雨森芳洲(あめのもりほうしゅう)1668년~1755년 에도 시대에 활동했던 일본의 유학자이자 외교 통역관 겸 한국어학자. 당대의 유명한 친한파/지한파 일본인이다.
1 생애
현재의 시가현에 해당하는 오미 국에서 태어났다. 일족인 아메노모리씨는 지역의 영주였으나, 오다 노부나가 휘하의 도요토미 히데요시군에게 큰 피해를 입고 몰락하고, 그의 아버지는 생계를 위해 무사에서 의사로 전업하게 된다. 그의 친한 성향은 조선침략의 원흉인 히데요시가 개인적으로도 집안의 원수인 영향도 큰 것으로 보인다. 가업을 잇기 위해 교토에서 의학을 공부하다가 주자학자인 기노시타 준안의 문하생으로 들어가 유학자의 길로 진로를 바꾼다. 이 시절 그의 동문이자 평생 절친이며 쇼군 보좌역까지 출세하게 되는 아라이 하쿠세키를 만나게 된다. 기노시타 준안의 추천으로 쓰시마에서 일자리를 얻게 되었고 그곳에서 대조선 외교문서 작성등의 업무를 맡게 된다. 동시에 나가사키에서 중국어를 습득하기도 했다. 쓰시마에서는 이후 조선통신사 관련 업무 및 외교문서등을 책임지는 조선방좌역(朝鮮方佐役)이라는 직책을 맡아서 조선담당 외교에서 활약했다. 조선통신사들이 남긴 기록에서는 우삼동(雨森東)이라는 명칭으로 등장하며, 인품이나 학식의 측면에서 호평받은 인물이었다.
2 일본 조선어학의 토대를 닦다
호슈는 나가사키에서 중국어를 직접 습득함으로서, 완전히 일본화되어 있던 훈독 한문이 아니라 원어를 배워서 소통했기 때문에 필담이 아니라 직접 조선인,중국인들과 교류할 수 있었고, 외국어에 조예가 깊었다. 조선방좌역으로 부산으로 건너와 차왜(差倭)로 활동할 때는 조선어를 학습했을 뿐더러 당시 양반들은 천시하던 언문(한글)에도 호기심을 가지고 물어가면서 익혔다고. 그는 당시 조선의 일본어 학습교재인 왜어유해(倭語類解)의 개정 증보 등의 편찬에 원어민으로서 협력했고 그 이전까지 체계적인 교재가 없었던 조선어 학습을 위해서 교린수지(交隣須知)라는 이름의 교과서를 지었는데, 이 교재는 메이지 이전까지 조선어 교재로 계속 사용되었고, 쓰시마에서의 관직에서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갔을 때도 조선어학교를 지어 많은 조선어 역관을 양성했다. 한국인이 일본어 배울 때 자주 하는 실수등에 대해서도 언급한 적이 있는데, 한국인은 어두 유성음을 잘 발음 못한다고 깠지적한 것 등은 지금도 유효한 팁이다.
3 아라이 하쿠세키와의 관계
동문인 아라이 하쿠세키와는 사적으로는 매우 절친이었지만, 호슈가 친한성향의 유학자라면, 아라이 하쿠세키는 자국(일본)중심주의적으로서 다소 혐한적인 인물이어서 대조선외교 정책에서 대립한 적이 있다. 아라이 하쿠세키는 쇼군(도쿠가와 이에노부)의 정치고문(하토모토)으로 발탁되어 조선통신사 접대의 간소화를 주장했고, 특히 종래에 일본 쇼군을 일본국대군(大君)으로 호칭하던 것을, 일본국 국왕(國王)으로 바꿀 것을 주장했는데, 이것은 실권의 쇼군과 상징의 덴노로 이원화된 가운데 쇼군과 조선국왕의 호칭을 같게 함으로서 덴노가 조선국왕보다 위라는 것을 어필하려는 의도였다. 호슈는 이에 대해 반대했으며, 하쿠세키 사임이후에는 종래대로 돌아갔다. 다만 하쿠세키는 유학 이외에도 역사 지리 등 서양 사정에도 매우 박식해서 조선통신사와의 말빨에서 결코 꿀리지 않았으며, 조선의 지리나 서양사정에 대한 무관심,무지함을 들어 깐 적도 있다. 호슈는 변방인 쓰시마를 벗어나 중앙에서 좀 더 출세하고 싶은 욕구가 있었던 듯하며 학연인 하쿠세키는 그의 힘이 되는 인맥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아라이 하쿠세키는 결국 자신의 뜻을 펼치지 못한 채 물러났고 호슈는 이에 많이 상심한 듯하다.
4 에피소드
- 온화하고 조선에 우호적인 사람이었지만, 조선인들이 일본이라는 이름대신 왜(倭)라고 부르는 데 대해서 못마땅해 했다. 통신사와의 대담에서 캐물은 적이 있다.[1]
- 통신사 신유한과의 대담에서 당시 일본에서 유행하던 남색(동성애)에 대해서 음양이 조화가 되야 이치인데 양과 양이 이끌린다니 해괴하지 않느냐고 따져 물었더니 학사께서 아직 그 즐거움을 모르시는구려
니가 아직 아직 맛을 못 봐서 그래라고 웃으면서 대꾸했다고 한다. 흠좀무
- ↑ 거꾸로 조선통신사들도 "너네는 왜 자꾸 우리 부를 때 가라진(唐人), 가라진 이러냐? 우리가 뭐 중국 짝퉁인 줄 아냐?"라고 따졌는데 아메노모리는 "우리는 좋고 훌륭한 것에는 다 가라(唐)라고 이름붙이거든요?"라고 답했다. 사실 일본어에서 한(韓)과 당(唐)은 발음이 똑같이 '가라'로 나는데 이는 과거 일본이 가야(가라)와 교류가 가장 활발했던 것에서 기인한다고. 현재도 일본에 가라(唐)라는 지명이 붙은 곳 가운데 원래 가라(韓)를 한자로 쓰다가 나중에 와서 바뀌었거나 한반도계(주로 가야) 도래인들이 와서 살았다고 여겨지는 곳이 제법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