧고, 공격 속도도 느리고, 판정도 조금 안 좋긴 하지만 데미지가 더 세고, X축 판정으로는 검 특수공격이 더 좋다. 한마디로 봉과 검을 놓고 비교해서 자신이 어떤 스타일인지를 유심히 생각해보고 무기를 고르도록 하자. 그것은 어디까지나 플레이어의 몫이니까. 하지만 점프공격의 위력차이가 너무 커서 웬만하면 칼을 잡자.

그리고 검이든 봉이든 장착했을 때 대시공격의 발동속도가 향상된다!! 타 캐릭과 비교했을 때 거의 차이가 없는 수준. 역시 검으로 하면 공격력이 패왕급이다.

스페셜기의 커맨드는 대시공격시 A버튼을 지속하고 공격이 히트하면 ↓↑. 넓은 범위의 검무를 지상에서부터 시작하여 검무를 하면서 두 번 회전한 후에 공중으로 도약하여 크게 베어버리는 기술이다. 대공 및 X축 범위가 상당하므로 적어도 기술 시전 도중에 공중의 적과 X축의 적으로부터 공격을 받을 일이 적은 기술이다.[8] 대신 그만큼 나가는 거리가 짧기 때문에 여러 방을 맞추는 것에서 난감함이 보이고, 맞은 적이 그대로 쓰러지기 때문에 콤보에도 애를 먹고, 공격의 타수도 적은 편이라서 조금 안습. 하지만 데미지도 그리 나쁘지만은 않고, 범위가 굉장히 넓은 편이라서 주변 청소가 필요한데 마침 스페셜 조건을 갖춰져 있으면 생각하지 않고 바로 쓰게 되는 스페셜기다.

플레이어블 캐릭터 중 유일하게 로우에게만 존재하는 특수한 파워차징 기술이 있다. 파워가 소모된 상태에서 가만히 있으면 자동적으로 파워를 모으는 것은 전 캐릭터가 동일하나, 로우는 파워를 반 이상 소모한 상태에서 A+↑↑를 입력하면 일반적인 차징 모션과는 다른 모션을 취하면서 일반 차징보다 파워를 빠르게 모을 수 있다.

궁극기는 작은 빛덩어리가 나가는 것을 시작으로 그게 사라지면서 전기를 품은 링이 날아가 적을 감전시키는 기술. 직선에서의 사거리가 화면 끝에서 끝까지 나갈 정도로 길고, X축으로도 결코 작은 범위가 아닌지라 괜찮다. 데미지는 다른 캐릭터들의 광범위형 궁극기보다는 세고, 파워형 궁극기보다는 약한 편. 하지만 잊지말자. 궁극기의 데미지 차이는 궁극기의 파워가 워낙 잉여로운 흑기사를 제외하면 거의 차이가 없음을...

로우 텐메이는 확실히 적을 근접하여 치고 받고 싸우는 것보다는 먼 거리에서 견제, 견제, 또 견제를 해주는데에 중점을 두는 캐릭터다. 그렇기 때문에 다소 운영법이 난해하기는 하지만 검과 봉을 씀으로 인해서 스타일의 전환을 추구할 수도 있는 독특함이 매력적인 캐릭터다. 비록 운영이 다른 캐릭터들과는 다른 성향이 확연하게 느낄 수 있지만 멀리서도 적들을 마음껏 처리할 수 있는 그런 독특한 캐릭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추천.

  1. 물론 부적을 쓰니까 도사, 혹은 퇴마사라든가 푸른옷을 입고 다녀서 파랑이라는 별명을 쓰는 애들도 존재하긴 하지만... 로우는 암만 생각해도 투명을 넘어서 진공인 것 같다...
  2. 사실 D타입이 대부분 적은 빈틈을 자랑하는데, 로우의 것은 그 중에서도 가장 빈틈이 적은 편에 속한다.
  3. 기술 나가기 전 준비동작으로만 무려 0.5초를 잡아먹는다.
  4. 하지만 검이나 봉을 들었다면??
  5. 하지만 기술이 들어간 상태에서 ←+A를 입력시 잡힌적을 자신이 있는쪽으로 끌어올 수 있다. 작살의 판정이 지속되는동안 발동 가능하기에 감전공격후 끌어오는것도 가능.
  6. 이 콤보 패턴이 가능한 캐릭터는 돌진필살기 혹은 대공필살기의 발동이 빠르거나 성능이 좋은 경우다. 로우만 그런 패턴이 불가능한 것이 아니다... 스컬뷰레와 젤디아, 털크스도 그런 패턴을 못쓴다...
  7. 기본공격+특수공격 혹은 대시공격+특수공격 이런 식으로.
  8. 다른 캐릭터들의 스페셜기는 직선 일변도로 화력이 집중이 되다보니까 대공과 측면에서 약점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