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규(육룡이 나르샤)

1603142148433640.jpg
1603142149033790.jpg

전 사실, 꿈이 아주 뚜렷합니다. 역사에! 이름을 남기는 겁니다!!!
몸은 괜찮은데, 이 마음이 아픕니다
문 닫아, 들켜[1]
왜 직접하셨어요, 아랫사람들 시키시지 않고.[2]

(형이 없어서……. 무휼에게 시키면 무휼마저 날 떠날까봐.)
죄송해요, 없어서…….

1 개요

  • 이방원의 심복. 고려에서 열 손가락 안에 드는 무사. 개그 캐릭터

SBS 사극 육룡이 나르샤의 등장인물. 배우 민성욱

이성계의 사병 출신. 이방원을 지키는 임무를 맡았으며 이방원의 말이라면 죽는 시늉까지 할 만큼 그를 믿고 따른다. 평생에 꿈이 하나 있다면, 어떤 식으로든 역사에 이름을 남기는 것. 목적은 달성했다. 주인 잘못만나서 맨날 고생하는게 일.

2 작중 행적

2.1 고려 시절

파일:CXk7sGVr.jpg
평소에는 이방원이랑 농담 따먹기나 하지만 상당히 강하다. 5화에서 왜구(로 위장한 도적) 다섯을 맨손으로, 상처없이 떡실신시켰다. 같은 편인 척하다가 기습한 것이지만 그 전에도 '다섯 명이라면 해볼 만하지만 스무 명은 무리다'라고 한 걸 보아 웬만한 칼잡이 다섯 정도는 너끈한 듯. 이방원의 말로는 '동북면에서 방우 형님 다음으로 강하다'고. 하지만 6화에서 적룡한테 간단히 제압당했다.

무휼이 본격적으로 이성계의 밑에서 일하기 시작했을때 이방원 다음으로 무휼을 많이 챙겨준다. 그래서 그에게는 형님이라 불리게 된다. 그 이후로 개그 콤비로 같이있는 모습을 자주 보이는데 위화도 회군 때는 이지란의 명을 받아 둘이서 각각 개경, 서경으로 은밀히 가서 이성계의 가족들을 구출하기도 하고, 열여덟 자식이 왕이 되니라는 노래가 퍼지자 같이 어깨동무를 하며 그 노래를 같이 부르며 춤을 추기도 하는 등 상당히 친한 모습을 많이 보인다. 무휼이가 키가 너무 커서 어깨동무가 힘들다는 게 함정.
http://ext.fmkorea.com/files/attach/new/20160307/228747230/136104/329267152/42d5e1b595499379a44681f51905ae44.jpg25화 도화전에서 조민수의 계략으로 이성계 일파가 위기에 처하며 칼도 여럿 맞았지만 이후 이방지와 함께 조민수의 무사들을 도륙한다.

2e75fef5f1935139870460f80cea971d.jpg
http://img.newspim.com/news/2016/03/14/1603142149373870.jpg35화, 드디어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인 철퇴를 들고, 이방원, 이방지, 무휼, 그리고 가별초의 군사들과 함께 정몽주를 죽이러 간다. 그리고 36화에서 직접 정몽주를 죽였다. 다른 매체에서 그려진 조영규와 다르게 정몽주를 죽이면서 갖게 된 심적 동요가 표현되었다.[3] 웬만해선 이름으로 부르며 하대하던 방원이 영규에게 거의 십수년만에[4] 이라고 불러주며 떨리는 손을 잡으면서 수고했다고 위로한 모습이 포인트.

2.2 조선 건국 이후

이후 조선 건국 후 벼슬을 받고 도당회의에도 참석하는 등[5], 나름 이방원의 가신티를 벗은 면모를 보여주지만 그래도 이방원과의 끈끈한 관계는 여전히 유지중에 있다. 43회, 정도전의 사병 혁파 정책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취한 죄로 형장으로 끌려와 고문을 당하던 와중, 막 귀국한 이방원과 만난 자리에서, 안부를 물으며 "많이 아프신가?"라고 묻는 이방원에게 "몸은 괜찮은데, 이 마음이 아픕니다."라고 말한다. 이방원이 없던 사이, 사병혁파 정국이 야기할 위기에 대비, 반촌에 유사시에 사용할 병장기를 은닉해 놨으며 귀국한 이방원에게 보여주었다.

그러다 결국 45화, 반촌의 비밀 무기고를 살펴보던 와중에, 전부터 창고 쪽을 기웃거리던 공양왕의 아들들 중 첫째인 은호가 열린 문으로 들어오고 기밀 유지를 위해 칼을 뽑아 아이를 죽여버리려 했지만 차마 어린아이를 죽일 수가 없어 여기서 본 걸 절대 누설하지 말라 다짐을 받고 돌려보내려 했으나, 하필이면 타이밍 나쁘게도 아이를 찾아다니던 척사광이 들어와 버렸다.

http://img2.sbs.co.kr/img/seditor/VD/2016/03/07/VD48552016_w1280.jpg웬 무사가 아이 앞에서 칼을 들고 서 있는 상황에 아이가 '이모 어서 피해!'라고 외친 탓에 결국 싸움이 벌어지고, 그러다가 실수로 은호를 죽이고 이후 분노한 척사광의 칼에 목의 숨통이 베여 쓰러진다.[6] 목이 베여 다 죽어가면서도 '이 창고의 비밀이 누설되선 안 된다'는 일념으로 베인 목을 부여잡고 문을 향해 기어가다 때마침 창고에 찾아온 무휼의 품에서 무휼에게 창고 문을 닫아야 한다는 말만 하다 숨을 거두고 만다. 마지막 순간까지도 오로지 이방원만을 걱정한 것이다.

