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스온라인/B-Gear

B-Gear
Brandy burg(브랜디 버그)
공대공 능력과 공대지 공격 능력을 겸비한 전진형 기체이며
강력한 범위 공격 능력을 가진 폭격기입니다.
스텟 비율[1]
공격방어회피연료정신쉴드
333333
에이스온라인 타 기어 일람
A-GearI-GearM-Gear

1 개요

B-Gear는 스텟이 모두 3으로 아주 골고루 이루어져있으며 주 스텟으로 공격, 방어, 회피로 공대공 능력과 공대지 능력에 특화된 폭격기이다. 기어를 처음 선택하면 바로 보이는 기어이며, 스텟도 골고루 이루어져 있어서 마치 초보전용 기어처럼 보이겠지만 아니다. 자세한 사항은 '세력전에서' 부분을 참고.

2 특징

2.1 기본무기

B-Gear는 대부분 기본무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똑같이 고급무기를 주로 사용하는 I-Gear와 비슷하지만 B-Gear에게 입지가 좁은 이유는 I-Gear는 1:1 대전에 유리하고 적을 공격하기 위해 락온[2]을 해야 한다. 이 락온은 기본무기를 들어야만 하므로 I-Gear에게 기본무기는 도움을 주는 수단이지만 B-Gear에겐 그렇지 않다. 일단 지상폭격, 공중폭격은 주 스킬인데 활성화한 상태로 발사된 미사일은 적을 락온하지 않아도 적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비지블이라는 위장 스킬이 있고 적이 자신을 락온하면 대부분 난 널 흠씬 두둘겨 패서 네놈의 킬마크[3]를 챙겨갈거야라는 일종의 신호이며 의도가 그렇지 않더라도 상대는 그렇게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적에게 들키지 않고 몰래 폭격하는 것 또한 B-Gear의 특징이다. 때문에 아예 기본무기를 빼버리거나, 착용하더라도 중량 감소 인챈트[4]를 하여 착용한다. 특히 접두사 접미사까지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붙여서 100%를 넘게 되면 중량이 음수가 되는 즉 착용시 오히려 더 가벼워지는 무기가 탄생된다. 중력을 거스르는 무기

2.2 고급무기

%B9%AB%C1%A6-1_%BA%B9%BB%E7.png[5]]
바우. 바우 하나면 준비 끝.

바우는 전체적인 성능을 보면 그야말로 우주적으로 쓰레기 무기이다. 회전각도 40도이며 재공격 시간마저 2초에 겨우 두 발만 발사해 인챈트와 접두사 접미사 없는 바우의 초당 공격력은 발당 공격력의 반토막이다. 심지어 속도도 200m/s로 100레벨 이상의 전장에서 600m/s의 속도로 하늘을 질주하는 전투기가 그보다 더 빠른 속도로 쫓아오는 미사일을 요리조리 피하는 수준의 플레이어가 판을 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절대 일반적인 무기로 쓸 수는 없다. 이런 구린 성능때문에 다른 기어에겐 별 볼 일 없는 무기. 하지만 이 바우를 B-Gear가 드는 순간 대 학살 무기로 재탄생되는데, 그 이유는 일단 발당 공격력이 가장 강력하다. 동레벨 무기들중 발당 공격력이 바우보다 높은 무기는 거의 없다고 할 정도. 특히 B-Gear의 지상폭격과 공중폭격시 멀티샷이 추가되는데, 이 멀티샷은 미사일 발사시 한 회에 발사하는 미사일의 양을 늘린다. [6] 때문에 바우는 B-Gear만의 전용 무기가 되었고, 물론 바우처럼 호크, 노임 (호크류 신무기)처럼 미사일을 하나씩 여러번 발사하는 무기를 사용시 그 빛을 톡톡히 해낸다. 미사일에 피닉스 이펙트 입히고 지상폭격하면 욕먹는다고 한다.[7]

