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존 시리즈

1 개요

네덜란드의 게릴라 게임즈에서 개발한 FPS 시리즈[1] 헬가스트들에 맞서 싸우는것이 주된 스토리로 이들 헬가스트는 표지에 나오는것처럼 프로텍트 기어삘이 심히나는 헬멧을 쓰고 다닌다.[2] 그리고 국내에서는 모든 시리즈가 자막 한글화되어 정발되었다. 일본의 경우 킬존 쉐도우폴이 일본어 더빙까지 된 걸로 보아 더빙까지 하는 모양.

킬존 3의 싱글 캠페인 클리어 시간이 4시간 30분이라는 해외 리뷰어들의 기사가 나왔다. 최근 대작 FPS들의 싱글 플레이 타임이 평균적으로 짧아졌다는걸 감안해도 좀 싱거운게 아닌가 하는 얘기가 있을 정도.

3편의 경우 배경이 눈이 오는 곳이라서 색감이 굉장히 밝은데 눈이 오는것으로 설정한 이유는 3D 안경을 사용하면 색감이 대폭 어두워진다는 점을 착안하였다. 물론 그냥은 절대로 안되고 해상도가 1280×720에서 640×720으로 반으로 해상도가 줄어들게 된다. 그외 PS MOVE에 대응하여 조작가능하며 전용 컨트롤러인 샤프슈터가 발매되었는데 Wii의 컨트롤러처럼 그냥 플라스틱이 아니라 연결시켜주는 하드웨어이다 보니 몰입감을 대폭 상승시킬수 있다는 얘기가 있지만 그건 개인 주관에 달린 문제.

킬존에서 트레이드 마크로 밀어주는 헬멧 디자인은 보면 알지만 케르베로스 사가프로텍트 기어를 닮았다는 반응도 있으나 그 프로텍터 기어도 팬텀 솔저라는 B급 영화[3]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점은 있다.

참고로 이 게임의 항목은 헬가스트군부터 채워지고 있다(…).

국내에서의 별명은 낚존. 킬존의 별명이 낚존이 된 이유는 제작자의 설레발 때문.[4] 그래픽이나 자잘한건 괜찮은데 싱글모드의 스토리가 어딘가 2% 부족해보이는 경우 대부분. 이에 관한건 최근작인 섀도우 폴 조차 고질적으로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본 진 문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다.[5]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미팅 2013 컨퍼런스에서 후속작인 킬존 : 섀도우 폴이 공개되었다. 하지만 이번에도 뛰어난 그래픽의 반대급부로 엉성한 스토리, 지루한 게임 플레이로 실망감을 주었다. 메타스코어도 70점대다. 하지만 반대로 멀티플레이는 24인 멀티로 아주 재미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자세한 평은 추가바람.


시간대는 전작인 3편에서 30년 후.

2 시리즈 목록

킬존(게임)
킬존 2
킬존 3
킬존: 섀도우 폴
킬존: 리버레이션
킬존: 머시너리

3 게임내 스토리

해당 항목 참조.

4 등장인물 및 세력

4.1 ISA

4.2 헬간 제국[6]

4.3 팬텀 탈론 용병대

비타 버전의 주인공 세력 용병부대 이름이다.

애런 대너
데미언 이바노프
앤더스 베누아 - 사령관

4.4 배경

4.5 기타

5 관련 항목

  1. 단, PSP용 킬존 : 리버레이션은 3인칭 슈터
  2. 이는 고된 환경에서 적응을 하다보니 돌연변이화돼서 그렇다. 저런 형태의 헬멧을 고난과 역경을 헤쳐나간 선대들의 상징으로 여기기 때문에 헬가스트들은 헬멧을 쓰는것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3. 1986년작으로 이탈리아 영화. 국내에 개봉도 하고 비디오 및 토요명화 방영까지 했다. 일본에서도 인기를 많이 얻은 영화라 오시이 마모루가 영향을 안 받았다고 하는게 무리일 정도. 베트남 전쟁에서 소련이 몰래 미국 욕 먹일려고 팬텀솔져라는 부대를 보내 베트콩을 마구 학살하며 미국 탓으로 돌리는데 미군 주인공이 홀로 팬텀솔져를 박살낸다는 저예산 쌈마이 영화. 그러나 팬텀솔져들 이미지는 정말 인상적이라서 영화광인 오시이 마모루가 감독한 실사영화 케르베로스 지옥의 파수견과 애니메이션 인랑에서 이걸 차용한 디자인을 선보인 바 있다.
  4. 킬존 1 당시에 제작자가 헤일로를 뛰어넘는 게임을 만들겠다며 설레발을 꽤 많이 쳤다.
  5. 섀도우 폴의 경우는 스토리에 거지같은 체크포인트까지 포함되서 신나게 까이고 있는데, 죽고 체크포인트에서 다시 시작하는데 바로 위에서 폭격이 날아온다(…).
  6. 엄연히 국가명칭이다. 표기상으로 행성이름은 헬간(Helghan)이고 그 행성의 거주민들은 헬가스트(Helghast)이다. 군대를 칭할때도 헬가스트군이라고 칭한다. 헬가군, 헬가인이란 명칭은 엄연히 틀린 표현.
  7. 참고로 그 벡터 Vector가 아니라 Vekta다. 철자가 틀린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