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월린

비뢰도의 등장인물. '무신'이라 불리우는 전설적 인물. 무신이라고 칭해지기전 별호는 태극신군. 당시 개캐 ,투명드래곤 취급이었던 천겁혈신 위천무를 무신마 갈중혁과 같이 싸우고도 살아남은 인물이다. 이후 천무삼성, 무신마와 같이 위천무를 패배시키는데 성공한다. 이후 천무학관을 창시, 초대 관장을 맡았었다. 얼음과 불꽃을 동시에 다루며 검과 도를 같이 썼다는 특이한 인물. 어렸을때부터 세상만물의 중심을 보는 재능을 가졌다고 나온다.

무공은 본편의 최종보스 노사부에게서 비급을 받아 배웠다고 한다. 본래 그 비급은 태극 어쩌구 하는 사람이 노사부한테 도전하러 왔다가 죽은 후 노사부가 가지고 있었는데 어떤 이쁘장한 녀석한테 넘겨주었다는 언급이 23권 초반부에 나온다. 그때 노사부가 그 무공의 최종비기로 보이는 기술을 비류연한테 사용했는데, 비류연이 그 기술을 가르쳐달라고 했을때, 아직 이르다는 말을 한 것으로 보아, 비류연보다는 강했던것 같다.[1]

제자로는 빙검과 염도가 있지만, 다만 그의 무공을 전부 물려받은 건 불가능했었고[2] 검과 얼음은 빙검에게 도와 불꽃은 염도에게 물려줬다. 그의 뒤를 이을 수 있다는 태극의 거울이라는 비급같은게 존재하는듯 하며 현재 모용휘가 무신의 뒤를 이을 수련을 하는 중. 천무관에 세워져있는 동상은 꽤 호남형으로 조각되었는데 사실 그 용모는 아름다운 절세미녀같은 모습이었다는게 밝혀진다. 이게 본인에겐 컴플렉스라서 천겁혈신이 그를 처음 봤을 때 "너 여자냐?"고 묻자 위기상황도 잊고 길길이 화를 냈고 천겁혈신은 "남자라서 아깝네"라고 진심으로 아쉬워했다.[3] 그리고 그 동상은 훗날 노사부가 천무학관에 들렀을 때 뭐 이런 본인하고 하나도 안닮은 엉터리동상이 다 있냐면서 바로 박살냈다.

그리고 외전을 통해 사실 비뢰문의 노예였었다는 것도 밝혀진다(…)[4][5] 근데 제자인 염도영희빙검철수도 비류연의 노예가 되었다(…) 안습. 어쨋든 노사부의 가르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인격이 파탄나지 않은 대단한 사람. 비류연은 물론 위천무와 노사부 자신도 솔직히 인격 파탄자라고 밖에 보이질 않는 걸 생각하면 엄청난 업적이라고 할 수 있었을 것이다(…).

무신마와 같이 천겁령의 준동을 막는 억지력이다. 천무삼성이 대단하다고 해도 혁월린/갈중혁 둘 중 한명이라도 없으면 위천무급 고수가 일어났을때 막는게 불가능하기때문. 덕분에 염도의 실수로 혁월린의 사망이 천겁령에 전해진 이후로 천겁령이 보다 더 활발하게 활동하게 되었다. 다만, 29권에 들어서 그와 갈중혁이 위천무를 패배시켰는지 확실하지 않다고 나온다. 천겁혈신 위천무와 혁월린, 갈중혁의 싸움을 지켜보던 나백천은 중간부터 기억이 사라진데다가 나백천이 마지막으로 기억하던 부분도 혁월린이 중상을 입고 쓰러지는 부분이라… 이후 노사부를 찾아가는것도 그렇고 노사부와 관계가 있지 않나 싶다.
  1. 일단 무신마도 비류연보다 강한걸로 보인다.
  2. 신체 자체가 특이구조라야 한다. 즉, 음과 양의 기운을 동시에 다룰 수 있는 자만이 무신의 무공을 모두 이을 수 있는 것. 후술할 모용휘가 이 조건에 부합해 무신의 무공을 수련중이다. 모용휘가 그러한 신체구조를 타고 났다는 점은, 삼성대전-검성전 결승전 중 청흔을 상대로 마지막에 시전한 기술에서 알 수 있다.
  3. 그리고 갈중혁도 속으로 동의했다….
  4. 원래는 제자로 키울 마음이 있었는데 한동안은 제자를 키우지 않겠다고 하늘에 맹세한것 때문에 제자로는 키우지 않았다… 라고 하지만 비뢰문의 비전(비뢰도,봉황무 등등)만 가르치지 않았을뿐 비뢰도가 아닌 다른 무예를 가르쳤다는 언급으로 봐서 스승과 제자 보다는 선생과 학생 정도의 개념에 가깝다고 볼수있다.
  5. 노사부 역시 혁월린을 제자가 아닌 비뢰문의 노예라고 했지만 애초에 제자와 노예의 차이가 비뢰문의 비전을 익히냐 익히지 않느냐의 차이만 빼면 별 차이없다고 노사부가 자기 입으로 인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