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장 멘트가 보통이 아니여~ 곱빼기여! (웃찾사 부장아재 중)
주로 중국집에 음식을 주문할때 사용하는 용어.
기본보다 약 두 배 가량의 양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먹어보면 약 1.5배 정도로 느껴진다. 가게에 따라서는 두 그릇 정도의 양을 한 그릇에 넣어주기도 한다. 사실 2를 곱하고 한 그릇의 반을 빼서 곱빼기라 카더라
어떻게 보면 상당히 좋은 주문 시스템인데, 먹는 양이 많은 사람의 경우엔 당연히 보통은 양이 모자란다. 그렇다고 두 그릇을 시키기엔 경제적 부담이 크다. 하지만 곱빼기의 경우 보통보다 오백원~천원 이상 정도만 추가 부담을 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훨씬 덜어진다. 거기다 특정 가게는 곱빼기의 추가 가격을 받지 않는 케이스도 있다.[1][2]흠좀무
조금 더 이론적으로 살펴본다면, 애초에 소비자는 배가 고프다고 두 그릇을 사먹는 일이 거의 없다. 왜냐하면 두 그릇째를 먹었을 때 얻는 효용(=만족도)이 한 그릇을 먹었을 때 얻는 효용보다 적기 때문이다.[3] 따라서 더 적은 효용을 위해 같은 비용을 지불하지는 않게 된다. 하지만 곱배기의 경우 추가되는 반인분 가량에서 얻는 효용이 처음 한 그릇의 효용보단 적겠지만 투자하는 비용이 한그릇에 비해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추가 효용이 매우 낮은 사람[4]을 제외하면 곱배기는 소비자에게 충분히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생산자 입장에서도 꽤나 좋은 시스템인데, 생산량이 많으면 평균 원가는 낮아지게 된다. 중국집은 보통 주문이 들어오면 그 자리에서 한 번에 조리해 나가는 방식이므로, 곱빼기나 보통의 생산단가 차이는 생각보다 크게 나가지 않는다. 그러나, 두 그릇은 단무지나 젓가락도 두 접시 및 두 쌍이 소비되며(이것은 명백한 두 배의 지출.) 두 그릇을 만드려면 그릇도 두 개가 나가게 되므로 설거지의 양도 두 배가 된다. 일련의 수고비 지출까지 감안한다면 두 그릇을 파는 것보다 약간의 값을 더 받고 곱빼기를 만드는 편이 생산자 입장에서도 좋다.
소비자-생산자가 모두 상부상조하게 되는 좋은 주문 시스템이라 할 만 하다.
곱빼기는 주로 자장면, 짬뽕 같은 메이저 중식에서 자주 주문되며 볶음밥이나 우동 같은 2군 메뉴도 자주 주문되곤 한다.
수도권 중국집에선 곱빼기라는 단어의 사용 빈도가 줄고 있다반대되는 개념으로 반빼기라는 것이 제안되기도 했으나(기사) 대중화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