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후파

1 개요

풍종호의 여러 무협소설에 등장하며, 오랜 세월 문호를 이어오는 대문파들이 있다. 그들은 구정(九鼎)의 비밀을 지켜온 문파들로 신주제파(神州諸派)라 불린다. 이 중 원후파(元侯派)는 수말(隋末) 당초(唐初)[1]의 혼란기를 살았던 귀후(鬼侯)라는 도인을 시조로 원무산[2]에서 시작된 문파이다. 그래서 원무귀후파(元武鬼侯派), 줄여서 원후파 또는 원무파라 한다.

시조인 귀후는 스스로 퇴도인이라 칭하기도 했던 희대의 검객으로, 삼봉진인(三峰眞人)이라고 일컬어지며 봉작(封爵)에까지 이른다. 그리하여 원후파의 기반이 다져졌는데, 그가 귀후라고 불리게 된 것은 그 자신이 귀신을 박멸한다는 말을 떠벌리며 다녔기 때문이다.[3] 이것은 그의 후예들 역시 마찬가지여서 자신들의 행사에 늘 귀신을 빙자하였다고 한다. '보통 귀신이 들렸다거나 귀신에게 홀려 그런 것이다'라는 말을 뱉으며 세인을 우롱한다면 마땅히 혹세무민(惑世誣民)하는 자라고 매도하겠지만, 원후파의 경우는 그렇게 하면서도 협의를 따르기에 오히려 칭송되고 있다. 귀신을 빙자하여 악인을 처단하고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도망치기 때문에 귀후였고, 실제로 그들이 보여주는 놀라운 검법의 절기는 세월을 통해 인정받아 이제는 신주십삼파의 하나로 꼽히는 대문파가 된다.[4]

신주제파는 한 산을 거점으로 삼고 그곳에만 주로 머무르는 문파들이 대다수이나, 봉래파(蓬萊派)처럼 특이한 성향의 문파도 있다. 원후파도 그러해서 비록 원무산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지만, 번듯한 도관이나 거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곳저곳 문도들을 이끌고 여행을 다닌다.[5][6]

2 행적

다른 신주제파들에 비해 역사가 짧음에도 여러 소설에 등장한다.

2.1 녹림대제전(綠林大帝傳)

섭혼검마(攝魂劍魔)가 원후파의 반도이다. 그는 원후파의 검령비결(劍靈秘訣)로 마교(魔敎)의 비전을 재현하고자 궁리를 하다가 섭혼검법(攝魂劍法)을 고안한다. 그러다 모든 사실이 들통이나 문중에서 반도로 쫓겨나고 녹림에 숨는다. 그가 검령비결을 왜곡하여 마교의 환롱진(幻籠陣)의 공효를 얻으려 한 까닭은 강시마군(殭屍魔君)을 막기 위함이었다. 이후 녹림삼흉(綠林三凶)이라 불리며 녹림에서도 기피대상이라는 악명을 얻지만, 후대에는 그래도 섭혼마협(攝魂魔俠)이라 불리는 것을 봐서는 결국 강시마군을 막아내겠다는 소망을 이뤘기 때문인 듯싶다.

2.2 검신무(劍神舞)

당대의 장문인인 노룡격호(怒龍擊虎) 종리당이 문중 제자들을 이끌고 청성파(靑城派)의 대회합에 찾아온다. 구경하러 온 것이라 하지만, 실상은 원무산에서 고관대작들을 박살 내는 행패를 부리고 귀찮은 일이 생길까 저어하여 청성파로 도피한 것이다···. 이때 종리당은 제자인 배원세에게 사람 목은 물론 말(馬)의 목도 따오라고 부려먹어서 그에게 무념귀(無念鬼)란 별호를 얻게 한다.

청성에 육검협(六劍俠)의 뒤를 잇는 일곱 번째 검협이 나타났고, 그 역시도 파문되어 세상을 여행하려 하자 종리당은 자신이 하후염을 따라 여행했던 것처럼 배원세를 도운연의 여행에 동행시킨다. 이는 결과적으로 옳은 판단이었기에 배원세 역시 한층 성장한다.

2.3 투검지(鬪劍誌)

종리당 장문인이 제자들을 이끌고 청성파에 가 있는 삼 년 동안 원무산에 있던 오귀검(五鬼劍)은 원후파의 검총(劍塚)을 털러 온 금모하와 구귀(九鬼) 등을 거두어 가르친다. 이 중 금모하는 검총에서 원후파의 조사인 귀후의 검, 귀룡아를 뽑았기에 제대로 귀문의 연자를 인도하기 위해 반양도(返陽刀)와 십이금혼수(十二擒魂手)를 시작으로 기초부터 탄탄히 단련시킨다. 그리고 삼 년 후 금모하가 세상에 나아갈 때는 오검귀가 잇고 있는 귀검(鬼劍)의 전승기예마저 구결로나마 전수해준다.[7][8]

3 무공

  • 검령비결(劍靈秘訣)
  • 귀류전이(鬼流轉移) : 때로는 귀문전이(鬼門轉移)라고도 하는 원후파의 독보적인 보법이다. 흔히 이형환위(移形換位)에 비유되고, 자주 이형환위로 오해되는 보법인 만큼 뛰어남을 자랑한다. 배원세가 은일항과의 싸움에서 보여준다.
  1. 수나라가 멸망한 때가 618년이다.
  2. 과거 당태종의 시대에 원무산이라고 불리었다가 근래에는 무당산이라 불린다고 『검신무』에서 밝혀진다.
  3. 명백한 사실이나, 세인들에게는 믿기지 않는 소리였던가 보다. 귀후는 중원 사람이 아니라 금발벽안의 이국인으로, 수백 년 간 사람을 잡아먹은 마물인 요룡(妖龍)을 쫓아 중원까지 들어왔다가 원무산에 요룡을 봉인하고 자리를 잡게 되었음이 『투검지(鬪劍誌)』에서 밝혀진다. 즉, 신령하다는 소리까지 들은 마물을 죽이기 위한 귀후의 검술이었기에 귀신의 영역인 귀문(鬼門)의 술식과도 연관이 깊다.
  4. 수말 당초면 『지존록』에서 사백여 년 전이 된다. 그러므로 원후파는 『지존록(至尊錄)』에서 문호가 성립되지 않았다기보다는 구정의 비밀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신주제파에 들지 않았던 것 같다.
  5. 그래도 나름의 거처는 있는 것 같다. 추가로 선조들을 모신 사당과 요룡을 봉인한 검총이 있다.
  6. 다른 무협소설과의 차이점이기도 하다. 한 거점을 가지고 그곳에만 머무는 것이 일반적인데, 풍월드의 청성파만 해도 그처럼 장문인이 붙박이가 된 것이 얼마 되지 않았다. 불해도인(不解道人) 이전에는 장문인이라도 마음대로 돌아다녔으며, 심지어 안원령은 산채를 빼앗아 자리잡았다고···.
  7. 감부동은 막삼견을 찾아 산에서 떠난 뒤였기에 그의 기예는 나중에 전해진다.
  8. 참고로 구귀에게는 귀문육환도(鬼門六幻刀)가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