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리틀기

경고! 이 문서는 충격을 유발하는 내용 혹은 표현이 포함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사용자에 따라 불쾌감, 혐오감, 공포감을 느낄 수 있는 내용, 이미지, 외부 링크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열람에 주의하시기를 바랍니다. 이 문서를 열람하여 발생한 피해는 바다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읽고 싶지 않으시면 즉시 닫아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개요

고문의 한 종류.

사극에서는 다리를 가지고 고문하는 건데 얼굴에 상처가 생기고 입술이 터지는 미스테리한 고문[1]

주리를 트는 것을 보면 죄다 의자에 앉혀놓고 집행하는 것만 주로 보여지는데, 실제로 남아있는 사진이나 기록화들을 보면 오히려 맨 바닥에 앉혀놓고 집행한 예가 대부분이다.

양 다리를 묶은 뒤 다리 사이에 굵고 큰 막대기 주릿대 두 개를 끼우고 양쪽으로 비틀어 존댓말을 가르치는 정강이를 비트는 고문. 원래는 전도주뢰라는 말이 정식 용어이다. 얼마나 아픈지 알고 싶다면 손가락 사이에 펜이든 뭐든 단단한 막대를 끼우고 손가락을 단단히 고정한 뒤 막대기를 마구 휘저어 보자. 막대 휘두른 시간의 제곱에 비례해서 손가락을 쓰지 못하게 된다(...) 물론 주리틀기는 이거랑 비슷한 느낌이면서 훠어어어어얼씬 아프다.

흔히 보는 다리가 일반적이고 때에 따라서는 손가락을 비틀거나 봉 대신 줄을 사용하기도 하는 등 바리에이션이 굉장히 다양한 형태의 고문이다.

원래는 명나라에서 수입된(?) 고문인데[2] 조선에 오면서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된다. 명나라에서는 육각봉을 이용해 주리를 트는데 조선에서는 삼각봉으로 주리를 틀었던 것. 고통이 더한 건 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위의 흑백사진에서 보이듯 실제로는 아무 막대기나 굵은걸로 틀었던 모양이다. 구한말 외국인들 기록에서도 각진 봉을 사용한다는 언급은 없다. 죄인 뿐만 아니라 집행인 손도 아팠을 것 같다. 손잡이는 둥글게 깎든가 했겠지

흔히 형벌로 알려져 있지만 조선의 형벌은 태, 장, 도, 유, 사로 나뉘어 주뢰, 압슬 등은 엄밀히 말하면 형벌이 아니다. 실질적으로도 판결이 난 뒤에 주뢰나 압슬을 행한 경우는 거의 없고 취조시에 행하여 성토케 하는 고문 방법이었다.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사극에서 곤장과 함께 나오는 투톱(?)급으로 심심찮게 나오는 고문이기 때문에 세간에서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당장 저 X의 주리를 틀어라!!!" 라는 대사라면 누구나 한두 번쯤은 들어봤을 듯.

너무 자주 나오는 탓에 그냥 조금 강도 높은 고문 정도라는 인식이 지배적이긴 한데 실제 문제는 그보다 더 심각하다. 근육은 물론이요 뼈까지 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고통이 어마어마한 것은 물론 후유증도 만만치 않다. 당시의 의학 기술의 한계상 이 고문을 당하면 심할 경우 앉은뱅이 신세가 되기도 했고 심지어 폐지할 때 이유 중 하나가 "절을 할 수 없어 조상의 제사도 모실 수 없으니..." 라는 것도 있을 정도였다.[3] 결국 영조 때 금지된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폐지가 되어도 조선이 망할 때까지 암암리에 존재는 했다. 대표적인 예로 후술할 백범 김구의 예도 있고,정조 시기의 인물 이가환이 천주교신자들을 강제 배교 내지 취조할 때 곤장과 주리를 병행했다고 황사영이 쓴 백서에 기록돼있다. 역설적인 것은 주리틀기를 부활시킨 이가환도 신유박해 당시 천주쟁이로 몰려 사망했다.

별 거 아닌 거 같은데도 사람이 병신이 될 정도에 의아할 수도 있다. 이유는 간단한데 지레의 원리다.[4] 게다가 교차시키기 때문에 받침점과 작용점에 걸리는 하중을 다 받을 수 있고 막대기 형태이므로 상대적으로 하중이 걸리는 면적이 좁아서(게다가 앞서 말했듯 국산은 삼각봉이다!) 주리로 조여지는 부분에는 어마어마한 하중이 걸린다.