3 기어운용

3.1 사냥터에서

지상폭격으로 쓸어다닌다. 웬만해서는 바우 끼기만 한다면 한방은 무조건 나오므로 타 기어중 레벨업 속도는 무섭게도 빠르다. 그것이 어느정도 빠르냐면, 한달도 채 되지 않아 100 레벨 달성이 가능하다. 혼돈의 사막, 오염된 구역, 폐허의 도시를 한번 가보자. 가끔 거기서 사냥중인 B-Gear 플레이어가 공중 몹이든 지상 몹이든 가까이 가서 청소하듯이 쓸어버리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3.2 세력전에서

B-Gear는 M-Gear, A-Gear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대기샷[9]이 가능한 기어이다. 바로 B-X라는 유니크 엔진덕에 가능한데 이 X시리즈 엔진은 기어별로 존재한다. 엔진 성능은 기어별로 다른데, 그중 B-X는 기본속도 최고속도 100, 최저속도 0이다. 회전각도 낮아서 회전이 엄청나게 느린데 뭐가 특별하다냐는 말에 대답을 하자면 바로 최저속도. 최저속도가 0이라는것은 쉽게 말해서 그 자리에서 정지된 상태를 의미한다. 세력전이 일어날 경우 많은 B-Gear가 워프 앞에서 정지한 채로 공중폭격을 하는 것이 바로 B-X를 착용하고 있기 때문이다.[10]

3.2.1 vs B-Gear

눈치싸움
과거에는 롤링을 해도 폭격시 미사일을 피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그냥 먼저 공격하는 놈, 특히 강한 놈이 이겼으나 폭격시 발사된 미사일이 롤링으로 회피가 될 수 있게 된 이후에는 롤링을 얼마나 제대로 사용하느냐, 그리고 공격을 어느 타이밍에 꽂아넣느냐로 그야말로 B-Gear간의 눈치 대결이 성립된다. 일반적인 B-Gear의 1:1 전투의 경우는 다음처럼 이어진다.
  1. 폭격 기술을 열고 먼저 폭격한다.
  2. 상대도 똑같이 나를 향해 폭격하므로 폭격 미사일을 피하기 위해 롤링한다.
  3. 상대가 격추당하지 않았다면 상대는 내 뒤쪽에 있으니 뒤로 회전한다.
  4. 똑같이 폭격 기술로 폭격한다.
  5. 2부터 반복.
이러한 전형적인 싸움 때문에 일부 B-Gear 플레이어는 폭발 반경을 늘리는 바우를 사용하거나, 재공격 시간을 50% 이상 낮춘 바우를 사용한다. 전자의 경우는 폭발 반경이 넓으면 그만큼 상대는 롤링을 더욱 정확한 타이밍에 노려야 한다. 너무 빠르면 바우의 뒤쪽 판정에 맞고 그렇다고 늦게 하면 롤링 하기도 전에 전면으로 맞기 때문. 후자의 경우는 롤링의 재사용 시간은 3초인데 바우는 기본 재공격 시간이 4초이며, 여기서 50% 이상 감소되면 2초가 된다. 즉, 롤링을 하지 못하는 나머지 1초가 남을 때 바우가 정확히 장전되므로 그 틈을 노려서 공격을 하는 식이다. 물론 상대가 방어형, 회피형 둘 중 하나라면 상대가 바우에 맞을 수는 있겠지만, 높은 방어력으로 공격력이 두자리 수 이하로 떨어지거나, 아예 흠집조차 나지 않을 수 있다. 때문에 B-Gear는 대부분 공격형 아머보다 방어형, 회피형 아머를 착용한다. 심지어 스텟마저 방어형이나 회피형으로 갈아타는 경우도 있겠지만 그 경우에는 공격력이 낮으므로 그만큼 사냥에도 불리하고 전장에서 킬을 잘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 vs A-Gear
  • vs I-Gear
  • vs M-Gear

4 스킬

B-Gear가 습득할 수 있는 스킬의 목록이다.
B-Gear의 주 공격 스킬로는 수평 기준 약 45도 하단으로 미사일을 쏟아붓는 '지상폭격'과 전방으로 미사일을 발사하는 '공중폭격이 있으며 보호 스킬로 자신이 받는 피해를 대신 흡수해주는 체프 사출, 쉴드에 맞는 피해를 조금이나마 줄여주는 리듀스 데미지가 존재한다. 또한 자신의 몸을 숨겨 적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되는 특수 스킬 인비지블, 자신의 에너지양만큼의 피해를 주어 자폭하는 필살 스킬 빅붐이 존재한다. 자세한 부분은 아래 참고.

