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옥야고등학교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교명창녕옥야고등학교
개교1967년
유형사립고등학교
성별남녀공학
운영형태사립
소재지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이방로
교훈쾌활, 자치, 박애
교목/교화국화,향나무
홈페이지

1 개요

창녕옥야고등학교는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장천리에 있는 사립고등학교이자 농어촌 자율학교이며, 학교 구분으로는 일반고로 분류되는 학교이다.

2 역사

  • 1949년 9월 5일 : 장천고등공민학교로 개교
  • 1967년 10월 5일 : 옥야상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84년 7월 11일 : 옥야종합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99년 3월 1일 : 옥야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2000년 9월 1일 : 5대교장 하종문 취임
  • 2004년 6월 7일 : 경상남도 교육청 자율학교로 지정
  • 2005년 6월 21일 : 학과개편(사무자동화과 폐지, 일반계고등학교로 전환)
  • 2006년 3월 1일 :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
  • 2013년 8월 9일 : 자율학교로 다시 지정

3 학교 수업 제도

3.1 수준별 수업

이 학교는 2005년에 자율학교로 운영함과 동시에 국영수 과목에 한해 A,B,C반으로 나눈 수준별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반 편성은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과 내신 성적을 합해 최상위권인 A반, 중위권 B반, 기초반 C반으로 나누어서 진행하고 반은 분기마다 바뀌는 형식이다.
방과후학교는 기초,심화반으로 나누어서 기초반은 수능 문제 유형 분석과 기본 실력을 높여주는 수업으로 진행되고 심화반은 인문,수리,논술 등 심화학습 과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3.2 튜터링, 멘토링 교육

이 학교에는 학생들이 교사와 학생 역할을 맡아 서로 가르치는 튜터링(tutoring) 수업이 있으며 과목별로 성적이 좋은 학생이 공부가 부족한 학생을 가르치는 수업으로 학생이 교사가 되어 다른 학생을 가르친다고 생각하면 된다. 또한 한 학기에 한번씩 교사와 학생 사이에 멘토링을 통해 학생과 교사그리고 치킨과의 친목을 도모하는 시간을 갖기도 한다.[1]

3.3 독서 토론과 태권도 수업

이 학교의 1,2학년 학생들은 매주 화요일 7교시에 각각 절반씩 강당에서 태권도를 배운다거나 독서 토론을 한다. 이 형식은 2주마다 진행되며, 매번 반을 바꾸어서 운영하고 있다.[2] 독서토론은 선생님이 2주마다 읽을 책에 대해서 알려 준 다음에 학생들은 2주 뒤에 해당 책에 대해서 독서 감상문을 쓴 뒤에 독서 토론을 하는 형식...이지만 자습을 하거나 학급 회의를 하는 경우도 있다.

3.4 동아리 활동

2015년 기준으로 35개에 달할 정도로 많은 동아리가 개설되어 있다.하지만 상당수는 존재 자체를 모르는 학생들이 수두룩하다 학생들의 자율 동아리 개설이 활발하지만, 동아리의 명맥이 이어지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하지만 학교 내외에서 상당한 실적을 보이는 동아리들도 있는데, 법률에 대해서 토론하는 동아리인 ‘오베디오’와 과학탐구 동아리인 ‘격물치지’는 각각 2014년에 전국 고교생 모의재판 경연대회에서 민사 부문 장려상, 전국청소년과학탐구대회에서 탐구토론부문 고등부 동상을 수상했으며 인문 토론 동아리 ‘페이오스’는 경남 지역 대회에서 최우수상과 은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 ON AIR(온에어) : 방송부. 주로 점심시간에 학생들의 사연이나 신청곡 등을 받아 방송을 하며 축제 때는 축제 영상을 촬영하는 일을 하기도 한다.
  • Entoi(엔토이) : 천체 관측 동아리.
  • Morning Dew(모닝듀) : 밴드부. 보통 줄여서 MD라고 부른다. 다른 동아리와 다르게 전용 동아리실이 따로 있다.
  • 모사리 : '모두 사랑하리'를 줄인 이름이며 옥야고에서 가장 큰 동아리. 1990년대 부터 있었던 역사가 긴 동아리이다. 봉사 동아리이며 주로 주말이나 방학에 봉사를 나간다. 봉사 외에도 수화 강사님이 오셔서 수화를 배워보기도 하고, 축제 때 수화 공연을 하기도 한다.
  • UNITAS(유니타스) : 영어 토론 동아리.
  • 격물치지 : 과학 탐구 동아리. 전국 대회에 출전하여 수상한 경력이 있다. 들어가기 위한 경쟁이 상당히 치열하다.
  • DICT(딕트) : 과학 탐구 동아리. 의예 부문과 생명.화학 부문으로 나뉘어져 있다.
  • 텃밭 가꾸기 : 말 그대로 텃밭을 가꾸는 동아리이다. 학교 정문 오른쪽에 작지 않은 규모의 밭이 있는데 이곳에서 농작물을 가꾼다.
  • OKYAD(옥야드) : 광고 동아리.
  • R&B(로켓 앤 발사) : 항공 탐구 동아리. 모형항공기대회에 출전하기도 한다.
  • 난쟁이 : 수학 동아리.
  • 배낭여행부 : 방학이나 주말 등을 이용해 여행을 간다.
  • 흑과 백 : 바둑 동아리.
  • CSI: 컴퓨터 프로그래밍 동아리.