http://img2.sbs.co.kr/img/sbs_cms/SR/2016/03/08/SR78860969_w1280_h720.jpg그무휼이 조영규를 붙잡고 절규하는 장면과 척사광이 조영규의 칼에 맞고 결국 사망한 아이의 시신을 붙잡고 절규하는 모습이 대조를 이루어 둘의 대결을 예견하는 듯한 암시를 남겼다. 무휼은 친형과 같던 영규를 잃었고, 척사광은 친자식과 같던 공양왕의 아들을 잃었으니 둘은 철천지 원수가 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무휼은 비록 척사광이 조영규를 죽이는걸 보진 못했지만 반촌에서 조영규를 죽일만한 사람은 척사광 뿐이라는걸 알기에 어느정도 짐작하는 낌새를 보여주었다.

참고로 조영규는 이방원이 방황하는걸 보고 마치 12살 때와 같은 증상이라며 조금만 있으면 정신을 차릴것이고, 충격을 받으면 좀 더 빨리 정신을 차릴거다라고 했는데 그 충격이란게 알고보니 조영규 본인의 사망이었다. 이제보니 사망플래그. 조영규의 시신을 본 이방원은 하염없이 형이라고 울부짖으며 고통스러워한 뒤 정말로 정신을 차려서 내가 왜 그런 짓을 했는가를 알아차리고 무인정사를 결심한다. 죽고나서도 조영규의 장례라는 명목으로 이방원 일파가 모일 수 있도록 해주는 등 여러모로 무인정사를 촉발시킨 장본인.
VD18178410_w1280.jpg
이미 죽은 후인 48화에 정도전과 세자 방석을 죽이고 힘들어하던 이방원의 앞에 환영의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오랫동안 따르던 조영규를 떠올리는 이방원의 본심은 주위의 사람들이 하나 둘 씩 자신을 떠나고 끝내 무휼마저 떠나 혼자 될 지 모른다는 외로움과 두려움이었다. 여담으로 이때 환영의 모습에서 한 조영규의 대사가 이방원에 대한 그의 충실한 마음을 잘 드러내준다. 죄송해요, (제가) 없어서…….

3 여담

본 작이 이방원 중심으로 흘러가다 보니 본의 아니게 엄청난 버프를 받은 캐릭이 되었다. 같은 시기를 방영했던 정도전에선 극이 정도전 중심이라고는 하나 조선건국 후 대사 한 줄로 사라져버린 것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대박. 늘어난 분량과 더불어 사망시기와 사망원인까지 바뀌어 그의 비극적인 마지막을 45화의 피날레로 장식하였다. 이방원의 측근에서 스토리 흐름에 필수적인 모습을 보이며 단순 병사가 아닌 의미 있는 퇴장까지 주조연급의 면모를 제대로 보여주었다.[7]
  1. 죽어가는 순간까지 무기고가 발각될까봐 이방원의 안위를 염려하며 무휼에게 말하는 마지막 대사이다. 이는 각본이 아닌 배우의 현장 애드립이였다고 한다.
  2. 당연한 얘기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아랫사람들을 시켜서 했다.
  3. 같은 사건을 다룬 '용의 눈물'의 조영규는 냉혈한으로 나온다. 용의 눈물에선 아무렇지 않게 정몽주를 국적이라 비난하며 정몽주와 그를 수행하던 머슴을 죽였고 '정도전'에서의 조영규도 주어진 일이기에 망설임 없이 하는 인간으로 표현되었다. 대체적으로 사극에서 그려지는 조영규의 모습과는 달리 본작에서는 정몽주 살해 후 착잡한 심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냈다.
  4. 이방원은 어렸을 적에 가끔, 그리고 성인이 된 후 함께 정도전을 찾아내자고 설득할 때엔 조영규에게 형이라고 한 적이 있다. 이후 45회에서도 속으로 생각할 때 '이씨 형제들을 내 손으로 죽일 때도 영규에게 손을 빌리진 않았다'고 했던 것을 보면 본인과 조영규의 관계상 하대했을 뿐 속으론 친형처럼 여겼던 것 같다.
  5. 하지만 이방원과 주위사람들은 그가 예조전서를 맡았다는 것을 듣고 실소를 금치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실제 역사 속의 조영규는 조선 개국 전까지 정3품 판전객시사로 일했던 사람이지만 드라마에서는 관직에 나갔던 것이 생략되었거나 없던 설정이 되었기 때문이다.
  6. 비록 아이를 의도치 않게 죽이고 당황한 사이에 베인 것이지만 아무리 척사광이 현 시대 최강자라지만 조영규급 인물을 이렇게 잡어처럼 죽여버린 건 그야말로 왕자의 난 전에 죽이긴 해야겠으니 어떻게든 치워 버린거라 할 수 있다.
  7. 다만 무인정사에 있어 일종의 도화선 역할을 해야 했기 때문인지 사망 시점이 실제 역사보다 조금 뒤로 미루어졌다. 조영규는 1395년 죽었기 때문에 1396년에 죽은 중전 강씨보다 먼저 사망했는데, 극중에선 강씨보다 나중에 죽었기 때문. 제작진이 간과했다기보단 스토리의 흐름을 위해 약간의 변화를 주었다고 보는게 낫겠다. 뿌나에서 훈민정음 반포 시점에선 이미 죽은 광평대군이 비중있게 나오다가 밀본에게 살해당한 것과 비슷하다. 즉 작가의 후속작에서 이미 죽었어야할 사람이 살아서 돌아다니면 칼 맞아 죽을 플래그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