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장

1 물고기를 잡는 곳

漁場

또는 어로를 말하기도 한다. 적절한 어획량을 유지하려면 어장관리를 잘 해주어야 한다.

2 중국 전국시대의 명검

魚腸

나라의 명인 구야자가 월왕 윤상의 명에 따라 만들었다. 당시 세트로 만들어진 검 다섯개의 이름은 각각 담로(湛盧), 어장(魚腸), 순균(純鈞), 거궐(巨闕), 승사(勝邪)라 한다. 이 중 셋은 나라의 공자 희광에게 전해진다.[1]

이 칼의 주인인 희광은 오나라 왕족이었으나 계승에서 밀려난 데 대해 남몰래 불만을 품고, 모반을 일으킨 계획을 짠다. 신중한 사전 작업 끝에 마지막 단계로 오자서가 추천한 전제라는 인물에게 어장을 빌려주어 암살을 결행하기로 한다. 당연히 아무나 데려온 게 아니라 이 전제는 삼엄한 호위병 무리에서도 전혀 쫄지 않고 재빨리 행동할 전문가로 고르고 골라 찾아낸 자객이었다. 전해오는 야사에 의하면 전제는 이 때 병이 깊어서 더 오래살 수 없었기에 스스로 목숨을 건 이 암살을 청했다고도 한다. 전제의 요구조건은 남겨둔 식솔의 미래를 부탁한 것.

전제는 경계가 삼엄한 연회석에서 음식을 나르는 하인으로 위장해 접근했다. 호위병들이 온 몸을 빠짐없이 수색했지만 당연히 이상없었다. 다만 물고기만은 건드리질 못했는데 당연히 건드리자면 물고기 상태는 엉망이 될테고 보기에는 지저분해보이니 넘어간 것. 무기를 숨겨둘 곳으로 딱이었다. 그리하여 전제는 오왕 요가 맛있게 물고기를 먹으려 할때 재빨리 생선 뱃속에 숨겨두었던 칼을 꺼내 오왕의 심장을 찔러 죽였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호위병들에게 참살당했지만 희광은 결국 이로 인해 왕위에 올라 스스로를 오왕 합려라 했으며, 후에 전제를 후히 장사지내주고 가족을 극진히 대접해 준다.

생선의 뱃속에서 숨겨져 큰 일을 했다는 의미로 이 칼에는 어장이란 이름이 붙었다. 즉 이전에는 무명이었단 이야기인데, 희광은 원래 엷은 뜬구름 같은 무늬가 있다고 하여 연운(連雲)이라 부를 생각이었다고 한다.

이 때는 아직 청동기무기로서 더 널리 쓰이는 시대였으나 보검이었으니만큼 철로 되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2]

본래 계승 순위대로라면 오나라 왕은 희광이 되어야 했긴 했으나 그래도 엄연히 한 나라의 왕을, 그것도 비겁한 술수로 죽였기 때문에 어장은 오왕 요를 암살하는데 쓰인 이후로는 보검으로서의 능력을 상실했다는 전승도 있다.

무협지에서는 호신강기를 파훼하는 전설의 암살병기로 등장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3 1에서 유래한 은어

일반적으로 여성이 자신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복수의 남성을 관리하는 것. 그러니까 역하렘이다. 그렇지만 역하렘보다 굉장히 부정적인 이미지. 관리한 이성들을 여러모로 이용해먹는다[3]는 부정적인 이미지의 단어이다. 특히 경제적으로 이용해 먹는 경우[4]가 많으며, 경제적인 목적이 아니더라도 당하는 입장에서는 피를 토한다. 일반적으로는 여성의 그런 행동을 말하지만 드물게 남자가 어장관리를 하는 일도 있기 때문에, 원래는 여성이 복수의 남성을 관리한다는 뜻의 단어였지만 어떤 이가 자신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복수의 이성을 관리한다는 뜻으로 의미가 넓어졌다. 어장관리 참조.

4 魚醬

생선을 이용하여 만든 간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사실 간장,된장 등에 쓰이는 한자인 醬자는 '젓갈'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간장과 제조법은 같으나, 대신 생선을 소금에 절여서 발효시킨 것으로, 우리나라의 액젓과 비슷한 형태이다. 액젓 자체가 어장의 제조법을 참고하여 제조되었다는 말도 있다.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 및 중국 남부 해안가 지역에서 조미료로 널리 사용된다. 국내에는 젓갈의 형태로 남아있다. 이 어장의 제조법에서 으로 만든 간장이나 된장의 제조법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대표적인 어장으로 태국의 남쁠라, 베트남의 느억맘이 있다. 남쁠라는 민물고기 [5], 느억맘은 바닷고기로 만든다. 역사가 오래된 만큼 종류도 다양한데, 느억맘의 경우 발효과정 중 새우와 게 육수, 야채즙, 야자열매즙, 돼지고기 육수 등 다양한 부재료를 넣어 여러가지 종류를 만든다고 한다.

자세한 사항은 피시소스 참조.
  1. 하지만 희광이 받은 검은 담로와 반영, 어장이라 하는 것으로 보아 기록 전승 중 혼란이 있었던 것 같다. 참고로, 반영은 합려가 자신의 딸과 함께 매장했다고 한다.
  2. 뜬 구름같은 무늬라는 묘사는 철기시대 초기에 쓴 기법인 접쇠법의 흔적일 가능성도 있다.
  3. 생선을 어떤 장소에 계속 확보해놓고 필요할때 잡아서 먹는다는 1번 항목의 정의를 생각해보자
  4. 처음부터 어장관리하는 목적이 경제적인 이용을 하기 위해서거나 편하게 부려먹기 위한 것인 경우도 있다.
  5. 태국요리에서 필수적인 조미료이다 보니 태국내 민물고기 씨가 말라서 요즘은 캄보디아 똔레삽호수에서 잡은걸로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