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방어

농구의 수비전술 중 하나.

가장 기본적인 농구의 수비방법은 슬램덩크의 북산이 시종일관 사용했던, 각자가 자신의 포지션 상대방을 직접 맡는 대인방어이다. 그러나 체력소모가 극심한 농구의 특성상 40분, 혹은 48분 내내 1:1 마크를 수행하기는 극히 힘들며 수비상 약점이 있는 포지션이 있을 경우 집요한 공략대상이 될 수 있다.[1]

이런 대인방어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선수들이 개인이 아니라 자신에게 할당된 구역을 마크하는 수비전술이 지역방어이다.

각 지역을 맡아서 수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각 수비자들의 공동수비구역에 위치한 공격자는 1:多로 공격을 진행하게 된다. 이 공격자보다 수비자가 더 많아지는 현상은 골밑으로 갈수록 심해진다. 그런 이유로 다른 수비전략보다 골밑을 지키는데 특화되어 있는 수비전술이다. 지역방어에 대한 전술적 이해가 거의 없는 아마추어들이라도 굳이 지역방어를 고집하는 데는 아무리 엉성한 지역방어라도 기본적인 골밑수비는 맨투맨보다는 탄탄하며, 외각슛 성공률이 그리 좋지 않은 아마추어 농구에선 굳이 맨투맨으로 외각슛을 경계할 필요가 없기 때문.

하지만 오버로드 공격방식에 금방 수비진형이 붕괴(된다기보단 할 수 밖에 없다)되는 수비전술이기도 하다. 수비자들의 빠른 스위치와 공격자들의 포메이션에 따른 수비진형 이동이 중요하다.

2-3%20zone-top.gif
지역방어의 기본이 되는 2-3 지역방어.

3-2zone1.gif
앞선에 한 명을 더 올린 3-2, 혹은 1-2-2.

000057.png
상대의 원활한 패스를 차단하고 랍 패스 강요를 목적으로 하는 1-3-1.

앞선에 두 명-뒷선에 세 명이 서는 2-3 지역방어[2]., 외곽슛 방어를 위해 앞선에 세 명-뒷선에 두 명이 서는 3-2 지역방어, 기동력 있고 팔이 긴 빅맨이 있을 경우 그 빅맨을 하이포스트까지 올려보내 상대편 패스 동선을 차단하고 각종 도움수비를 서게 하는 2-1-2, 아예 기동력있는 빅맨을 맨 앞으로 내세우고 가드를 양 엘보우 지역으로 내보내는 1-2-2(혹은 드롭존) 등이 있다. 아마도 가장 잘 알려진 지역방어는 북산이 이정환신준섭을 상대로 구사했던 박스 원일 것이다. 인사이드 돌파를 막기 위해 4명이 포스트 공간을 사수하고 외곽슈터를 맨투맨으로 마킹하는 전술.

선수들 사이의 기량이 고르지 못하고 연습시간이 프로에 미치지 못하는 아마추어 농구에서 주로 사용된다. NCAA에서는 특정한 지역방어를 경기 내내 구사하는 팀들도 있다. 하지만 지역 방어 자체가 일종의 전술인 만큼 플레이어 5명이 모두 지역방어에 대한 높은 이해도가 있어야 원활히 돌아간다. 지역방어에 대한 개념이 잘못 잡힌 선수가 껴있으면 패스 한두번에 수비진형이 금방 붕괴된다.

이런 지역방어를 깨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외곽슛 & 강력한 돌파. 지역방어 특성상 수비범위를 마냥 넓힐 수가 없기 때문에 외곽슛이 펑펑 터질 경우는 수비 측에서 괴로워진다. 또한 약간의 공간만 있어도 다 돌파해버리는 돌파괴물들이 있어도 공간이 찢겨나가며 수비조직력이 붕괴되는 경우가 많다.

전술적으로는 존 오펜스를 지역방어 파괴전략으로 많이 사용한다.

NBA는 2000년대 초까지 대인방어만을 허용했으나 경기가 단조로워진다는 지적에 따라 01-02시즌부터 지역방어를 허용했다. 다만 완벽한 지역방어 허용은 아니고 수비자 3초 위반 등의 규정은 남아있다. 이 때문에 고전적인 지역방어인 2-3 사용이 힘들어져 고전적인 센터가 사라지는 원인이 되고 있기도 하다.
  1. 강백호가 슬램덩크 내내 이런 취급을 받았다. 채치수의 도움이 없었다면 강백호는 리바운드 파워가 아무리 강력해도 선발멤버가 될 수 없었을 것이다.
  2. 동아리나 아마추어 농구에서 제일 많이 쓰인다 왜냐하면 프로보다 상대적으로 3점슛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주로 골밑을 강화하는 2-3 지역방어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