기록에 의하면 한번에 정강이 살이 버들피리처럼 쑥 밀려나갈 정도의 위력으로 노련한 집행인의 경우 절묘하게 뼈는 부러뜨리지 않은 채 정강이가 활처럼 휘게 만드는데서 그치지만 집행인이 미숙할 경우 다리뼈가 부러져 살을 뚫고 피와 골수가 샘솟는(...) 일도 예사였다고.[5]

사극에서 너무 남발되는 듯이 묘사한 고문이지만 실제로는 불법고문이다. 조선 시대의 고문체계는 형문, 압슬, 낙형 3종류만 공식적으로 인정되며 그마저도 압슬, 낙형은 왕명이 있어야만 시행이 가능했다. 물론 규정 다 무시하고 불법적으로 자행할 경우 못할 고문이 없었겠지만 형문은 춘향전에서 춘향이 변학도에게 당했던 것처럼 고문에 사용되는 매인 신장으로 정강이를 내려치는 형벌로 1차에 30회까지 집행했다. 압슬은 바닥에 기와조각을 깔고 그위에 죄인을 꿇어앉힌 후 널판지를 놓고 사람들이 올라타서 밟는 형벌인데 일본에서 시행된 무릎위에 석판을 올리는 고문인 이시다키(石抱き)와 혼동되어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낙형은 말 그대로 인두로 지지는 형벌이다. 이중에 압슬과 낙형은 영조 연간에 폐지되며 주리틀기는 어차피 불법고문이었으나 다시 왕명으로 금지된다. 따라서 사극에서 아무리 역모사건에 대한 국문이라도 주리틀기가 남발되는건 어디까지나 고증 오류이다.

꽤 고대적부터 시행되어왔으며 일제시대에도 고문용으로 사용되었고 지금도 어디선가 사용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백범일지에 따르면 김구 선생도 쓰치다 살해 사건 이후 해주 감영에서 받은 주리틀기로 인해 다리에 상처가 평생 남아있었다 한다.

"형을 집행하라는 호령이 나자 사령들이 내 두 발과 두 무릎을 한데 찬찬히 동이고 다리사이에 붉은 몽둥이(朱杖) 두 개를 들이밀었다. 한 놈이 몽둥이 한 개씩을 잡고 좌우를 힘껏 누르니 단번에 뼈가 허옇게 드러났다. 내 왼다리 정강마루에 있는 큰 상처 자국이 바로 이때 생긴 것이다. 나는 입을 꾹 다물고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있다가 결국 기절하고 말았다." - 백범일지 103쪽, 돌베개, 1997

사실 학교에서도 대걸레나 빗자루로 자주 시행되곤 한다... 고 하지만 대개는 주리틀기를 잘못 이해해서 정강이가 아닌 허벅지에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 경우도 아프긴 엄청 아프다. 물론 진짜 정강이에다 주리를 틀면 엄청나게 위험하니까 하지 말자.

또 손가락으로 펜을 돌리는 것을 못마땅해 하는 선생님들의 경우 펜을 돌리다 적발된 학생의 손가락에 펜대 두 개를 끼워서 손가락 주리를 틀기도 한다. 당하면 많이 붓는다. 의외로 일상화된 고문?
  1. 물론 이거 말고 다른 고문을 했다는 증거지만 당장 스크린에 튀어나오는 고문은 이거밖에 없으므로(...) 그래도 최근에는 인두로 몸을 지지는 고문이 나오거나 다른 고문을 받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2. 한명회가 명나라 사절로 다녀오면서 배워왔다고 한다. 인두로 지지는 단근질도 이때 도입되었는데 사극과는 달리 몸이 아닌 발바닥을 지졌다고 한다.
  3. 당시 예법으로 절을 할수 없으면 제사를 못 지내기 때문에 상속받을수 없고 적장자라도 폐적 사유다. 병신=불효 개념이 괜히 나온게 아니다.
  4. 집행자가 잡고 있는 곳이 힘점, 한쪽 허벅지가 받침점, 다른 허벅지가 작용점. 양 허벅지는 모두 고정되어 있으니 어느 쪽을 받침점으로 잡아도 상관은 없다. 손잡이와 허벅지 사이 거리가 양 허벅지 사이보다 대략 5배 이상은 될 테니 그냥 단순 계산해봐도 집행자가 누르는 힘의 5배만큼의 힘이 허벅지에 걸리는 것.
  5. 실제로 드라마 제국의 아침에서는 주리 틀기를 당하던 죄수의 다리가 부러지는 장면이 나온다. 뼈가 살을 뚫고 나오지는 않지만 뼈가 부러지는 "빠각!" 하는 소리와 함께 죄수가 기절하는 장면이 상당히 섬뜩하다. 더 끔찍한 것은 그 상태에서 물을 뿌려 깨운 다음 계속 주리를 튼다는 것. 참고로 이 장면은 고증이 잘못된 것으로 위에 서술했듯 주리틀기는 조선 시대에 들어온 것이며 고려 시대에는 이런 형벌이 아예 존재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