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 시내버스/차량

1 운행 차종

1.1 현재 보유 차종

1.2 과거 보유 차종

2 관련 잡담

울산광역시는 1995년 기존 울산시가 울산시와 경남 울주군을 통합하여 통합 울산시로 운영되다가 1997년 울산광역시로 승격하여 생긴 도시로, 현재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예전 울산시 시내버스 이 외에 본래 울주군 군내버스를 운행한 업체까지 포함시킨다. 전자[4]학성버스,한성교통,남성여객,울산여객,신도여객 등이고, 후자는 대우여객이다. 이 외에 시외버스 및 양산시 시내버스 전문업체 주식회사 세원[5]과 과거 2004년 면허반납한 경진여객[6]의 면허와 차량을 이어받아 공동출자형식으로 설립한 유진버스
가 더 있다.

울산광역시는 본래 현대자동차의 본고장으로, 1990년대 중반 전주시에 상용차 생산라인을 가동하기 전에는 본래 상용차도 울산시 소재 공장에서 생산하였다. 이 영향으로 울산 시내버스로는 현대버스 도입량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그래서 울산 시내버스로 1980년대 주력차종은 FB485/FB500 이었고 좌석부문에는 RB520이 주류를 이루었다. 다만, 당시 울주군 군내버스를 운행하던 대우여객은 현대 FB 차종 이 외에 RB520L, 대우 BF101/BF101Q/BS105 도 운행하였다. 1990년대에도 주력차종이 현대자동차 버스로 에어로시티540/540L 차종이 주류를 이루었다.

2000년대에도 주력 차종이 현대 슈퍼에어로시티/뉴슈퍼에어로시티인데 일부 BS090 로얄미디, BS106 로얄시티도 일부 도입되기도 하였다. 2015년 현재는 현대 도시형 차종 이외에 대우 BS090 F/L 차량이 울산 시내버스로 운행중에 있으며, 이 후로 도입한 자일대우버스 차량은 주식회사 세원에서 NEW BS106 을 좌석부문에 도입한 경우가 유일하다. 아울러 울산광역시 시내버스는 부산광역시,광주광역시와 함께 2000년대부터 적용한 당시 신도색을 계속적용하는 도시이며, 서울특별시의 단색도색을 응용한 도색을 쓰지 않고 있다.

저상버스에 달리는 자동변속기앨리슨의 비중이 더 높은 부울경 들과 달리, 대부분 ZF다. 아랫동네인 기장군앨리슨의 공인 정비소가 있음에도, 울산에서 앨리슨은 레어 수준이다.[7]
  1. 2015년 현재 울산 시내버스에 투입되는 중형급 이상의 차량 중 자일대우버스로 사명 변경 이후의 차량은 없다.
  2. 차체 외관 모델명을 플라스틱 양각으로 붙였고, 각 대시보드를 적용한 버스
  3. 차체 외관 모델명을 스티커로 부착(좌석형은 1997년부터 적용)했고, 유선형 대시보드를 적용한 버스
  4. 울산 시내버스 공동운수 협의회
  5. 일부 울산 시내버스 노선도 보유 중이다.
  6. 과거 면허 반납 전에는 본래 울산 시내버스 공동운수 협의회 소속이었다.
  7. ZF의 공인 정비소는 저~멀리 대전광역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