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 소스 엔진

밸브 코퍼레이션의 게임 엔진
골드 소스 엔진소스 엔진

968full-cry-of-fear-screenshot.jpg
하프 라이프의 모드인 크라이 오브 피어의 플레이 사진

1 개요

밸브 코퍼레이션게임 엔진.

2 상세

퀘이크 엔진을 대량으로 개조해 만든 게임 엔진으로서, 훗날 FPS계에서는 거의 전설로 취급받는 하프 라이프 시리즈를,
모드로는 카운터 스트라이크,팀 포트리스 클래식데이 오브 디피트를 만드는데 일조하였다.

3 성능

High_Definition_Half-Life_comparison.jpg
하프 라이프 HD팩 업데이트 이후. 사진에 보이는 모델링 중 폴리곤의 개수와 디테일이 비약적으로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1][2] 왼쪽이 HD팩 업데이트 이전, 오른쪽이 업데이트 이후.
screen1.png
maxresdefault.jpg

일단 1990년대, 즉 20세기에 만들어진 엔진이다 보니 소스 엔진하프 라이프 2: 에피소드 1이상으로 전부 업그레이드 된 상태이므로 현재골드 소스 엔진을 직접적으로 업그레이드하지는 않으며[3] 이 엔진으로 내는 게임은 없다.[4] 그래픽 지원도 사실상 하프 라이프, 하프 라이프: 블루 쉬프트, 하프 라이프: 어포징 포스에서 HD 팩을 내준 정도로 끝난 상태이며, 그마저도 엔진 자체의 업그레이드가 아닌 사실상 텍스쳐나 모델링 등 자잘한 옵션 등을 추가해준 데 불과하다. 팀 포트리스 클래식의 업데이트도 2008년 마지막 업데이트[5]를 끝으로 종료되었다. 게임트래커로 서버를 찾아봐도 사람이 가장 많은 방이 23명 정도 이고 두번째부터 기하급수적으로 사람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망했어요. 비공식적으로 카운터 스트라이크: 소스의 텍스쳐를 기존 1.6버전의 카운터 스트라이크에 붙이는 방법으로 그래픽 패치가 가능하기는 하다. 그러나 이건 불법이므로 생략. 게다가 나온 시기가 시기인만큼 밸브는 골드 소스 엔진으로 만들어진 게임에서 대부분 손을 뗀 상태이고, [6]소스 엔진도 나온지 2016년 기준으로 이미 12년이 넘은 구식 엔진이며 소스 2 엔진이 나온 시점이기 때문에 사실상 크라이 오브 피어의 발매 이후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4 현재

다만 게임의 그래픽은 게임 엔진 문서에서도 나와있듯, 게임의 엔진에 그리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를테면, 설정을 해 놓으면 알아서 다 해준다는 것은 첨단 게임 엔진의 큰 매리트지만, 게임 엔진의 문서에도 나와있듯 정작 만들 게임의 퀄리티는 구 엔진으로도 충분하다. [7] 물론 이를 뒷받침하기위한 열정과 노가다와 영겁의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다만 나온지 20년이 다 돼 가는 게임이라 모드 개발등의 엔진으로서의 사용도 거의 없어졌으며, [8] 소스 엔진 2, 유니티 5, 언리얼 엔진의 무료화 선언으로 독자적 게임은 더더욱 기대하기 힘들어졌다. [9]

5 해당 엔진이 쓰인 게임들

6 프로토타입 당시부터 해당 엔진을 쓴 경우

7 해당 엔진을 쓰는 게임의 MOD 및 여기에서 스탠드 얼론이 된 경우

골드 소스 엔진 모드 참조.

8 관련 항목

  1. 차이를 잘 모르겠다면 얼굴신체의 가운데를 보도록 하자.
  2. 위의 사진은 블랙 메사의 경비요원 바니 칼훈의 클론 또는 본인이다.
  3. 물론 골드 소스 엔진을 사용한 게임의 그래픽을 향상시키는 업데이트 정도는 한다. 대표적인 예시가 HD팩. 하프라이프 시리즈에만 적용되었다.
  4. 다만 가끔씩 유저 또는 게임 단체들이 모드를 내는 중이다
  5. 참고로 팀 포트리스 2는 2007년에 공개되었으므로 구작 치곤 업데이트를 꾸준히 해준 셈. 비록 업데이트 주기가 1년 단위로길긴 했지만...
  6. 이미 후속작까지 나온 마당에 전작에 계속 손대고 있을 수만은 없는 노릇이므로
  7. 다만 퀘이크 엔진에서 GTA 5의 그래픽을 낸다는 소위 미친 짓거리는 배제하고 고해상도 텍스쳐, 쉐이더 개선 이외의 여러가지 개조를 이용하면 기존 엔진을 사용한 다른 게임들보다 훨씬 더 좋아진다.
  8. 컴퓨터의 램 공간과 그래픽카드의 상향으로 인해 더 좋은 엔진을 추구하고 있으므로 보통은 소스 엔진을 사용한 하프 라이프 2를 모드 개발의 주 원동력으로 쓴다.
  9. 신형 엔진을 사용한 게임 개발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과제나 시험작 등으로 이 엔진을 쓰는 경우가 종종 있다.
  10. 확장팩 포함
  11. 1.0 베타 버전부터 사용되었다.
  12. 제목 그대로 퀘이크의 데스 매치다.
  13. 7,8년 전 스팀 초창기에 밸브가 위 데스 매치 클래식과 함께 무료 배포한 것들 중 하나로, 당시 E3에서 속편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지만 티스푼 공사인지 개발 취소인지 여태껏 감감 무소식.
  14. 의외로 유명하지 않은데 기어박스에서 만든게 맞으며 피어스 브로스넌이 주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