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영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호교십군 삼군장, 별불가 초당.

용봉단을 멸하기 위해 오군및 서문숭의 둘째제자인 왕삼보와 함께 출정했지만 막상 싸우기 전부터 심복들과 한켠으로 빠져있더니 왕삼보가 강이환을 악전고투끝에 간신히 쓰러뜨리기 직전에 등장, 왕삼보를 암습하면서 자신의 진짜 신분을 강이환에게 밝힌다. 이때부터 용봉단이 비각과 엮이기 시작하게 되었고 한편으로 용봉단주 강이환 몰락의 시작점이라고 봐도 될듯.

무양문에 복귀한후 자신의 뒤를 캐고 다니는 제갈휘를 상대로, 평소 화산파 출신의 제갈휘를 변절자라고 여기던 백도명숙들을 이용해 제거하려는 차도살인지계를 꾸몄다. 하지만 예상치못한 변수였던 석대원이 제갈휘의 편에 가세하며 실패, 결국 무양문으로 복귀한 제갈휘의 보고를 받은 서문숭에 의해 그 정체가 밝혀지고 만다.

서문숭에게 정체가 밝혀진이후 자신은 애초부터 문도가 아니었으니 반역죄의 대상이 아니고, 서문숭의 적으로써 대우해주기를 원한다고 말하며 대신 삼군 내 자신의 심복(비각과 연관된)들을 밝혀 이들의 생명을 댓가로 서문숭과 겨룰 기회를 잡는다. 물론 승산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을 것이고, 문의 배신자로 낙인찍혀 비참하게 죽음을 맞는 것보다는 오랫동안 따라온 수하들을 스스로의 손으로 편히 보내주고 싶었던 마음이 더 컸을것으로 보인다. [1] 무공은 양강하기 그지없는 동자공을 익히고 있다. 무림인들은 그가 동자공을 익혀 남성을 잃고 나이도 먹지 않는 남자도, 여자도 아니며, 아이도 어른도 아니게 되었다는 의미로 별불가라는 별호를 붙였지만, 실상은 그 반대로 환관이었기 때문에 동자공을 익힐 수 있었던 것이다. 무공은 날고긴다는 강자들이 포진해 있는 무양문 호교십군 중에서도 고검 제갈휘, 분광검 좌응, 쾌찬 양진삼을 제외하면 그보다 강한 이는 없다고 평가되지만, 서문숭에게는 십초지적 정도밖엔 되지 못한듯하며 결국 서문숭의 손에 의해 사망.

초당의 죽음으로 인해 비각은 무양문 내에 침투된 고위정보책을 잃게 되었으며, 이후에 무양문과 얽히는 많은 사건들에서 계속 고전을 면치 못하게 된다.
  1. 예외로 부군장 학곤의 경우 그의 수족이라기보다는 약점을 잡혀 매수된 경우라 초당에 의해 이름이 불리우자 억울함을 토로하지만, 찌질한 모습을 보이는 바람에 더욱 비참하게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