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데이 2/장비/권총

페이데이 2 무기 목록
돌격소총산탄총경기관총저격소총아킴보권총기관단총근접무기특수

1 개요

기관단총, 산탄총과 함께 보조무기로 분류된다. 가장 기본적 보조무기 클래스로써 돌격소총과 비슷하게 범용성이 높아 여러가지 상황을 커버 가능하고 가짓수와 개조범위 등등이 가장 많다. 모든 총기류 중 기본 은닉성이 가장 탁월해 은폐 개조가 용이하고 산탄총처럼 탄이 퍼져 애꿎은 창문을 깨거나 엄한 곳으로 적을 날려버릴 일이 없어 스텔스 플레이 시 대다수의 유저가 선택하는 모범 장비다. 기존엔 특정 총기를 제외하면 화력이 살짝 모자라 주로 정확한 조준 사격으로 헤드샷을 노렸지만, 크라임페스트 이후로 어지간한 돌격소총보다 강력하지만 탄약이 모자란 권총들이 흔해져 주무기와 입지가 뒤바뀌기도 한다. 특성상 크게 저위력 연사형, 밸런스형, 대구경, 리볼버형으로 나뉜다. 사실상 크라임페스트2015 이후로 거의 모든 총기의 성능이 평준화 되어 각 무기들만의 특색[1]은 거의 사라졌다.

초창기엔 원톱 부무장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DLC들이 발매되고 점차적으로 선택 비중이 크게 줄어들었다. 보조무기로써 대부분의 유저들이 고화력인데다 고난이도에선 쉴드와 불도저에게 대항하기 위해 파쇄탄 개조가 가능한 산탄총을 채용했고, 주무기로 쉴드에 대항할 수 있는 저격총을 장비한 유저의 경우엔 단점인 단거리 교전을 커버해줄 기관단총을 채용했기 때문. 이후 퓨지티브 패치로 인해 권총류만이 은폐 개조가 용이한 이점을 가지게 되어 스텔스 플레이에서의 입지를 확보해 어느정도 균형을 맞추었다.

크라임페스트2015 패치 이후 오버킬의 대표적인 밸런싱 실패로 평가받는 요소로, 상향의 도가 지나쳐 중저레벨에 해금되는 평범한 권총들이 어지간한 고화력 돌격소총보다 더 강력한 공격력을 갖게 되었다. 공격력이 65대인 화력중심형 권총류부터 시작해서, 리볼버류인 3종은 아예 저격총마냥 공격력이 190대에 달하는데, 퍽 덱의 Fast and Furious 덱으로 5퍼센트 데미지 추가, 인포서의 Underdog 베이직로 15% 추가 데미지, 마스터마인드의 Gunslinger 에이스로 15의 추가 데미지를 적용 받으면 데스위시 난이도의 젠섹 엘리트가 몸샷 한 방에 죽는다. 무기류의 스펙을 조정하면서 퍼센티지 비율로 증가하던 수치도 고정수치로 바꿨는데 고스트 소음기 스킬의 공격력 증가 퍼센티지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소음기만 달아주면 저위력 연사형은 밸런스형으로, 대구경형은 리볼버형의 공격력으로 업그레이드 된다(...).

2015년 12월 4일 패치를 통해 하향을 먹어. 고위력 권총들의 대미지가 많이 줄어들었지만, 2016년 봄 기준 여전히 데스위시 메인딜러 원톱의 자리를 차지할만큼 소음기 권총 조합은 막강했다. 그러나 100번째 업데이트에서 고위력 자동권총 3종이 칼질을 당해 대미지의 경우 25가 깎여나가 소음기 장착 후 스킬을 찍어야 대미지가 패치전 노개조 총기와 비슷한 수준이 됐고, 연사 속도는 기본 400과 667이던 총기들이 모두 240으로 떨어졌고 거기에 연사력 관련 스킬도 100% 이던 것이 50% 떨어져 마우스 버튼을 눌러도 총알이 안나가는 지경이 됐다. 탄 회수율은 2발이던 Deagle Pistol은 1발, 3발이던 White Streak Pistol도 1발이 돼 버렸다. 업데이트 전 데스위시 기준 몸샷 두방으로 잡던 경찰들이 소음기 스킬이 없으면 3발, 게다가 탄회수율이 1발이 돼 버렸으니 헤드샷은 물론이고 소음기 스킬까지 강요받게 됐다.

특이점이라면 Bernetti, Gruber Kurz, Chimano Compact, Signature .40의 경우 이동시의 집탄율이 다른 권총들보다 우수하며, 이동 시 정조준상태보다 힙샷의 명중률이 더 높다.

  • 도전과제
    • Point 'n' Shoot - 아무 권총에 Pistol Red Dot Sight와 Flash Hider를 장착하기.

2 저위력 연사형

2.1 키마노 88 권총 (Chimano 88 Pistol)

Chimano88-icon.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0
가격$43,000
연사속도500
탄약 소지량153
탄약 회수량4.59 ~ 6.12
장탄수17
장전 시간1.47 / 2.12s
대미지35
명중률52
안정성60
은닉성30
위협성8

글록 17을 모티브로 한 기본 권총이자 저위력 연사형 권총. 출시 초기엔 다른 권총이 풀리는 즉시 당장 팔아버리는 편이 정신건강에 이로웠지만 크라임 페스트 이후 공격력이 크게 올랐고 권총 관련 부품도 대거 추가되어 의외로 중반까지 충분히 들고 갈 만한 무기가 되었다. 기본 은닉성이 무개조 30으로 높은 편에 속해 초반에 어떻게든 소음기는 구했는데 부품이 없어 주력무장의 은폐 개조가 힘들다면레벨 오르는동안 소음기를 못 구하는 경우가 더 많지만 이 무기에 소음기를 착용하면 무리없이 플랜 A에 참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AMCAR 라이플과 마찬가지로 기본 무기로 설정되어 있기에 악명찍기 이전 레벨 제한이 걸린 값비싼 무기 사재기한 다음 레벨 초기화를 하거나, 그럴 일은 없겠지만 아킴보나 톱으로 인벤토리를 모두 채우고 스킬 제거로 무기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인벤토리 첫번째 슬롯에 강제로 생성된다. 물론 레벨제한이 없는 DLC 무기나 커뮤니티 무기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생성되지 않는다.

  • 도전 과제
    • We Are Rockstars On This Job - AMCAR 소총과 Chimano 88 권총을 장비한 채로 스킬없이 Watchdogs 하이스트를 오버킬 이상의 난이도에서 성공하기.