4 교정

상당히 넓다. 운동장의 크기가 웬만한 학교 운동장보다 크며 축구장과 농구코트를 갖추고도 공간이 남는다.
건물 배치는 전체적으로 ㄱ자 모양으로 되어있으며 크게 매점, 본관, 구관, 사회과학실, 체육관으로 나뉜다.

4.1 매점

남학생 1층 자습실 앞에 위치한다. 물건을 파는 매대와 주전부리를 먹을 수 있는 테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주로 야자 쉬는시간이나 급식이 영 좋지 않을때 붐비며 전기온수기가 비치되어 있어 컵라면을 먹으며 쉬는시간을 보내는 학생들이 많다. 이외에 과자, 아이스크림, 삼선슬리퍼, 간단한 필기구 등을 판다. 다만 매점에는 먹을 것의 종류가 그리 많지 않아 후문이 열려있으면 근처에 있는 마트나 편의점에서 먹을 것을 사다 먹는 학생들이 많다.

4.2 본관

오래된 사진에도 나오는 것을 보면 지어진지 꽤 오래된 듯 하다. 실제로 건물 내 바닥이 요즘은 보기 힘든 마룻바닥이어서 걸을 때 마다 소리가 난다.
1학년 교실과 3학년 교실이 위치하고 있다.

  • 1층
    • 보건실 : 아무것도 없다. 대신 침대가 남학생용과 여학생용으로 나누어져 있어 몸이 좋지 않으면 안정을 취할 수 있다.
    • 교장실 : 교장선생님께서 근무하시는 곳. 다른 교실과 달리 시설이 상당히 좋다.
    • 교무센터 : 교무부 선생님들과 교감선생님께서 근무하시는 곳. 신입생 입학상담이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택배 수령도 이곳에서 이루어지는데 이 때문에 7교시가 끝난 이후에는 택배를 수령하려는 학생들로 상당히 붐빈다.
    • 숙직실 : 당직을 서는 분이 주무시는 곳. 들어가본 학생의 말에 따르면 상당히 큰 tv가 있다고 한다.
    • 이외에 행정실과 1학년 교실이 있다.
  • 2층
    • 교과연구실 : 국어, 수학과 선생님들께서 근무하시는 곳.
    • 진로실 : 3학년 선생님들께서 근무하시는 곳. 대학 입학 관련 책자가 잔뜩 쌓여 있는 광경을 볼 수 있다.
    • 동아리실 : 밴드부 연습실.
    • 이외에 1학년 교실과 3학년 교실이 있다.

4.3 구관

본관보다 더 오래된 듯 건물 벽에 칠해진 페인트가 벗겨지고 벽돌의 색이 바래는 등 가만보면 무너지지 않는게 신기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내부는 불안불안한 겉과 달리 리모델링을 하여 상당히 깨끗하다.
여담이지만 1층의 천장이 상당히 높다.

  • 1층
    • 2학년 교실 외에 딱히 특별한 것은 없다.
  • 2층
    • 어학실 : 영어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실이다. 이모 영어 선생님께서 주로 사용하는 황금색 마이크가 있다.
    • 서버실 : 학교 내의 서버망을 관리하는 곳. 이모 선생님 혼자서 근무하신다.
    • 연구실 : 영어과 선생님들께서 근무하시는 곳. 다른 교무실에 비해 넓이가 상당히 좁은 편이다.
    • 컴퓨터실 : 컴퓨터가 30여대 정도 있다. 컴퓨터의 상태가 영 좋지 못한데, 켜지지 않거나 마우스가 없는 컴퓨터가 꽤나 보인다. 마우스 패드나 책상의 교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지 마우스 패드에서 무려 '1997 수능 화이팅'이라는 낙서가 보이기도 한다. 자리를 잘 잡으면 리그 오브 레전드를 비롯한 온갖 게임이 깔려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 2학년 4반 : 다른 2학년 교실과 달리 유일하게 2층에 위치하고 있다.

