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해머

이 문서는 준보호 상태입니다.

이 문서는 잦은 문서 훼손 및 수정 전쟁으로 인해 자동 인증된 사용자만 수정하도록 제한되었습니다.

1 Warhammer

콩!

워해머. 전투용으로 쓰이는 망치를 일컫는 말이다.

사실 망치를 거대화시켰다기보다는, 아이스픽과 비슷한 형태를 띠는 경우가 더 많다. 의외로 헤머해드가 심각하게 크고 무거운 경우는 드물다. 무게가 너무 나가면 전투용으로 쓰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부분 타격용 해머 반대면에 스파이크가 달려 있고[1] 일부는 찌르는 창날이 달리는 경우도 있다.

자매품으로 타격부위를 뾰족하게 만들어 곡괭이 같이 적의 방패갑옷을 찍어 뚫어버릴 수 있도록 만든 종류도 존재하는데 이는 밀리터리 픽(Military Pick), 워 픽, 호스맨즈 픽 등으로 따로 구분하기도 한다. 병기로 쓰는 망치 중의 상당수가 이런 식이거나, 두 가지 방식을 겸했다고 한다.

그립 길이는 짧은 것은 한손용 메이스 급의 짧은 것부터, 긴 것은 폴암에 포함시키는 양손 장대형의 것까지 다양하다. 다만 워해머라고 하면 한손 망치를 가리키는 경우가 보통이고, 이것은 기마병력이 한손으로 다루거나 근접 난전에서 사용하기 위한 용도다.

자루가 긴 양손형은 기병에 대항해서 사용하는 보병 및 하마전투용이다. 벡 드 코빈, 루체른 해머 등등으로 말하는 폴암들이 사실 양손 워해머의 바리에이션이다.

마울Maul이라고 부르는 양손 망치도 양손 워해머의 일종으로, 이것은 진지 구축용의 말뚝 박는 공구로 쓰다가 상황에 따라서 급하게 무기로 전용한 공구 성격을 띤 것과, 실제로 완전한 무기로 사용한 양손 워해머가 섞여있는 물건이다. 마울을 무기로 사용된 전투는 제법 여럿 있는데, 백년전쟁의 아쟁쿠르 전투에서 영국 궁수들이 전투 전 기병저지용 말뚝을 박고, 막바지에 말에서 내린 프랑스 기사들을 이걸로 도륙했었다. 그리고 프랑스 군 또한 마울을 무기로 사용했다는 기록을 여럿 찾아볼 수 있다. 그래서 마울을 완전히 공구로만 보는 것은 곤란하다.

중세 후기 14세기에서 15세기 경, 표면 경화 기술을 동원한 풀 플레이트 아머가 등장하면서 이나 배틀액스와 같은 날을 가진 무기는 단단한 표면 때문에 미끄러지는 경향이 생겼다. 특히 투구처럼 곡면이 심한 부위에는 칼날이 미끄러지면서 제대로 충격을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2]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검은 갑옷을 정면 상대하기보다는 갑옷 틈새를 쑤시기 위한 송곳형 칼날을 지니는 방향으로 나가고(롱소드 참조), 미끄러지기 쉬운 투구 같은 면을 때려 충격을 고스란히 전달하는 역할은 워해머 같은 둔기형 무기가 등장해서 담당하게 되었다.

물론 표면 경화가 된 판금 갑옷은 이런 둔기형 무기에 대해서도 효력을 발휘하지만, 날선 무기보다는 둔기 쪽이 압도적으로 타격력이 좋기에 기사, 맨앳암즈, 보병 할 것 없이 두루 워해머를 애용했다. 다만 통상적으로 말하는 '갑옷을 찌그러트려 죽인다'는 표현은 아무래도 좀 과장과 오해가 섞인 것으로, 사실 갑옷이 찌그러질 정도로 두들겨 패 죽인다는 표현이 적절할 것이다. 특히 투구 같은 부위를 때리면 갑옷이 찌그러지기 전에 이미 정신이 혼미해져서 넉아웃된다.

무기를 팔아먹어야 하니 그런 의도도 있겠는데, 콜드스틸에서 제공한 동영상에 사용된 갑옷은 재질도 연강이고, 열처리가 되지않은 싸구려 갑옷이기에 가능하리라 본다. 당시 기준으로 완전한 공정을 거친 갑주는 훨씬 튼튼하고 질겼다. 애초에 콜드스틸에서 생산하는 것들은 원래의 전투망치보다도 더 강한 재질을 썼다.

그러니까 한마디로 조금씩 휘어들어가긴 해도 저렇게 한방에 찌그러지지는 않는다.

