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오(판타지 수학대전)

목차

판타지 수학대전 1, 2권의 조연.

본문

요정왕국의 공주로서 라무의 회상에 등장하는데, 어린 시절부터 라무와 친하게 어울렸던 사이였다. 라무가 자신들은 덧셈밖에 할 수 없는 이상 다른 종족보다 약하다고 자책하자 아메스 파피루스의 존재를 가르쳐주지만 그것 때문에 아메스파피루스를 훔쳐서 사람들에게 배포하려고 하고 그걸 눈치챈 클레오는 왕족의 대표로서 어쩔 수 없이 매정하게 굴면서 추방시킨다.

제 1봉인이 풀리고 오크들이 요정 왕국으로 쳐들어오자 왕국을 버리고 백성들을 피신시키라는 명령을 내리며, 요정족이 약해진 건 맞지만 이것 또한 우리들이 선택한 일이라면서 아메스파피루스를 개방하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본인은 왕궁을 지키기로 결심하는데 수비대장들에게 떠나라고 말하지만 젊은 놈들은 다 보냈으니 늙은이들인 우리들도[1] 좀 도움이 되겠다면서 궁에 남아 호위하기로 하고 본인은 한숨을 쉬면서도 인정한다.

그리고는 망루에 서서 오크들을 막아서는데, 이때의 클레오는 공주가 아닌 파라오가 되어 있었다. 아메스파피루스 제 5식 태양의 화살을 발휘해서 오크들을 갈아버린다.[2] 하지만 오크들이 끊임없이 몰려들게 되자 지치게 되고, 그러면서도 태양의 신 라에게 기도하면서 백성들을 지킬 수 있게 해 달라고 계속 힘을 발휘한다. 그리고 백성들의 피신을 확인하고 나서 자신을 죽이러 온 아슈르와 대적하게 된다.

어려도 파라오로서 실력이 상당한 듯 하다.[3] 지쳐있는 상태에서도 아슈르와 뒤의 부하들을 전부 꼼짝 못하게 묶고는 태양의 화살을 날리는데,[4] 이걸 태연하게 다루는 쿠푸와 라무는 먼치킨이었던 것인가... 뭐 어차피 라무 역시도 루시엘라와 싸우면서 일시적으로 죽긴 했다. 다시 부활(?)했지만 이때 태양의 화살을 날리면서 동반자살을 각오했었다. 표적이 본인이라는 것을 눈치챈 지수와 라무가 망루로 올라가면서 라무가 클레오라고 부르자 본인은 멀쩡히 등장한다. 지수를 반갑게 맞이하면서 요정족은 약하지 않다고 말하고 오크들이 더 오기 전에 대피하게 된다. 그런데 라무는 클레오가 생기가 없다는 것을 눈치챈다.[5]

그 이후 대피하면서 라무에게 아메스파피루스의 힘을 왜 왕족들만 다루냐면 그 힘이 너무 강대해서 다루는 자에게 큰 부담이 되고 힘을 완전히 제어하지 못하면 1000년의 세월을 사는 요정도 죽을 수 있다고 말한다.[6] 나중에 보면 알겠지만 라무도 일시적으로 죽었다. 다시 살아나긴 했다만 클레오만 안습해졌다.

사실 아슈르를 죽이기 위해서 태양의 화살을 날렸던 시점에 죽었는데 라무의 목소리가 들려서 자신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고 한다. 계속 보고 싶었다고. 그러면서 아메스파피루스를 넘기면서 너라면 잘 다룰 수 있을 거라고 믿는다면서 소멸한다. 그리고 클레오가 목숨을 걸고도 지키고 싶었던 게 있다는 것을 느끼고 파라오 계승은 뒤로 미루고 일단은 클레오의 의지를 잇기로 결심한다.

계속 살았더라면 성군이라 칭송받았을지도 모른다.

아슈르의 언급에 의하면 아직 어린애지만 요정족은 장수하는 종족이니 실제 나이는 많을지도 모른다. 물론 6년전과 당시의 모습을 보면 분명 어렸던건 맞다.
  1. 사실 이들은 천년전 1차 수학대전에 참전한 이들이다.
  2. 이때 아슈르 왈 "멍청한 오크들이 얼마나 죽어가든 관심 없다." 오크 안습
  3. 아슈르조차도 어린데도 대단하다고 할 정도
  4. 이때 밝힌 바에 따르면 요정족은 수학이 발전하면 자연이 파괴된다는 것을 알기에 일정 이상 수학을 발전시키지 않았고 그것 때문에 요정족은 다른 종족보다 약했지만 아메스파피루스에는 순수한 덧셈으로 곱셈과 나눗셈의 힘을 이끌어낼 수 있는 힘이 있지만 그만큼 힘의 부담이 커서 사용자가 죽을 수도 있다고 한다. 때문에 이 힘을 제일 먼저 희생해야 하는 왕족들이 독점하는것이라고 한다.
  5. 더하여 클레오는 아슈르를 없애지 못했다. 튀었기 때문에
  6. 하지만 라무의 말에 의하면 천년이 아닌 천년도 더 산다고 한다. 쿠푸 또한 어딘가에서 살아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