2.2 18c 스트라이크 권총 (STRYK 18c Pistol)

STRYK18c-icon.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29
가격$652,000
연사속도909
탄약 소지량160
탄약 회수량4.8 ~ 6.4
장탄수20
장전 시간1.47 / 2.12s
대미지35
명중률52
안정성60
은닉성29
위협성8

실제 모델은 글록 18c. 전작의 울프 팩 DLC에서도 등장했던 기관권총으로, 저위력 연사형 권총이지만 운용방식은 사뭇 다르다. 최대장점은 말할 것도 없이 압도적인 연사력으로, 관련 스킬을 찍으면 권총류 최강[2]. 매우빠른 연사력 탓에 그다지 높지 않은 기본 공격력으로도 상당한 DPS를 자랑하고 적절한 위협 수치로도 적당한 제압 사격 능력을 발휘한다. 스킬과 개조를 통해 명중률과 안정성을 제법 높게 끌어올릴 수 있지만, 연사력 탓에 에임이 춤을 추므로 명중률을 중시한다면 이퀄리브리엄 에이스는 과감히 포기하는 것도 방법. 권총 스킬을 받는 기관단총이라고 생각하고 운용하면 편하다. 운용 난이도가 높고 고난이도로 갈수록 탄소모가 격해지는 탓에 저조한 인기를 자랑하는 무장이었으나 게이지 웨폰 팩 # 01 이후 게임 내에서 연발/단발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되어, 연사모드를 유연하게 변경해가며 능동적으로 상황에 대처하는 활용이 가능해져 숙련도 높은 유저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애매했던 성능 역시 여러 DLC 발매가 이뤄진 현재는 어지간한 주무기도 씹어먹는 괴물권총을 만드는 게 가능.

자동권총의 특성상 다른 권총에 비해 연사가 매우 쉽기 때문에 여러 스킬의 효과를 잘 보는 편이다. 단적인 예로 퓨지티브의 Trigger happy 스킬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근거리에서의 폭발적인 딜링으로 Pistol Messiah 효과를 보기도 용이하며, Bullet Storm 이나 Swan Song 에이스와 조합 시 권총 특유의 메리트[3][4]로 인해 문자 그대로 갈려나가는 경찰들을 볼 수 있다.

2.3 베르네티 9 권총 (Bernetti 9 Pistol)

Bernetti9-icon.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6
가격$135,000
연사속도667
탄약 소지량154
탄약 회수량4.62 ~ 6.16
장탄수14
장전 시간1.47 / 2.12s
대미지37
명중률56
안정성60
은닉성30
위협성6

실제 모델은 베레타92FS Centurion. 전작에선 기본 권총으로 나왔지만 이번 작에선 기본 권총의 강화판으로 등장한다. 크라임 페스트 이전 초기출시엔 국민무장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DLC 권총들의 하위호환으로 전락하며 몰락했다가, 크라임페스트로 대부분의 DLC권총들이 상위티어로 올라가고 게임 내에 몇 안되는 저위력 연사형 권총으로 자리매김했다...만 기본무장인 Chimano 88과 비교했을 때 명중률이 약간 높은 걸 제외하면 성능적으로 이렇다 할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옆그레이드(...) 심히 애매한 것이, Chimano 88에는 없는 개조품목도 있고 전용 개조부품도 있지만, 전용 개조부품의 성능치는 구리고 개조 범위는 개미 눈물만큼 넓지만 그마저도 별 의미 없는 안정성 몰빵이다. Chimano 88에는 명중률을 올리는 레이저 그립 개조가 있어서 그나마 있던 명중률 차이마저 메꿔지기 때문에 베레타는 확장 탄창 개조 말고는 아무런 메리트가 없다. 크라임페스트로 무기 수준이 평준화되면서 베레타만의 장점은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 그럭저럭 돈 값은 한다.

후술될 Chimano Compact, Gruber Kurz, Signature .40과 마찬가지로 힙샷, 무빙샷 시의 집탄율에 숨은 보정이 있어 이동시 정조준상태보다 힙샷의 명중률이 더 높다. 바쁘게 움직이는 와중에도 에임을 넣은 곳으로 잘 꽂히기 때문에 초보들이 레이저 포인터를 장비하고 사용하면서 감을 익히기에 매우 편리하다.

2.4 키마노 컴팩트 (Chimano Compact)

Chimano_Compact.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27
가격544,500
연사속도667
탄약 소지량150
탄약 회수량4.5 ~ 6
장탄수10
장전 시간1.47 / 2.12s
대미지37
명중률52
안정성60
은닉성30
위협성4

존 윅 콜라보레이션 업데이트와 함께 추가된 세번째 커뮤니티 권총이자 4번째 무기. 크라임페스트 패치 이후 밸런스형으로 변경된 Intercepter .45와 달리 예전 스펙과 거의 비슷한 저위력 연사형으로 남았다. 전용 개조품목이 제법 많은 편인데, 대부분 선택지가 하나 뿐인 강화에 가까운 개조들 뿐. 기본 성능은 저위력 연사형이 다 그렇듯 그저그렇지만, 은근히 개조를 통해 명중률과 안정성을 끌어올릴 수 있다. 후술될 Gruber Kurz, Signature .40과 함께 다른 무기들에 비해 힙샷, 무빙샷에 숨은 보정이 있어 특정 상황에서의 명중률이 높다.

여기까지만 보면 나쁘지 않지만, 가장 큰 문제는 10발밖에 되지 않는 장탄수. 아무리 권총류의 장전시간이 빠르다 해도 가까스로 두자리수를 유지하는 장탄수로는 교전시 수많은 애로사항이 꽃핀다. 탄창 개조가 있긴 하지만 확장 탄창이 아닌 무게중심 탄창이기 때문에 안정성만을 올려주며, 그립 개조는 Chimano 시리즈 공용품인데다 딱히 고성능의 총구 부착물 개조도 없기 때문에 이렇다 할 특색도 없고, 당연히 Chimano Compact 만이 가지는 장점은 딱히 없다. 거기에 더해 탄약량이 딱 150이라 다른 총기에 비해 조금 적고 그에 따라 회수량마저도 미세하게 적다는 단점까지 안고 있다(...).

2.5 그루버 크루즈 (Gruber Kurz)

  • Armored Transport DLC 필요
GruberKurz-icon.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0
가격$43,000
연사속도480
탄약 소지량154
탄약 회수량4.62 ~ 6.16
장탄수14
장전 시간1.55 /2.12s
대미지37
명중률44
안정성60
은닉성30
위협성4

첫번째 DLC인 Armored Transport의 권총. 실제 모델은 발터 PPK이다.[5] 저위력 연사형 권총 중에선 가장 명중률이 낮다. 개조 범위가 좁고 선택의 여지가 없는 강화에 가까운 부착물들 뿐이지만 부착물의 성능이 높아 명중률을 쉽게 끌어올릴 수 있어 의외로 성능치는 나쁘지 않다.

