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의 수학자 존 네이피어가 '로그'와 '로그표'를 만들면서 같이 발명한 계산도구
막말로 '구구단을 기록해놓은 막대기'라는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계산의 편의성을 확 올려주었다.
대충 아래 표의 각 세로줄을 따로따로 뽑아서 쓸 수 있게 되어있다고 보면 되는데
1 | 2 | 3 | 4 | 5 | 6 | 7 | 8 | 9 |
0/2 | 0/4 | 0/6 | 0/8 | 1/0 | 1/2 | 1/4 | 1/6 | 1/8 |
0/3 | 0/6 | 0/9 | 1/2 | 1/5 | 1/8 | 2/1 | 2/4 | 2/7 |
0/4 | 0/8 | 1/2 | 1/6 | 2/0 | 2/4 | 2/8 | 3/2 | 3/6 |
0/5 | 1/0 | 1/5 | 2/0 | 2/5 | 3/0 | 3/5 | 4/0 | 4/5 |
0/6 | 1/2 | 1/8 | 2/4 | 3/0 | 3/6 | 4/2 | 4/8 | 5/4 |
0/7 | 1/4 | 2/1 | 2/8 | 3/5 | 4/2 | 4/9 | 5/6 | 6/3 |
0/8 | 1/6 | 2/4 | 3/2 | 4/0 | 4/8 | 5/6 | 6/4 | 7/2 |
0/9 | 1/8 | 2/7 | 3/6 | 4/5 | 5/4 | 6/3 | 7/2 | 8/1 |
사용법의 예시를 들어보면
한 사람이 하루 3끼를 먹는다고 했을때, 1년(=365일)간 먹는 끼니 수를 계산한다고 하면
그냥 곱셈을 하려한다면 각 자릿수마다 3을 곱하고, 거기에 자릿수를 적용해 더한다. 는 과정이 필요한데.
네이피어 계산봉의 경우는
각 자릿수에 맞춰 계산봉을 늘어놓고.
거기서 곱해야 할 수(3)번째 칸을 찾은 뒤.
각 칸의 앞자리와 뒷자리를 더한다.
는 간단한 방법으로 가능해진다.
3 | 6 | 5 |
0/6 | 1/2 | 1/0 |
0/9 | 1/8 | 1/5 |
1/2 | 2/4 | 2/0 |
1/5 | 3/0 | 2/5 |
1/8 | 3/6 | 3/0 |
2/1 | 4/2 | 3/5 |
2/4 | 4/8 | 4/0 |
2/7 | 5/4 | 4/5 |
답 1095
작은 숫자일때는 봉을 뽑아 나열하는 시간에 암산하는게 빠르겠다 싶겠지만, 숫자가 커질수록 드는 수고에 비해 효과는 커지기에, 상인들에게 크게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