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무득

1 개요

"진인! 진인! 난 진인이 싫어! 아무리 보고 또 봐도 제대로 정체를 알 수 없는 진인 따위는 정말 개밥보다 맛없는 거야!"[1]

풍종호 무협소설 『광혼록(狂魂錄)』에 나오는 개방(丐幇)의 거지로, 소주(蘇州)의 분타주이다. 궁가문의 뛰어난 수재라 하여 별호가 궁수재(窮秀才)이며, 비권걸(飛拳傑) 황곡, 한검객(閑劍客) 문평, 소살광(笑殺狂) 고덕명과는 한 사부를 모신 사형제지간이다.[2] 달리 비천야호(飛天夜豪)라고도 불리우는데, 이는 개방에 비전되는 삼대신법[3]을 완성하여 몸이 매우 날래고, 밤에도 눈빛을 빛내며 사물을 훤히 꿰뚫어 볼 수 있기 때문이다.[4]

그는 비호도(飛虎刀) 육풍목의 부탁[5]을 핑계로 자신의 구역인 소주(蘇州)를 낼름 벗어나 조수인 일행에 여행 초기부터 가담한다. 그래서 수로맹(水路盟) → 형산파(衡山派) → 형주(衡州) 그리고 다시 소주에 이를 때까지 여행을 함께한다. 그 와중에 혈선교(血仙敎)의 살수들에게 공격을 받기도 하지만 장기인 날랜 신법으로 모두 피해버린다. 조대인의 장례가 끝난 후 그도 조수인을 따라 숭산(嵩山)으로 가려하나 방주인 용소백의 방해로 남게 되고, 그때 방주위를 이으라는 말에 용소백에게 풍 맞은거 아니냐며 격렬하게 반항한다. 결국, 꼼짝없이 용소백에게 잡혀서 교육(?) 당할뻔 하지만 조수인이 숭산으로 만나러 가는 신의가 수라신군(修羅神君) 공손이임을 뒤늦게 알게 된 용소백이 꽁지 빠지게 숭산으로 달려야 했기에 졸지에 보쌈당하는 신세가 된다. 그리하여 숭산 준극봉에서 다시금 조수인 일행과 만나고는 같이 대영웅대회가 열리는 태호(太湖)의 한 섬으로 이동한다.

대영웅대회에 참가한 모든 무인들을 경악과 침묵속으로 몰아 넣은 강력한 조수인의 신위와 유경하의 진실발언이 불러온 정신 놓은 조수인까지 모두 지켜본 종무득은 수밀계(樹密界)에서 있었던 혈선교와의 최종결전까지 참여한다. 그러나 특별히 나설 필요가 없었기에 흑의수재(黑衣秀才) 가무량처럼 혈선교의 수괴인 금권자(金權子)의 공격을 쉬이 회피하고는 그저 담담히 혈선교가 무너지는 것을 지켜보기만 한다. 이후 조수인이 제정신을 차리고 공손이와 다시금 떠난 비무행에도 동행하면서 조수인이 천절(天絶)이 되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겠지만, 그 이야기는... 안타깝게도 알 수가 없다.[6]

작 중에서 이십여 년 뒤에 제자와 함께 있는 모습이 나오는데, 그때는 개방주가 되어서 비천신개(飛天神丐)라 불리운다.

2 무공

  • 반룡권(盤龍拳) : 제이부인 용린벽까지 전수받았다. 아직 용린벽이 능숙하지 못하나, 난운권(亂雲拳)을 구사할 수 있다.
  • 전륜이매신법(轉輪魑魅身法) : 공손이의 독문신법으로, 용소백이 철혈무경을 해석해 구술해준 것을 통해 익히게 된다.
  1. 종무득은 육풍목의 부탁으로 조수인 일행에 합류할 때에 마차를 가로막고 다리에 상처를 입은 척 위장을 했었고, 가무량은 이런 종무득을 알아보고 그의 위장을 돕기 위해 마차를 잘 모는 종씨 집안의 막내라고 조수인에게 알려준다. 조수인은 이 말을 듣고 종무득의 거지 차림을 훑어본 뒤에 진인은 정말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고 말을 하며 종무득에게 마차를 맡긴다. 이후 조수인 일행과 같이 여행을 하면서 양노대의 변화와 조수인의 기행처럼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나면 종무득이 자주 내뱉게 되는 말이다.
  2. 그 사부의 이름이 남천산인데, 고덕명과 종무득이 하도 말썽을 부려서 노화때문에 일찍 죽었다고 종무득 스스로 말을 한다.
  3. 종무득이 익힌 개방의 삼대신법이 『지존록(至尊錄)』의 취걸개(醉乞丐)가 익힌 삼대신법과 같은 지는 애매하다.
  4. 눈에서 빛이 나는 것을 보면 종무득이 전륜이매신법만이 아닌 공손이의 청시법도 익힌 것을 알 수 있다.
  5. 조수인의 내력을 파악하는 것으로, 나중에 공손이를 만나게 될 때까지 조수인의 사승내력을 파악하지 못한다.
  6. 후일 『광혼록』 3부의 연재가 있기를 고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