단점은 탄창 개조가 없어 장탄수가 14발 뿐이라는 점. 후술될 Signature .40과 마찬가지로 다른 권총들에 비해 힙샷, 무빙샷 시의 집탄율이 좋은 숨은 강점을 가지고 있다.

초창기 은닉성에 최대치가 있었을 무렵엔 스텔스 원톱으로 활약하다 최대치가 사라진 후 빛의 속도로 몰락했고, 퓨지티브 등장으로 인해 은닉개조에 너프패치로 다시 부활했다가 크라임 페스트로 은닉성이 엇비슷해진 현재 다시 몰락했다. 다만 그립 개조에 자체적 레이저 조준 기능이 있고 명중률을 제법 올리는데다 은닉성을 떨어뜨리지 않기 때문에 스텔스 관련해서는 아직도 활용도가 높다. 존 윅 콜라보 업데이트 이후 권총류에도 은닉성을 떨어뜨리지 않는 마이크로 레이저 가젯이 추가되어 의미가 희석되긴 했지만 같이 장착할 경우 쓸데없이 멋있는 더블 레이저를 쓸 수 있다.

크라임페스트 이후 6개로 수가 매우 적어진 저위력 연사형 권총이 되었는데, 그중 Chimano 88은 기본무기, Berentti 9은 옆그레이드, Chimano Compact와 Broomstick은 사실상 폐급에, STRYK 18은 권총 코스프레한 SMG라는 느낌이 강해서 사실상 제대로 된 저위력 연사형 권총은 Gruber Kurz가 유일하지만, Gruber Kurz 자체가 인기있는 무장이 아니기 때문에 저위력 연사형 권총은 사실상 씨가 말랐다. 마스터마인드의 권총 스킬만 확보해줘도 발당 공격력이 50을 넘기며 오버킬 난이도에서는 높은 전투지속력과 명중률을 바탕으로 만족할만한 위력을 뽐내지만, 이미 나락으로 떨어진 인식때문에 활용하는 사람을 찾기는 매우 어렵다.

2.6 브룸스틱 권총 (Broomstick Pistol)

  • Gage Historical Pack DLC 필요
Broomstick.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23
가격$511,000
연사속도670
탄약 소지량150
탄약 회수량4.5 ~ 6
장탄수10
장전 시간4 / 4.17s
대미지37
명중률44
안정성60
은닉성28
위협성10

Gage Historical Pack DLC에서 추가된 권총. 실제 모델은 마우저 C96. 출시 초기엔 Signature .40 Pistol보다 공격력은 높고 기타 스탯은 비슷해 거의 옆집 수준이지만, 정신나간 장전시간 때문에 써먹기가 힘들다는 기묘한 특징 탓에 상/하위호환을 모두 달성한 기이한 권총(...). 으로 유명했다. 다만 크라임페스트 이후 Signature .40은 자기 스펙을 기준으로 밸런스형 티어를 확립하고 굳히기를 시전했지만 Broomstick은 어째선지 밸런스형 티어에 끼지 못하고 Berentti 9, Gruber Kurz와 같은 저위력 연사형 티어에 편입되었다. 문제는 정신나간 단점을 다 그대로 들고 티어만 바꿔 버려서 폐급으로 전락했다는 것(...)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기본 4초인 장전시간. 문서를 꼼꼼히 읽었다면 바로 알겠지만 4초면 어지간한 권총류는 재장전을 못해도 한 번 반, 많게는 3번까지 끝낼 수 있을 정도로 기나긴 시간이다. 이런 엄청난 패널티를 가지고서, 딱히 이렇다할 장점이 없다. 공격력이 특출나게 세지도, 명중률이 높지도, 은닉성이 높지도, 탄약량이 높지도 않다. 무기의 형태를 카빈형 모델로 바꿔주는 개조품목들이 있고 심지어는 전용 스코프와 총구 부착물까지 있지만, 무기의 근본이 저위력 연사형이라서 쓸 일이 없다. 즉, 완전한 폐급. 물론 권총 관련 스킬을 찍고 사용에 익숙해지면 어느정도 수준의 성능은 낼 수 있긴 하지만 이거 하나 쓰겠다고 스킬을 찍을수는 없는 노릇이고, 그나마도 장탄수가 개조시 20발, 스킬 찍으면 25발까지 늘어난다는 점 외에는 PPK나 베레타와 비교했을때 스탯이 거기서 거기라 별다른 메리트도 없고 오히려 장전시간이 길어서 보통 하위호환 취급받고 버려진다. 현재는 공개 방에 풀개조를 마친 Broomstick을 들고 들어가면 그게 무슨 총이냐고 물어보는 유저도 있을 정도로 완전히 잊혀진 무기가 되었다. 그냥 쉽게 말해서 플랜 B에 이거 들고다니면 재장전 시간이 쏘는시간보다 길다 사실 전용개조 스나이퍼 스코프때문에 쓴다카더라

  • 도전과제
    • So Uncivilized - Damper.L 44 Nozzle과 Barrel Sight 44를 장착하기. 윈스턴 처칠 용 High Capacity Mag과 Holster Stock, British Bulldog 가면과 "Army Green" 재질, "Filthy Thirteen" 패턴이 해금. 여담으로 이 도전과제는 한 솔로의 DL-44 블래스터를 오마주했다.

3 밸런스형

3.1 크로스킬 권총 (Crosskill Pistol)

Crosskill-icon.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2
가격$59,000
연사속도500
탄약 소지량90
탄약 회수량2.7 ~ 3.6
장탄수10
장전 시간1.47 / 2.12s
대미지65
명중률68
안정성72
은닉성29
위협성10