4.4 수음지

본관 건물과 중학교 건물 사이에 있는 커다란 은행나무 아래의 쉼터를 말한다.
은행나무가 정말 커서 그만큼 낙엽도 많다. 그래서 가을이 되면 수음지 청소 담당 학생들은 죽어난다.

4.5 사회과학실

본관에서 중학교 건물 앞을 지나면 있는 벽돌로 된 3층 건물. 다른 건물들과 달리 최근에 지어 전체적으로 깨끗하다.

  • 1층
    • 지구과학실 : 주로 지구과학 수업이 이루어지지만 화학 수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다른 과학교실보다 면적이 좀 더 넓다.
    • 물리실 : 화이트보드를 사용하는 다른 교실들과 달리 분필칠판을 사용한다. 물리수업에 특화된 교실인 만큼 물리 선생님께서 특별 관리하는 학생들이 앉는 책상[3]이 따로 구비되어 있다.
    • 생물실 : 원래 물리실과 비슷한 분위기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2016년 리모델링을 하면서 시설이 모두 바뀌었다.
    • 이외에 어학실과 탁구대가 있는 교실이 있지만 중학교 교실이며 고등학생들은 사용하지 않는다.
  • 2층
    • 기술가정실 : 기술가정 수업이 이루어지는 곳.
    • 공용4실 : 주로 윤리 수업이 이루어지지만 가끔 1학년 사회 수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왜인지는 모르지만 교실 뒤에 수도꼭지가 있다. 어느 한 용자가 수도꼭지를 열어본 결과 녹물이 쏟아져 나온다고 한다.
    • 공용3실 : 지리수업을 주로 하는 곳이다.
    • 사회교과실 : 사회, 과학 교과 선생님들께서 근무하는 교무실이다. 상고 시절부터 근무하신 상당한 경력의 선생님들과 기간제 선생님들께서 공존하는 모습이 위화감을 준다.
    • 미술실 : 미술수업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중학교와 공유한다.
  • 3층
    • 도서관 : 옥야 지혜의 샘이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분위기가 다른 교실과 달리 꽤 아늑한 편.
    • 구 역사관 : 학교를 운영하는 법인인 옥야학원과 관련된 전시물이 전시된 역사관이 있었지만 언젠가 폐쇄되었다.
    • 한국사실 : 한국사 수업이 이루어지는 곳. 책상에 낙서가 상당히 많다.
    • 사회실 : 사회 교과 수업이 이루어지는 곳.
    • 음악실 : 음악수업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다른 교실과 달리 긴 의자와 책상을 사용한다. 책상에 낙서가 굉장히 많았으나 언젠가 시트지를 덧대버렸다.

4.6 체육관

운동장을 사이에 두고 본관과 마주보고 있는 건물이다.

  • 1층
    • 식당 :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식사를 하는 곳. 시청각실과 연결되어 있다.
    • 시청각실 : 초청 강의나 입학설명회 등이 이루어지는 곳.
  • 2층
    • 교과연구실 : 체육과 선생님들께서 근무하시는 곳.
    • 강당 : 체육수업이 주로 이루어지지만 축제, 입학식, 초청 강의 등과 같은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천장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5 기숙사 생활

평일 일과표는 다음과 같다.
06:50 기상(짝수째 주 토요일[4]과 일요일에는 7시 30분.)
07:20 3학년 점호(짝수째 주 토요일에는 8시)
07:30 1,2학년 점호(일요일에는 3학년과 함께 8시.)
07:30 ~ 08:20 아침식사 및 수업준비
08:30 ~ 12:20 오전수업
12:20 ~ 13:20 점심식사
13:20 ~ 17:20 오후수업
17:20 ~ 18:30 저녁식사 및 휴식
18:30 ~ 20:10 야자 1교시숙면의 시작
20:30 ~ 21:50 야자 2교시(수능 일주일 전 부터는 모든 학년이 야자 2교시까지만 하고 점호 및 소등에 들어간다.)
22:10 ~ 23:20 야자 3교시
23:20 ~ 23:30 야자실 청소 및 점호 준비
23:30 점호
00:10 소등 및 취침
00:10 ~ 01:00 희망자에 한해 연장 자습.

