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ton–Raphson method
1 개요
미분가능한 함수 f:[a,b]→R에 대해 x에 대한 방정식 f(x)=0의 근을 구하는 알고리듬
구간 [a,b]에서 임의로 원소 x0를 택하고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정의한다.
- xn=xn−1−f(xn−1)f′(xn−1)
그러면 특정 조건 하에서는 극한값 limn→∞xn이 존재하고 그 극한값이 방정식의 근이 된다.
2 예시
1. √2의 근삿값 구하기
√2는 방정식 x2−2=0의 한 근이다. f(x)=x2−2로 놓으면 f′(x)=2x이므로 점화식은 다음과 같다.
- xn=xn−1−xn−12−22xn−1
x0=2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n | xn | xn2−2 |
0 | 2 | 2 |
1 | 1.5 | 0.25 |
2 | 1.41666666666667 | 0.0069444444 |
3 | 1.41421568627451 | 6.00730488287127E-06 |
4 | 1.41421356237469 | 4.51061410444709E-12 |
- 근에 빠른 속도로 수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 ex−5x−13=0의 근의 근삿값 구하기
{f(x)=ex−5x−13f′(x)=ex−5로 놓자.
그러면 점화식은 다음과 같다.
- xn=xn−1−exn−1−5xn−1−13exn−1−5
x0=2.5라 하면
n | xn | |ex−5x−13| |
0 | 2.5 | 13.3175 |
1 | 4.3541618151241957988511789941322 | 43.030776811062596188056120322497020 |
2 | 3.7630925920163304376431444439869738 | 11.265990571927481514206244917402415032 |
3 | 3.4672532915952495618147864796317871818 | 1.712326841620949317395497471413015541809 |
4 | 3.40394771327349450824407029106235922737880 | 0.0628849509258462182263701163275309881038890 |
5 | 3.401440601093522986200834613223549883787152058 | 0.00009446488073375744283276244278720823295292082 |
6 | 3.4014368236009392407427035232821017243471934192803 | 2.14093549169697551824648081631141180381787×10^-10 |
7 | 3.40143682359237795898632530877173633488429622077225499 | 1.0996964616094947860323883001994399×10^-21 |
8 | 3.401436823592377958986281333550199112038679107111090952638 | 2.901424803461507×10^-44 |
3 주의할 점
- 초기값을 설정하는데 공을 들일 필요가 있다. 영 좋지 않은 초기값을 선택하면 근을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될 수 있음은 물론, 값이 수렴하지 않고 발산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