실제 모델은 M1911.전작에서도 매우 준수한 성능으로 등장했다. 이전까지는 중위티어 이하 하위티어 이상의 평균적인 위력을 자랑하는 권총이었지만 크라임페스트 밸런스 패치 이후로 밸런스형 권총 5종류[6] 중 하나가 되었다. 문제는 전체적으로 버프가 과하게 가해진 권총류 중에서도 눈에 띄게 좋아졌다는 것인데,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만능이다. 말이 밸런스형이지 밸런스형의 공격력은 기본이 65로 어지간한 고화력 돌격소총보다 높고, 공격력/명중률/안정성 전부 개조를 적절히 가미할 시 80을 유지할 수 있으며, 스킬의 보조까지 포함하면 올 100을 유지할수도 있다! 단점은 총 탄약량과 장탄수 정도인데, 탄약량이 적긴 하지만 같은 고화력 권총 넷과 비교하면 그 차이는 미미하고, 확장탄창 용량도 6발뿐이긴 하지만 애초에 권총류의 장전속도가 매우 빨라 큰 타격은 되지 않는다. 즉 따지고 보면 이렇다 할 단점이 없다.
문제는 상기한 모든 장점들이 레벨 2부터 열려버린다는 것. 심지어 다른 고화력 권총들은 각각 DLC와 커뮤니티 가입 보상으로 분산되어 있지만 이건 아무것도 안해도 그냥 나오는 순정무기다! 갓 튜토리얼 끝내고 노말~하드 산책 나가는 뉴비들한테 당장 데스위시까지 들고 가기 충분한 장비가 주어지는 것. 이 때문에 비난여론도 거세다.
결론짓자면 초반밸런스가 심각하게 붕괴된다는 지적이 있을 정도로 사기적인 성능을 자랑하는 무기. 없이도 노말~베리하드까지는 수월하니 난이도가 갑자기 훅 낮아지는 게 거슬린다면 과감히 건너뛰고, 오버킬과 데스위시에 갈 때가 되면 다시 들러도 괜찮다.

  • 도전과제
    • Public Enemies - Chuck가면을 쓴상태로 100명을 사살하기.

3.2 45구경 인터셉터 권총 (Intercepter .45 Pistol)

Interceptor-icon.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0
가격$43,000
연사속도750
탄약 소지량91
탄약 회수량2.73 ~ 3.64
장탄수13
장전 시간1.47 / 2.2s
대미지65
명중률68
안정성52
은닉성29
위협성8

2013년 할로윈 업데이트때 추가된 커뮤니티 권총. 실제 모델은 USP Tactical. 출시 초기엔 100발을 거뜬히 넘기는 높은 탄창량과 적당한 공격력과 기타스탯, 또한 가격이 싸고 레벨 0부터 사용이 가능하다는 강점 덕에 독보적인 범용성을 보이며 Berentti 9을 내치고 국민무장의 자리를 차지했었으나, 크라임페스트 패치 이후 올라운더형에서 높은 공격력/적은 탄약수의 밸런스형으로 무기의 성격이 크게 변화되었다.

같은 커뮤니티 무기인 Chimano Custom과 장탄수/탄약량을 제외한 기본성능이 동일한데, Intercepter .45의 경우 개조범위는 조금 더 좁지만 개조품의 성능이 압도적으로 높다. 총열개조는 어떤 패널티도 없이 스탯을 매우 높이 올려주며, 특히 Expert Slide의 경우 명중률을 12나 올려준다. IPSC Compensater와 함께하면 명중률이 무려 +24! 이외의 전용 총구 부착물 역시 명중률과 안정성을 별다른 패널티 없이 올려줘 최종 성능은 Intercepter .45쪽이 약간 우세하다.

무기의 성격은 변했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장점은 바로 0레벨에도 사용가능하다는 점인데, 이 덕분에 총기에 스텔스 개조나 경험치 부스터등의 개조를 해놓으면 악명 활성화 이후에도 바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유용하다. 사실상 스텔스의 경우 총기의 안정성이나 명중률 같은 부가 스탯보다는 은폐도나 데미지가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데, 밸런스형이라 기본 데미지도 65로 높아 데스위시 기준 51 체력의 기본 가드를 소음기를 부착하고도 한 방에 제압할 수 있다. 기본 은폐도도 29로 상당히 높은편이다. 아직 만렙(25악명-100레벨)을 찍지 못한 유저라면, 악명 활성화 이후 초반구간 육성용으로 미리 개조를 해 놓는것도 좋은 활용법이다. signiture .40도 0레벨에 사용 가능한 피스톨 중 하나이지만, 이쪽은 DLC무기이고 interceptor는 DLC를 구매하지 않고도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Crosskill과 마찬가지로 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는 OP무장이라는 특색 탓에 중저렙대 밸런스를 파괴한다는 단점은 여전하다. 분명 강력하고 좋은 무장이지만 게임의 재미를 해칠 수 있으니 선택은 신중히 하도록 하자.

얻는 방법 간단. 페이데이 2 스팀 공식 그룹에 가입하면 제공한다. 요구하는 레벨도 없고, 다른 권총들보다 비교적 저렴한 명실상부 초보자들이 0순위 보조무장. 이외에도 제공되는 편의가 많다.

  • 도전과제
    • Christmas Came Early - 권총을 사서 장비하기.
    • The Pumpkin King Made Me Do It! - 666명을 사살하기.

3.3 키마노 커스텀 (Chimano Custom)

Chimano_Custom.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22
가격$487,000
연사속도750
탄약 소지량96
탄약 회수량2.88 ~ 3.94
장탄수16
장전 시간1.47 / 2.2s
대미지65
명중률68
안정성52
은닉성29
위협성9
  1. 025 업데이트 이후로 추가된 Intercepter .45에 이은 두 번째 커뮤니티 권총. 실제 모델은 글록 G22C. 같은 밸런스형 권총 중에서 가장 넉넉한 탄약량이 많고 기본 탄창수 역시 많은데다가 연사력도 가장 빨라 순간적으로 몰려오는 적들을 상대하는 데 있어서 다른 밸런스형 권총들보다 약간 전략적으로 유리한 고지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기본성능이 비슷한 Intercepter .45와 비교하자면 일단 가격이 10배 비싸고 레벨의 제한이 있으며 개조품의 가짓수는 많지만 성능이 특출나게 뛰어나진 않아 상대적으로 빛이 바래 보이는 감이 있다.

특히 전용 슬라이드 개조는 명중률 4를 깎고 안정성 4와 깨알같이 위협도도 2 올리고공격력을 꼴랑 1(...) 올려준다. 딱히 Chimano Custom이 애매한 공격력 선에 걸려있는 것도 아니라 거진 버려지는 개조. 이렇게만 보면 Intercepter .45의 하위호환처럼 보일 수 있으나 확장 탄창 개조가 무려 Crosskill의 두배인 12발을 추가해주기 때문에 28의 장탄수를 유지할 수 있어 밸런스형 권총 중에선 가장 난전에 적합하다. 총 탄약량이 살짝 많은 탓에 미세하게 높은 탄 회수율도 깨알같은 장점.

밥 맥켄드릭(Bob McKendrick)의 선거 공약 사이트에서 처음으로 이미지가 공개되었으며, Intercepter .45때와는 달리 레벨 제한이 존재하고 성능 때문인지 저렴하지만은 않은 가격을 지니고 있다.(...)

  • 도전과제
    • A Vote for Change - 권총을 사서 장비해보기.

