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 밀리어네어

문서가 존재하는 무한도전 특집 이 외의 특집은 해당문서 참조.

1 개요

파일:FDBTzfc.jpg
무한도전 156, 157회 방영분

서울의 5대 궁들을 돌아다니면서 서울구경 특집이나 경주특집 같은 미션들을 수행하는 촬영을 1주일 전에 한 다음 그 촬영에 쓰인 요소들로부터 퀴즈를 내어 유재석을 제외한 멤버들이 릴레이로 푸는 방식으로 1명이 문제를 풀 때 나머지는 대기석에서 기다린다. 중간에 선수 교체는 가능하며 단 한 명이라도 맞히지 못할 때까지 진행된다. 찬스는 지우개 찬스 2번, mc찬스, 전화 찬스, 인터넷 찬스가 있다.(여기서 퀴즈는 이전 MBC에서 방영된 적이 있는 생방송 퀴즈가 좋다의 패러디.) 즉, 슬럼독 밀리어네어 패러디이다.[1] 문제는 총 12단계이며 모든 단계 통과여부에 따라 상금 500만원이 불우이웃돕기로 갈지, 아니면 멤버들이 획득할 지가 결정된다.

한편 우연히 촬영시점에 노홍철의 모교인 현대고 학생들이 견학을 와있었는데, 학생들을 인솔하던 역사 선생님[2]이 몇몇 멤버들의 미션수행을 돕기도 했다.

단계상금(만원)
11
22
34
48
515
630
750
8100
9200
10300
11400
12500

2 문제

2.1 1단계

조선 초기 세종 때 한글이 만들어졌던 집현전이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고종 때 그 부근에 중건된 건물은?

1.근정전
2.강녕전
3.수정전
4.교태전

먼저 첫 번째 도전자는 정준하, 초반 1단계부터 지우개 찬스를 사용해서 겨우 통과했다.

2.2 2단계

조선 시대에 왕이 공식적으로 자리에 앉을 때 뒤에 폈던 병풍에 그려진 일월오악도는 현재 통용되는 1만원 권 지폐 앞 부분에도 그려져 있다. 일월오악도는 해,달, 다섯 산, 소나무, 파도, ( )이 그려진 그림이다.

1.폭포
2.바위
3.학
4.구름

그 다음 2단계에서 박명수에게 패스.

2.3 3단계

창덕궁은 서울에서 종묘와 더불어 이 기관에서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이다. 세계 문화유산을 지정하는 이 기관은?

1.문화재청
2.USB
3.유니세프
4.유네스코

2.4 4단계

조선시대 강우량은 측우기로 측정하였다. 측우기를 만든 사람은 누구?

1.정약용
2.최무선
3.장영실
4.박연

2.5 5단계

궁궐 건물에는 대부분 용마루가 있는데 용으로 상징되는 왕과 왕비의 침소에는 용마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창경궁의 건물들 중 왕비가 기거하는 중궁전으로 쓰였던 곳으로 용마루가 있는 건물은?
1.대웅전
2.수정전
3.자경전
4.통명전

2.6 6단계

1776년 정조의 즉위식이 열렸던 궁궐로 도성 안의 서쪽에 있다하여 서궐로 불린 곳은?

1.경희궁
2.창덕궁
3.창경궁
4.운현궁

2.7 7단계

경복궁 내 자경전의 뒤편 담장에는 십장생과 함께 여러가지 문장을 새긴 굴뚝이 있는데요, 다음 문양들 중 십장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모두 골라라

해, 박쥐, 거북, 대나무, 돌, , 물, 불가사리

2.8 8단계

경운궁의 바뀐 이름인 이 궁은?

1.창경궁
2.운현궁
3.경희궁
4.덕수궁

2.9 9단계

고종 황제가 즐겨마신 차로 가배 또는 양탕국이라고 불린 차는?

1.우롱차
2.보이차
3.커피
4.쌍화차

박명수는 여기서 10단계까지 찬스 두 번을 쓰고 쉼없이 갔으며[3] 중간에 정형돈이 나왔으나 MC찬스만 쓰고 바로 길과 태그.

2.10 10단계

다음 사건을 역사적 순서대로 나열하여라

1.아관파천
2.대한제국 선포
3.헤이그특사 사건
4.을미사변
A : 4-1-2-3(1895년 을미사변, 1896년 아관파천, 1897년 대한제국 선포, 1907년 헤이그특사 사건)

10단계를 가까스로 맞힌 길이 바통을 노홍철에게 넘겨준다.

2.11 11단계

대한제국 시절 고종이 다과를 들거나 연회를 열고 음악을 감상할 목적으로 경운궁 안에 지은 곳은?

A : 정관헌

막판에 정관헌낙선재를 헷갈린 역적노찌롱 때문에 11단계에서 도전이 종료되면서 (11단계 정답은 정관헌) 멤버들이 노홍철을 비난하는 와중에 MC 유가 결국 한 번도 나오지 못한 전진을 배려해 마지막 12단계 문제를 냈는데...

2.12 12단계

현재 창덕궁 안에는 영친왕의 일본인 부인 이방자 여사가 살았던 집이 있다. 고종의 딸 덕혜옹주도 일본에서 돌아와 여생을 이 곳에서 보내기도 했는데, 일제 강점기 이후 나라를 빼앗긴 황실가족이 살았던 비운의 집은 어디인가?

A: 낙선재

전진이 이 문제를 맞히는 바람에 노홍철은 더더욱 욕을 먹어야 했다. 여기서 길이 4주 연속으로 얼굴 비친 까닭에 격렬한 토론(?)이 오갔다만...
  1. 퀴즈 사이사이에 1주일 전의 촬영분을 플래시백 형식으로 집어넣은 것도 영화의 패러디.
  2. 노홍철의 은사이기도 하다
  3. 여기서 인터넷 찬스는 100초 안에 사무실에 올라가서 검색을 하는 찬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