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본류

1 개요

일본의 정치 용어. 일본에서 평화헌법 유지, 대미협력외교, 경제성장에 정치의 중점을 두는 보수진영의 노선.

2 배경

일본은 2차세계대전에서 패전한 이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1]이 맺어지기까지 미군정(GHQ)에 의하여 점령통치를 받게 된다. 미군정은, 일본에서 군국주의가 재발하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 ① 민주주의 정책의 도입과 ② 무장해제에 중점을 둔 정책을 펼친다. 이 과정에서 토지개혁, 재벌해체, 정치개혁 등이 이루어 졌다. 이와 함께 전쟁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을 공직에서 추방하는 이른바 "공직추방령"이 실시되었는데 , 이 때에 대부분의 정치인들이 자리를 잃었다.
이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통해 일본이 미군정으로부터 독립하면서 동시에 공직추방령이 해제되었다. 그러자 점령통치 기간 동안 정치권에서 내 쫓겼던 정치인들이 정치계로 복귀하게 되었다. 이 정치인들은 과거의 영광을 되찾고 싶었던 것인지, 역코스(쉽게 설명하자면 유턴) 노선을 선택하게 된다.
즉, 평화헌법은 미국에 의해 강제로 성립된 헌법이므로 바꿔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일본이 자체적으로 군대를 보유하여 스스로의 안보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국민들의 반대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얼마 전에 있었던 평화헌법 개헌 반대 시위가 "일본 답지 않은 모습"이라며 많은 주목을 받았듯이, 역코스에 대한 당시 일본 국민들의 반응 역시 뜨거웠다. 1960년대의 안보투쟁이 바로 그것이었다. 일본 국민들의 입장에서 보면 기존의 청일전쟁처럼 다른 나라에 침략하여 전쟁을 하고 큰 돈을 만졌던 것과는 달리, 일본 본토에서 일어난 일방적인 핵무기 피폭이나 물자 부족으로 인한 굶주림, 미군 비행기의 공습 등을 겪고 우여곡절 끝에 얻어낸 평화헌법과 민주주의였기 때문에 그것을 잃는다는 것은 생각하기도 싫었을 것이다.
결국에 보수진영에서는 국민들의 반대가 커지자 정치인으로써의 힘을 잃을 것이라고 우려한 탓인지 "보수본류"로 되돌아가겠다고 선언하게 된다.
  1. 1952년 4월 28일 발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