3.4 40구경 시그네이처 권총 (Signature .40 Pistol)

Gage Weapon Pack #01 DLC 필요

Signature_40_icon.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0
가격$43,000
연사속도667
탄약 소지량84
탄약 회수량2.52 ~ 3.36
장탄수12
장전 시간1.47 / 2.12s
대미지65
명중률68
안정성52
은닉성29
위협성9

Gage Weapon Pack #01 DLC에서 추가된 권총. 실제 모델은 SIG SauerP226. 출시 초기엔 이 총 하나 보고 DLC를 구매하는 유저도 있을 정도로 높은 인기를 자랑하는 명실상부한 톱티어 권총이었으나, 크라임페스트 이후로는 평범한 밸런스형 티어로 평준화되었다. 정확히 말하면, 밸런스형 티어가 Signature .40의 성능에 맞추어 형성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같은 밸런스형 중에서 비교할 경우 Intercepter .45와 성능적인 특징이 비슷하다. 개조품의 가짓수는 적지만 성능이 높아 최종 스탯은 제법 괜찮은 편. 하지만 풀 개조시의 탄창량은 Chimano Custom과 LEO에게 밀린다. 특징적인 면으로는, 밸런스형 중에서는 유일하게 Bernetti, Gruber Kurz, Chimano Compact 와 같이 힙샷과 무빙샷에 숨은 명중률 보정을 받기 때문에, 움직이면서 지향사격시의 명중률이 서서 조준사격 할 경우와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놀라운 장점이 있다. 이동 사격시에는 그 어떤 무기보다 정확도가 높아서, 움직이면서 사격할때에는 명중률이 100을 찍은 것도 아닌데 거의 레이저 포인터가 가리키고 있는 방향에 냅다 꽂힌다고 봐도 될 정도.

  • 도전과제
    • Above the Law - 100명 사살하기

3.5 레오 권총 (LEO Pistol)

  • The Bomb Heist DLC 필요
LEO.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28
가격$629,000
연사속도667
탄약 소지량95
탄약 회수량2.85 ~ 3.8
장탄수19
장전 시간1.9 / 2.85s
대미지65
명중률68
안정성52
은닉성29
위협성9

실제 모델이 된 총은 HS2000. 밸런스형 권총으로 밸런스형 중에선 제법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지만 안 그래도 별로 인기가 높지 않은 도살자 DLC를 구입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선택률은 그다지 높지는 않은편. 특이하게도 관련 도전과제로 부착물을 얻을 수 있지만, 다른 도전과제 부착물과는 다르게[7] 1개만 추가되며, 추가 개조를 위해선 카드로 획득해야한다. 또한 관련 과제가 없는 연장 슬라이드는 무조건 카드로 획득해야한다.

같은 밸런스형 권총 중에선 개조 범위가 넓은 편도 아니지만 슬라이드 개조가 패널티 없이 꽤나 높은 성능을 지니고 있고, 총 탄약량과 기본 장탄수가 높은데다 확장 탄창 개조까지 있어 Chimano Custom과 엇비슷한 수준의 장탄수를 확보할 수도 있다. 다만 전용 총구 부착물은 없으며, 밸런스형 권총 중에서는 장전시간이 가장 길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 재장전조차도 2초가량을 소모하고, 탄창을 다 소모한 뒤 재장전하면 3초에 근접한 시간이 걸려, 장탄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난전에는 적합하지 않다.

  • 도전과제
    • I've Got the Power - The Bomb: Dockyard 하이스트에서 경찰이 차단기를 내리지 않도록 하기. LEO 권총 전용 롱 슬라이드 개조부품 해금.
    • Done in 60 Seconds - The Bomb: Dockyard 하이스트에서 60초 안에 항구 문을 열기. LEO 권총 전용 커스텀 슬라이드 개조부품 해금.
    • Breaking Dead - The Bomb: Dockyard 하이스트에서 마약 제조소를 찾아내기. LEO 권총 전용 확장탄창 개조부품 해금.

3.6 컨트랙터 권총 (Contractor Pistol)

  • John Wick Weapon Pack DLC 필요
기본 사항
요구레벨?
가격$?
연사속도361
탄약 소지량90
탄약 회수량? ~ ?
장탄수15
장전 시간? / ?s
대미지66
명중률68
안정성60
은닉성29
위협성9
John wick weapon pack 으로 출시된 권총.

4 대구경

4.1 디글 권총 (Deagle Pistol)

Deagle-icon.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36
가격$822,000
연사속도400
탄약 소지량50
탄약 회수량1.5 ~ 2
장탄수10
장전 시간1.85 / 3.1s
대미지145
명중률76
안정성28
은닉성28
위협성24

실제 모델은 데저트 이글 Mark XIX. 50AE탄을 발사하는 강력한 권총으로, 출시초기엔 Bronco와 약간의 장단점을 갖춘 양대산맥이었지만 크라임페스트 이후 리볼버형과 대구경형으로 클래스가 갈리면서 기본 공격력에서부터 차이가 나게 되었다. 사실 30가량 공격력이 낮긴 하지만 여전히 어지간한 적은 다 헤드샷 한 방으로 보내버리는 똥파워를 자랑하기 때문에 큰 의미 없다(...) 참고로 탄창량이 많고 연사력이 높아 무턱대고 쏘기 쉬우나 Bronco보다 총 탄약량이 모자라고 회수율이 낮기 때문에 여차하는 순간 탄약이 바닥을 드러내는 수가 있으니 주의하자. 또한 전술 재장전의 시간차가 제법 많이 나기 때문에 탄환을 남겨두고 재장전을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특징은 대부분 리볼버형과 비슷하지만 대구경형은 상황에 따라 리볼버형이 불가능한 총구 부착물 개조가 가능하고, 따라서 소음기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스트 기반은 리볼버형 대신 대구경 권총을 찾게 된다. Bronco와 비교하면 안정성과 장탄수, 연사속도가 높으며, 마찬가지로 Gage Mod Courier 보유시 스코프 마운트를 장착해 수월한 장거리 저격을 할 수 있어 DMR과 비슷한 용도로 운용되지만, 부무장이기 때문에 각자의 장단점[8]을 보유하고 있으니 선택은 각자 판단하도록 하자.

참고로 단 3개 뿐인 대구경형 중에서 유일하게 총성이 꽤나 묵직한 편이고, 그에 맞춰 위협성 역시 납득 갈 만큼 높다. 장비하고 달리기를 할 시 총을 들고 한 쪽에 보일듯 말 듯 하게 세운 채 달리는 전용 모션이 있다.

