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가시치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crimson;padding:12px"
{{{+1 경고. 이 생물은 독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 다루는 생물은 독을 가지고 있어 섭취하거나 접촉할 경우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한글명칭: 독가시치
방언: 따돔, 따치(제주)
학명: Siganus fuscescens

우리나라 남해안에 주로 분포하는 아열대 어종이다. 과거에는 제주도 연안에만 분포했으나 최근 해수온도 상승으로 인해 남해안에도 종종 출몰하는 편. 거제도쪽에는 이미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농어목 독가시치과에 속한다. 아열대 어종답게 얼룩덜룩한 무늬가 인상적이다. 사막용 위장복 대부분의 농어목 물고기처럼 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에 가시(극조)가 있는데 이 가시에 독이 있다. 따라서 찔리면 상당한 고통을 수반한다. 영어로는 Rabbiifish라고도 부르는데 생김새가 토끼를 닮기도 했고 식성(초식성)이 토끼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난류성 어종이라 그런지 주로 여름과 가을에 잡히는데 초보 낚시꾼도 비교적 편하게 잡을 수 있는 어종이다. 다만 바늘을 빼려고 아가미를 잡다가 가시에 찔리는 경우가 태반일 뿐 돔을 비롯해 많은 어종은 미끼를 물면 바닥으로 내려가 돌 틈에 틀어박히려는 습성을 보이는데 반해 독가시치의 경우 조금만 끌어당겨도 수면 가까이로 떠서 도망가려고 하는 습성을 보여 바위에 낚시줄이 쓸려 끊어지거나 바위틈에 박혀버릴 염려가 적기 때문이다. 걸리면 도망치려 사방팔방으로 상당히 정신사납게 움직인다. 낚시대에 전해지는 따따따따하는 움직임 때문에 따치라고 농담삼아 말하기도 한다. 낚시꾼들이 취급하는 모습을 보면 상당히 안습한데 독가시에 찔리지 않으려고 발로 밟아놓고(...) 바늘을 빼는 경우가 태반이기 때문이다

피 비린내가 아주 강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내장부위에서 냄새가 심하게 나는데 흙냄새 비슷한 역한 비린내가 난다. 어느 정도냐면 독가시치 피 한 방울이면 하루종일 온 집안에 비린내가 가시지 않는다. 낚시꾼이 따치를 잡는 경우 머리와 내장을 제거하고 이 과정에서 내장 잘못 건드리면 말짱 도루묵 살림망에 몇 시간을 쳐박아 두어 피를 빼는 경우가 태반이다. 잡어 취급이라 잡아도 가져가지 않고 방류하는 경우도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지방에서 식용한다. 제주시의 백선 횟집이 독가시치 회의 원조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육지, 특히 독가시치를 공급받을 수 있는 남해안에서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다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비린내 때문에 처리를 잘해야 한다. 회 자체의 향이나 맛은 그닥이지만 질기다고 해도 좋을 정도로 식감이 강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별미 대접을 받는다.
오키나와나 홍콩같은 아열대 기후대에서는 꽤 즐겨 먹는 생선인데 오키나와에서는 새끼 독가시치로 담근 젓갈이 유명하고 홍콩에서는 기름을 끼얹으면서 익히는 광동식 생선찜으로 즐겨 먹는다.

폭스페이스(Foxface)라는 이름의 독가시치도 있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독가시치의 근연종(속이 같다)으로 화려한 색상과 유순한 성격, 무엇보다 이끼를 먹어치우는 식성 때문에 관상어로 인기가 있다. 특히 산호 수조에서 많이 기르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