인간의 근력으로는 분명한 한계가 있고, 같은 재질의 금속이더라도 쉽게 뚫을 수 있는 것은 절대 아니다. 영상에서도 설명해주지만, 이와 같은 이유로 둔기(특히 장병기)도 단순히 강한 힘을 실어 타격하는 것이 아니라 취약점을 공략하는 정교한 형태로 발달한 것이다.

실제로 갑옷을 입은 상대를 공격할 때 이상으로 효율적이기 때문에 철퇴와 같은 둔기류와 함께 높은 효율을 보였다고 한다.

1.1 미디어

실제 타격계 무기로서의 위력은 절륜하지만 무게가 무겁다는 점과, '망치를 들고 싸운다는' 점이 별로 멋이 없어서인지 양판소에서는 외면당하는 무기. 그러나 워크래프트가 대히트를 치고 난 이후에는 등장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는 말도 있다. 주로 일본 쪽에서는 별로 인기가 없으며, 반대로 서양 쪽 매체에서는 그럭저럭 자주 등장한다. 서양에서 만들어진 판타지나 중세 배경 매체에서는 대부분 등장하는 편.

캡콤의 던전 앤 드래곤 게임에서는 속도는 느리지만 맞추면 상대를 경직시키는 무기로서, 타격계 무기이기 때문에 성직자도 잡을 수 있다.

아유월드에서는 양은냄비가 이것과 똑같은 위력을 발휘한다.

관희 챠이카의 등장인물 아카리 아큐라는 자루가 3단으로 접히는 워해머를 주무기로 쓴다

닌자 가이덴에서는 히로인 레이첼이 납치된뒤 류 하야부사가 주워서 쓴다.[3] 하지만 똥파워에도 불구하고 느려터진데다가 같은 중량급 무기라면 풍뎅이 좀 찾으면 얻을수 있는 다빌라로가 더 쓸만해서 버려진다.

얼음과 불의 노래에서 1권 시작 시점에서 국왕인 로버트 바라테온이 젊은 시절에 워해머들고 전쟁터를 누비며 여러 사람 잡았다.

RWBY노라 발키리는 워해머와 유탄발사기를 접목한 흠좀무한 무기를 사용한다.

배틀테크배틀메크 이름으로 쓰이기도 한다. 워해머(배틀메크) 참조.

Thea: The Awakening에서는 데미지는 고만고만하지만 최대 2개 적까지 타격할 수 있는 특수 능력이 있다. 아군의 공격을 몸으로 막는 고기방패 잔챙이를 시원하게 걷어내기 때문에 중반 이후 팀의 화력을 책임지는 무기이다.

Warhammer(구판) , Warhammer 40,000 이름부터 워해머다;; 판타지에서는 황제를 상징하는 무기이며 잘알려진 40.000프랜차이즈에서는 최종티어급무기로 묘사된다 주인공급 캐릭들이 휘두르는 망치질에 오크고 카오스고 퍽퍽터져나가고 박살내버리는는 모습이 호쾌하기 짝이없다 자세한건 아래 워해머 링크를 참조.근데 생긴건 슬레지해머다.

2 미니어처 게임 WarhammerWarhammer 40,000

출시는 판타지인 Warhammer가 SF인 Warhammer 40,000보다 먼저지만 국내든 해외든 Warhammer 40,000: Dawn of War의 영향으로 40K가 인지도도 인기도 월등히 앞선다. GW도 사만은 지나칠 정도로 개정과 서플먼트 발매가 잦지만 판타지는 가끔 아오안 수준으로 손을 안대는 경우도 생기고 있으니... 안습.

국내에도 관련 커뮤니티가 있지만 대부분 유명 커뮤니티는 PC게임을 중심으로 시작한 경우가 많다.

토가 나올 정도의 설정의 방대함에는 질릴 정도. 라지만 다른 올드한 SF들에 비하면 적다 설퀴지터햄덕들은 끝나지 않는 설정의 한계까지 파대고 있지만, 정작 워해머의 모든 설정을 전부 아는 사람이 있는지조차 의문이다. 기보다는 어차피 파봤자 다음에 또 바뀌는데

2.1 워해머 관련 커뮤니티들

3 워해머 관련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아이언하이드 문서의 11판, 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1. 영화 킹덤 오브 헤븐 초반부에 이 뾰족한 부분을 이용해 사로잡은 기사의 정수리를 콕 뚫어서 보내버리는 장면이 등장한다. 농담이 아니고 정말로 휙 하고 내리쳐서 콕 하고 뚫어버린다.
  2. 표면경화가 덜 돼서 연철(wrought iron)을 그대로 사용했던 판금 갑옷 초창기나 중세 초중기의 연철제 투구등은, 칼날로 때려도 미끄러지기보다는 찍히면서 찌그러지는 경향이 강했다.
  3. 정말 떨어진걸 주워야 획득된다.결국 안먹어도 상관없단 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