  • 도전과제
    • Don’t Push It - 돌진해오는 클로커 사살하기. 쭈그린 채로 느릿느릿 돌격하는 경우에 쉽게 깰 수 있다. 패치 이전에는 은근히 난이도가 있는 도전과제였지만, 권총류의 화력이 상향받은 후엔 그냥 적당히 몸에다 탄환을 꽂아넣기만 해도 한 탄창 안으로 해결된다.

4.2 베이비 디글 (Baby deagle)

Baby-Deagle-Temp.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36
가격$305,000
연사속도240
탄약 소지량60
탄약 회수량1.8 ~ 2.4
장탄수12
장전 시간?? / ??s
대미지145
명중률68
안정성32
은닉성29
위협성9

밥도둑
Point Break 하이스트 DLC에 추가된 자동권총. 실제 모델은 제리코 941 RPL 모델로, 게임 속 이름은 실제 총기의 별명인 'Baby Eagle'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본디 9mm를 사용하는 모델이나, Deagle과 연관성을 두기 위함인지 대미지가 대구경 권총 수준으로 책정되어있다. 하지만 나머지 성능은 오히려 일반 자동권총에 가까운데, 빠른 연사속도, 높은 은닉성에 탄약 쪽도 매그넘 쪽보다 훨씬 넉넉하게 책정되어있어 전투지속력도 높다. Deagle과 후술될 White Streak과는 달리 확장탄창 개조가 없기 때문에 난전시 대처력은 살짝 모자라지만 그 차이가 큰 편이 아니기 때문에 실전에서는 무시해도 될 정도. DLC무기라는 단점이 존재하긴 하지만 우월한 공격스탯에 더불어 은닉성 또한 높아[9] 선택 빈도가 높다.

다만 탄약이 대구경 권총들보다 많다고 해도 어디까지나 비교적 많은 것이지 빈말로도 넉넉하다곤 못 할 양인데다 회수량도 마냥 높지만은 않고 연사속도도 빠른 만큼 순식간에 털어내는 일이 잦아 어느순간 탄약이 바닥나기 쉬워 운용시 주의를 요한다. 또한 대구경형이 다 그렇듯 반동도 제법 되는 편이라 연사했다간 높은 확률로 총탄이 허공을 가른다.

전용 총열 개조 중 명중률을 올리는 Ported Barrel은 어째선지 기본 성능도 별로 좋지 않은 주제에 개조 이후 총구 부착물 개조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버려진다. 전용 손잡이 개조를 하기 위해선 전용 하부 리시버 개조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패치 이후 권총이 대대적인 너프를 당한 후, LEO권총을 제치고 솔로잉에 최적화가 된 권총이 되었다. 재장전이 빠른편이며 데미지도 꽤나 출중해서 웬만한 적은 3발 이하로 처리 할 수 있고 느린 연사속도가 오히려 탄약소모를 막아준다. 거기에 장탄도 12발로 데미지에 비하면 충분한 수준. 개조로 명중률도 80 가까이 올릴수 있어 스나이퍼 제거에도 용이하다. 하지만 역시 연사속도가 너무 느린게 단점이기에 주무장에 HE탄 개조 샷건같은 메즈가 가능한 무기를 드는것이 좋다.

여담이지만 전용 개조 부품 중 총몸과 손잡이의 이름이 각각 Spike Kit와 Spike Grip이다. 외형도 강철 프레임을 가진 구형 제리코 941에 가깝게 변하는데, 이는 카우보이 비밥스파이크 스피겔이 사용하던 모델과 매우 흡사하다. 심지어 스파이크의 제리코 941에 달려있는 독특한 레이저 조준기까지 있는 걸 보면, 제작진 중에 카우보이 비밥을 감명 깊게 본 사람이 있는 모양이다. GeneralMcBadass는 이 권총을 아예 카우보이 비밥의 권총이라고 띄워줬다.

원래 대구경은 커녕 평범한 9mm 탄환을 쏘는 총기이기 때문에 인게임에서의 총성도 굉장히 가볍다. Deagle처럼 퉁 퉁 하는 묵직한 총성을 기대한 유저들에게는 실망감을 줄 정도로 소리가 가볍다. 신경 안 쓰는 유저라면 아무래도 상관 없는 이야기이지만 총성은 통통거리는데 정작 맞은 적들은 한두방만 맞아도 비명횡사를 하기 때문에 인게임에서 사용해보면 뭔가 상당히 꺼림칙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4.3 화이트 스트릭 권총 (White Streak Pistol)

기본 사항
요구레벨12
가격$305,000
연사속도666.7
탄약 소지량60
탄약 회수량1.8 ~ 2.4
장탄수12
장전 시간?? / ??s
대미지145
명중률68
안정성32
은닉성29
위협성9

하드코어 헨리팩에서 추가된 새로운 권총. 실제 모델은 Lebedev PL-14 프로토타입. 상기된 Baby Deagle과 비교하면 개조 범위가 약간 좁다는 점을 제외하곤 거의 동일한 성능치를 지닌다. 아무래도 개조품의 가짓수 차이 때문에 최종 성능은 약간 뒤쳐지는 감이 있으며, 특히 은닉성이 아주 살짝 낮기 때문에 Baby Deagle의 하위호환 취급을 받는다. 전용 개조로는 확장 탄창과 총열 개조가 있는데, 확장 탄창은 용량이 고작 2발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역시나 다른 대구경 권총들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나진 않는다. 그러나 고작이라곤 해도 권총으로서 장탄 수가 조금이라도 더 많은 것은 매우 유리하다.

전용 총열 개조인 Prototype Barrel은 마치 평범한 총구 부착물 개조품처럼 생겼는데, 어디까지나 연장 총열 개념이라 그 앞에 총구 부착물을 한 번 더 붙일 수 있어 최종 개조시 길이가 굉장히 길어진다. 다만 총열 자체에 가스 배출구가 있기 때문에 개조시 소음기는 장착할 수 없다. 개조품이 명중률을 올려주긴 하지만 없어도 기본 성능이 우월한 대구경형이기 때문에 큰 차이는 나지 않는데다 상기된 Baby deagle과는 달리 하드코어 헨리 팩이 무료 DLC이기 때문에 접근성이 높다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고증에 철저한 페이데이 시리즈 답지 않게 상당한 고증오류를 지니고 있는데, Baby deagle과 마찬가지로 원래 9x19mm 탄환을 사용하는 무기이며 15발들이 탄창을 쓴다.아마 9x39mm를 사용하는것으로 보인다[10] 아무래도 대구경형 권총이 단 둘 뿐인데다 그 중 성능치가 높은 하나는 유료 DLC 무기라 비슷한 성능의 무료 권총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이런 성능조정이 일어난 듯. Baby deagle과 마찬가지로 인게임 총성이 상당히 가벼운데, 경기관총에 소음기를 부착했을 때와 비슷한 정도로 가볍다 못해 조용한 총성을 낸다. 물론 총성이 작게 들린다고 스텔스 중에 쏴도 안 들키거나 하진 않는다.