2016년 기준으로 1명의 통학생을 제외하면 전교생이 기숙사 생활을 한다.
기숙사는 후문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해진 이름은 없다. 후문 바깥에서 보았을 때 기준으로 맨 오른쪽에 4층 규모의 여학생 기숙사가 위치하며, 그 왼쪽에는 상당히 오래된 2층규모의 2,3학년 남학생 기숙사가 있다. 학교 연혁에 따르면 남학생 기숙사는 가장 최근에 지어진 것이 1992년에 지어진 반면 여학생 기숙사는 가장 오래된 것이 2008년에 지어졌다. 학교 바깥에서 봤을 때 기준으로 여학생 기숙사의 오른쪽 건물은 2014년 2월에 준공되었다. 1학년과 교직원이 함께 생활[5]하는 아파트형 3층 규모의 기숙사 건물은 2,3학년 남학생 기숙사에 비해 그나마 나은데, 공동화장실과 샤워실을 사용하는 2,3학년 기숙사와는 다르게 각 방마다 화장실과 샤워실이 있으며, 빨래를 말릴 수 있는 발코니가 존재해 그나마 낫다. 1학년은 6인 1실, 2학년은 2~4인 1실, 3학년은 2인 1실을 사용한다.
기숙사에 침대는 없으며 이불이나 요를 깔고 생활해야 한다.
여학생 기숙사에 사용하지 않는 호실이 있는데, 이곳에서 '장유옥'이라 불리는 귀신이 출몰한다는 괴담이 있다. 또한 1학년 기숙사 2층의 사용하지 않는 호실에서 귀신이 출몰한다는 괴담이 있다.
일과 중(07:10~16:50)에는 기숙사 출입이 금지되며, 문을 잠근다. 하지만 1학년 기숙사는 교직원과 같이 쓰는 기숙사이기 때문에 교직원들이 드나들 수 있도록 본관 쪽을 바라보는 문이 열려있으며, 이를 통해 일과 중에 선생님들의 눈을 피해 기숙사에 들어갔다 오는 학생들이 있다고 한다.

5.1 야간자율학습

기숙사 학교이기 때문에 자습을 할 수 있는 자습실이 따로 존재한다.
자습실은 기숙사와 연결되어 있으며,[6]남학생 독서실과 여학생 독서실이 분리되어 있다.[7]
이 학교 자습실은 3층 자습실과 1층 자습실로 나누어져 있다는 특징이 있는데, 3층 자습실은 1, 2학년들이 이용하며, 1층 자습실은 3학년이 이용한다. 1,2학년 중에서도 모의고사 성적이 높은 학생들은 1층 자습실로 배정받아 3학년들과 함께 자습하며, 1층 독서실에 배정되는 학생들은 3,6,9,11월 모의고사를 치고난 후 결정된다. 남학생의 경우 1학년은 상위 12명, 2학년은 상위 16명이 1층에 배정받는다. 여학생의 경우는 추가바람.
23:20분에 야자가 끝나고 소등 및 취침 시간은 00:10분 이지만, 희망자들에 한해 오전 1시까지 더 자습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오전 1시 이후로는 자습을 할 수 없으며, 시험(모의고사 제외) 하루 전 부터는 자습실을 1시 이후로도 개방한다.
3학년들은 수능을 치고난 뒤 모두 기숙사에서 짐을 빼고 학교에 남아있지 않게 되는데, 이 때부터 2학년들은 모두 1층 자습실로 배정 받게 된다.
책상의 경우 독서실과 같이 칸막이가 있고 각 책상마다 스탠드, 충전기 등을 꽂을 수 있는 콘센트가 존재한다.

6 교가

동쪽에 높이 솟은 화왕산 보라
사시로 자랑삼아 푸른 옷 입고
서편에 낙동강물 남쪽바다로
돛단배 짐을 싣고 드나드는 곳
천만년 따뜻하고 시원한 언덕
배우자 옥야학원 빛날 것이다

7 트리비아

2015년 6월 7일에 방송에서 도전 골든벨의 108대 골든벨의 주인공이 나왔으며(류지윤), 2016년 1월 2일 장학퀴즈 986회 방송에서 7연승 챔피언이(박경준,박수빈) 나왔다.
  1. 지역별로 3~5명씩 팀을 나누어 진행한다. 보통 점심시간이나 저녁시간 등을 이용해 같이 식사를 하며 이야기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간혹 멘토링 담당 선생님이 좋은 선생님으로 배정되면 인근 구지나 현풍 등으로 야자를 째고원정을 가서 식사를 하기도 한다.
  2. 홀수 째 주는 1,2반이 독서를 하고 3,4반이 태권도 수업을 하고, 짝수 째 주는 그 반대로 가는 식으로 진행된다.
  3. 로얄석이라고 부른다.
  4. 1,2학년이 귀가하고 3학년만 학교에 잔류하는 토요일
  5. 교장선생님도 이곳 2층에 살고 계신다.
  6. 즉 일과 시간에 출입 불가.
  7. 3층 자습실은 남학생 자습실과 여학생 자습실이 문을 두고 연결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