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정우체국

別定郵遞局

말 그대로 특정 개인이 건물 등을 소유하며 우편업무를 하는 곳을 의미한다. 시내보다는 보통 시골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이 특징. 총 757국이 존재한다.

1960년대에 정부가 우체국을 지을 돈도 없을 당시에 우편서비스는 해야하겠는데 돈은 없고 해서 특정 개인에게 이런 권한을 제공한 것이 시초이다. 어떻게 보면 우체국 가맹점이다. 업무는 우편물 접수 및 우편집중국으로의 수발송, 금융업무를 담당한다. 그러나 집집마다 우편물을 배달하는 업무는 하지 않는다. 이는 집배국 소속 집배원이 담당하고 있기 때문.

별정우체국 임직원은 공무원은 아니지만, 공무원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다. 별정국장은 6급, 사무장은 7급, 사무주임은 8급, 사무원은 9급대우. 연금도 공무원 연금이 아닌 별정우체국연금을 받는다. 또한 우체국의 소유자가 국장으로 지낼 수가 있다. 과거에는 국장 자리를 친족에게도 물려줄 수 있었지만, 2000년대 들어서는 정부에서 많이 단속하고 있어 사실상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1] 그래도 읍·면단위 지역의 별정우체국 국장은 소위 지역유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기사 돈이 있어야 우체국 가맹국을 설치하고 운영할 수 있으니까.

그리고 예전에는 별정우체국 직원을 채용할 때는 면접이 형식적인 경우가 많았다. 이는 2012년 초반까지도 그러했다. 2012년 초반에는 각 지역 총괄국에서 면접을 시행하였는데, 보통 별정우체국에서 대무사역을 하던 사람을 뽑는 것이고, 면접은 일종의 절차상 거처야 하는 부분이었으나, 2012년 후반부터는 채용 면접을 지방 우정청에서 시행하고, 별정국장들은 면접장에 못 나오게 한 상태로 면접이 진행되었다.

소위 이 나라가 망하거나 우체국이 민영화되어 시장논리에 의해 퇴출되기 전까지 진정한 철밥통이다. 실제로 별정우체국 직원 중는 별탈만 없다면 한 곳에서 오래 근무하는 경우도 심심치않게 볼 수 있다. 다만 2000년대 들어서 지역 총괄국에서 별정우체국에 직원파견 및 순환근무도 병행하기 때문에 가끔 직원이 바뀌는 경우도 있다.

어떻게 보면, 일본의 우체국을 보는 듯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다수 별정우체국이 면단위지역이나 동단위 지역[2]에 한하고 있기에 그다지 일본처럼 큰 힘을 쓰지는 못하는 듯 싶다. 그리고 별정우체국의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 2013년 11월, 우정본부에서 적자를 내는 읍면동 단위 우체국은 빠르면 2014년부터 바로 폐쇄해버리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에 이후 그 수가 대폭 줄어들 것으로 추측된다.

마이너 버전으로 우편취급국이라는 게 있다. 단, 이 쪽은 금융 업무 불가.
  1. 별정우체국 국장의 가족이 우체국 직원으로 오랫동안 근무를 했다면 국장직이 승계되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2. 시골 지역이 도시화되면서 그대로 별정우체국으로 남는 경우도 여기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