5 리볼버형

5.1 44구경 브롱코 리볼버 (Bronco .44 Revolver)

Bronco44-icon.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6
가격$135,000
연사속도361
탄약 소지량54
탄약 회수량1.62 ~ 2.16
장탄수6
장전 시간2.25s
대미지175
명중률76
안정성4
은닉성26
위협성24

실제 모델은 토러스레이징 불. 역시 전작에서도 등장했던 남자의 권총. 권총류 중 가장 공격력이 높은 리볼버류 무기 3종 중 하나다.[11] 출시 초기엔 5~60 언저리의 공격력을 지니고 있었지만 슬금슬금 공격력을 올리기 시작하더니 크라임 페스트 이후로는 오버킬의 어처구니없는 밸런스 조절에 의해 175라는 저격총급 공격력을 얻었다. 본래 정교한 에임실력을 갖출수록 빛을 발하는 무기였지만, 공격력이 뻥튀기 된 이후론 어지간하면 한두방에 죽고 헤드샷은 특수경찰까지도 모조리 오버킬을 띄운다. 불도저도 안면방어구만 없으면 헤드샷 두방이며, 오버킬까지는 Spotter 마킹과 Cleaner 등을 받고 그냥 달려나가서 면전에 6발 다 꽂으면 불도저가 드러눕는다. 상기된 Crosskill과 똑같은 사항으로, 이게 레벨 6에 해금되는 순정 무기다(...) 참고로 같은 리볼버류 중에선 공격력이 5 낮지만 어차피 다 한두방이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다.

리볼버류의 전체적인 특징이지만 총구 부착물 개조 대신 총열개조가 주가 되고 소음기를 장착할 수 없는데, Gage Mod Courier 보유시 리볼버형중에선 유일하게 총구 부착물 개조[12]와 스코프 마운트 개조가 가능하다. 스코프 개조는 권총 위에 레일을 달아서 소총용 스코프를 얹어놓기 때문에 고배율 스코프 장착시 저격총 뺨치는 원거리 사격이 가능한데, 이런 특징을 반영한 것인지 정조준시 단축총열을 달아도 훌륭한 명중률을 보여주지만 명중률을 낮췄을 시 가까운 거리에서도 힙샷이 자주 빗나간다. 지금은 명중률을 상승시켜주는 저티어 스킬들과 테크니션의 힙샷 명중률 증가를 찍어주면 힙샷시에도 92라는 명중률을 자랑하게 된다.

스킬이 완전히 뒤집어진 지금은 제일 스킬포인트 가성비가 높은 무기로, 악명5 기준 퓨지티브 건슬링거 트리에 13포인트만 투자하면(이퀄리브리엄, 데스페라도 에이스) 잡경과 흰둥이는 물론이고 방탄스왓까지 헤드샷 한발이 난다. (원 핸드 탈렌트의 경우엔 데미지를 200까지 높여줄 수 있지만 그렇게 올려놔도 큰 메리트가 없고, 건넛 스킬의 장탄수 증가는 리볼버라 적용되지 않으며, 한발한발 공들여 사격하는 스타일에 연사도 상향받아서 연사속도 증가도 큰 의미가 없다. 트리거해피는 쓸 사람만 쓰는 스킬이니 논외.) 다만 레이저를 달 수 없고[13] 헤드샷 위주로 운용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어지간히 익숙한 게 아니면 쓰기 어렵다는게 흠.

여담이지만 인게임에서 특이하게 해머가 젖혀진채로 재장전을 하며[14] 총을 쏴도 해머가 자동으로 젖혀진다.자동리볼버? 그리고 전술재장전이 없다.[15]

5.2 45구경 피스메이커 리볼버 (Peacemaker .45)

  • The Butcher's Western Pack 필요
Peacemaker_.45.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31
가격$630,900
연사속도240
탄약 소지량54
탄약 회수량1.62 ~ 2.16
장탄수6
장전 시간4.76 / 7.76s
대미지180
명중률84
안정성24
은닉성26
위협성28

실제 모델은 콜트 싱글 액션 아미 리볼버. 샷건 판정인 저지를 제외한 단 3개 뿐인 리볼버형 권총 중 하나. 서부시대의 리볼버 하면 딱 떠오르는 그 인상으로, 현재 리볼버형 권총의 공격력은 Peacemaker를 기준으로 책정되었다. 다만, 티어가 병합되면서 유일한 장점이었던 높은 공격력이 티어 전체의 특징으로 자리잡자 Peacemaker에게는 단점만이 남아버렸다는 것이 문제(...) 우선 첫 번째로, 19세기에 나온 초창기 리볼버인지라 장전을 한 발씩 한다. 근접 무기로 캔슬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관련 스킬이 없다면 걸리는 시간이 웬만한 기관총보다 길다(...)그런데 현실에서는 장전이 이보다 더 느리다는게 함정

또한 다른 권총에 비해 사용이 까다롭고 플레이어의 실력을 많이 타는데, 자동권총은 말할것도 없고, 기관단총이나 샷건은 정조준시 에임회복이 빠른 반면, 조준경 개조가 아예 없는 피스메이커는 초탄까지는 그런대로 맞긴 하지만 사격후 완전회복까지 1.5초 정도 걸리며, 조준사격 탄퍼짐이 2.8로 거의 산탄총급이다. 이는 장거리 사격에 문제가 되고, 정조준시에서는 거대한 실린더와 패닝자세 모션때문에 올라온 손에 시야가 가린다.(...) 하지만 그나마 다행히도 힙샷 명중률은 다른 권총보다 높은 편. 고수가 잡으면 탄약 잔여량 = 사살 수 라는 미친 공식을 적용할수 있지만, 물론 총알을 다 쓰고 나면 인고의 시간 익숙하지 않다면 운용이 쉽지 않은 총이다.

또한 Bronco의 경우 조준기를, Matever의 경우엔 레이저 포인트를 개조시킬 수 있는데 반해, 피스메이커는 힙샷 명중률이 좋다는 점밖에 없고 그마저 화염방사기에 준하는 괴랄한 장전속도를 어떻게 할 수가 없다. 크라임 페스트 이전에야 저격총 급의 높은 공격력 때문에라도 이 끔찍한 장전시간을 버텨가며 사용할만한 이유가 있었지만, 현 상황에선 이걸 사용할 메리트가 없어져 그냥 별볼일 없는 무기가 되었다. 그래도 썩어도 준치라고 한번 이 총을 사용하는데 익숙해지면 높은 공격력과 어느정도 나오는 초탄 명중률을 이용해서 나름 유용하게 쓸 수 있긴 하다. 대신 난전에서(특히 마땅한 엄폐물마저 없다면) 매우 불리한건 어쩔 수 없다.

무기를 뽑을 때 권총을 멋지게 휘리릭 돌리면서 뽑는데, 권총 사용중 무기교체 시간을 줄여주는 마스터마인드의 Equilibrium 스킬과 로그 퍽 덱의 Killer Instinct 퍽의 효과를 받으면 돌리는 속도가 굉장히 빨라진다.

  • 도전과제
    • Fastest Gun in the West - 6명의 적을 첫 번째 적이 죽은 뒤 6초안에 지향 사격으로 사살하기. 발사 횟수는 따지지 않으니 불렛 스톰, 스완 송을 사용하면 쉽다. 서부영화에 주인공이 패닝으로 적을 쓸어버리는 장면을 모티브로 한걸로 보인다.

5.3 357구경 마테버 리볼버 (Matever .357)

  • The Alesso Heist DLC 필요
Mateba.png
기본 사항
요구레벨56
가격$773,000
연사속도286
탄약 소지량54
탄약 회수량1.62 ~ 2.16
장탄수6
장전 시간3.6s
대미지180
명중률84
안정성12
은닉성20
위협성24

Alesso 하이스트 DLC에 추가된 리볼버. 실제 모델은 Mateba 2006M .357 Magnum.[16] 리볼버류 권총 3종류 중 하나. Bronco보다 공격력이 5가량 높고 명중률과 안정성 등의 기본 스탯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Bronco와는 달리 별도의 공격력 증가 개조는 없다. 단축총열로 은폐력을 향상시켜도 공격력의 감소가 없지만, 어차피 5 차이라 오십보 백보. 안정성 또한 Bronco는 개조로 올릴 수 있지만 Matever는 안정성 관련 개조가 없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다.

Bronco와 달리 스코프는 장비하지 못하지만 리볼버류 중에선 유일하게 가젯 개조가 가능해 레이저 포인터와 플래시 라이트를 장착할 수 있다. 권총 자체의 힙샷 명중률에 힘입어 근중거리에서의 힙샷 운용이 굉장히 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익숙해지면 별도의 조준 없이도 원거리의 적을 힙샷으로 저격하는 게 가능할 정도.

총성이 제법 경쾌하며 무기의 디자인이 멋있는 편이기 때문에 은근히 인기가 있는 편. Bronco보다 약간 재장전 시간이 느린데, 모션을 자세히 보면 실린더를 열고 탄환을 밀어넣은 뒤 왠지 손을 한 번 떼고 제대로 들어갔나 확인 한 다음 다시 실린더를 닫는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페이데이 2/무기/보조무기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페이데이 2/무기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Bernetti 9의 압도적 탄창량, Broomstick의 기묘한(...) 상/하위호환력, Intercepter .45의 범용성 등
  2. 퓨지티브의 스킬 건슬링거 - 건 넛을 에이스 찍을 경우 연사력이 1818이라는시팔시ㅍ... 초월적인 수치가 되는데, 끊어 쏜답시고 살짝 클릭하면 총알이 3~4발이 날아가 있는 경이로운 연사속도를 체험 할 수 있다(...)
  3. 권총들은 좌우 반동폭이 아주 작으며 절대값 또한 동일하기 때문에, 아무리 연사를 하여도 명중률이 낮지 않은 한 양옆으로 탄이 튀는 비율이 적다. STRYK는 명중률도 상당히 끌어올릴 수 있는 권총이기 때문에 풀오토 사격 시 총구가 최대한으로 상승한 후부터는 하이퍼 FPS의 총기들에 버금가는 무반동 고화력 고명중률의 미니건으로 돌변하게 된다.
  4. 참고로 Bullet Storm 등의 무한탄창 난사를 즐긴다면 명중률은 최대한 낮추자. 불도저를 몸샷으로 잡는다면 모를까, 높은 연사력으로 흩뿌려지는 총알의 탄도가 일정할수록, 좁은 범위에 쓸데없이 화력이 낭비된다.
  5. 007 시리즈를 대표하는 총기이다. 도전과제 이름이 License to Kill인 이유.
  6. 각각 Intercepter .45, Chimano Custom, Signature .40, LEO
  7. 도전과제 달성으로 획득한 무기 부착물의 경우엔 돈만 충분하다면 무기가 몇개든 개조가 가능하다.
  8. 어지간한 주무기 DMR 개조와 달리 공격력에서부터 앞서고 권총류의 다양한 스킬효과를 누릴 수 있으나 RPG를 비롯한 유용한 보조무기 활용이 불가능하고 쉴드 등의 처리방안을 주무기에서 찾아 해결해야 한다는 한계가 생긴다.애초에 보조무기에 그런 물건은 기껏 해야 HE round,RPG,차이나 레이크 뿐이지만 주무기에는 타나토스,화염방사기,폭발화살,유탄 등 많이 있다.
  9. 개조시 최대31까지 올릴수 있다
  10. 이것도 고증오류가 있는게,9x39는 탄창이 엄청나게 큰것이다,아무래도 9x39mm를 권총용으로 개조한 탄환을 사용하는것같다
  11. Bronco .44, Matever. 357과 Peacmaker .45 세 종류는 전부 리볼버이며 별도의 부착물 개조를 총열 개조가 대체하며 소음기 장착이 불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12. 가능한 항목은 명중률을 낮추지만 공격력은 눈꼽만큼 올리는 Flash Hider 단 하나 뿐이다.
  13. 레이저를 달 수 없다는게 생각보다 치명적인 단점이 될 수 있다. 레이저가 없으면 정말 숙련자가 아니고서야 힙샷을 맞추기가 힘들기 때문.
  14. 실제 대다수의 리볼버는 해머를 젖히면 실린더가 고정된다.
  15. 참고로 전작에선 탄창을 다 비우고 재장전을 하면 실린더를 손바닥으로 한 번 세게 돌리는 쓸데없는 모션이 있었다. 재장전 시간이 길어지는것도 아니고, 돌릴 때 클릭하면 그냥 사격한다.
  16. Model 6 Unica의 경우엔 자동 리볼버로 유명하지만, Mateba 2006M의 경우엔 더블액션 방식을 이용한다. 그리고 디자인이나 실린더 열리는 방향도 다르다. 그런데 작동되는걸 보면 자동리볼버라는게 함정 그냥 자동 리볼버로 해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