4.1 파이어샷

a41f.png
공격형 스킬로 즉시 시전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9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9레벨 이후부터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전 기어 공동 스킬로 기본무기 착용시 사용할 수 있으며 기본무기의 공격력을 증가시켜준다.

4.2 미사일샷

jrdz.png
공격형 스킬로 즉시 시전 스킬이다. 미션으로 얻을 수 있는 스킬[11]로 기어의 레벨 13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9레벨 이후부터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전 기어 공동 스킬로 고급무기 착용시 사용할수 있으며 고급무기의 공격력을 증가시켜준다.

4.3 지상폭격

zr50.png
공격형 스킬로 발동마다 켜고 끌 수 있는 토글 스킬이다. 미션으로 얻을 수 있는 스킬[12]로 기어의 레벨 20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9레벨 이후부터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B-Gear의 상징. 수평 유지 기준 하단 45도 아래로 미사일을 퍼붓는다. 추가로 멀티샷과 고급무기의 공격력, 그리고 폭발 반경이 증가한다. 미사일의 거리와 유도각은 전혀 상관없이 발사한다.

4.4 멀티타겟

myaq.png
공격형 스킬로 발동마다 켜고 끌 수 있는 토글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25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8레벨 이후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미사일의 멀티샷 개수만큼의 몬스터들에게 동시 발사한다.

4.5 차징샷

i3kf.png
공격형 스킬로 시전 뒤 발동할 수 있는 에너지 차징형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15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6레벨 이후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기본무기의 공격력을 극대화시켜 기본무기 사용시 발사할 수 있다. 적용받는 무기는 오로직 최초 발사시 첫 발이므로, 발당 공격력이 낮으며 연사력이 높은 기본무기로는 효능이 별로 없다.

4.6 공중폭격

tdvd.png
공격형 스킬로 발동마다 켜고 끌 수 있는 토글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50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7레벨 이후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B-Gear의 제 2 상징. 전방으로 미사일을 발사한다.

4.7 집중

fc5c.png
공격형 스킬로 즉시 시전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20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7레벨 이후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전 기어 공동 스킬로 기본무기와 고급무기의 확률을 증가시킨다. 7레벨 이후부터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4.8 디펜스업

ox5t.png
방어형 스킬로 즉시 시전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20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7레벨 이후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전 기어 공동 스킬로 기본무기와 고급무기에 대한 방어력을 증가시킨다. 7레벨 이후부터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4.9 이베이전

xz5g.png
방어형 스킬로 즉시 시전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20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7레벨 이후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전 기어 공동 스킬로 기본무기와 고급무기에 대한 회피율을 증가시킨다. 7레벨 이후부터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4.10 리듀스 데미지

ri62.png
방어형 스킬로 즉시 시전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18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9레벨 이후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B-Gear와 I-Gear 공동 스킬로 받는 실드 피해를 일부 흡수시킨다.

4.11 체프 사출

elaa.png
방어형 스킬로 즉시 시전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50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7레벨 이후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B-Gear만의 피해 흡수 수단으로 일정 체력을 가진 체프를 사출시켜 적으로부터 받는 피해를 체프가 대신 흡수해준다. 2분마다 쓸 수 있는 S급 쉴드회복킷. 이 체프를 켠 뒤에는 에너지와 쉴드를 빠르게 회복이 가능하기에 리듀스 데미지와 함께 B-Gear의 생존율을 높혀주는 스킬이라 할 수 있겠다.

4.12 백무브마하

ud78.png
에어형 스킬로 즉시 시전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30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하지 않는 스킬이다.
B-Gear와 I-Gear 공동 스킬로 기어가 순간 뒤로 이동하는 스킬. 시전중에는 스킬을 시전할 수 없으나, 공격은 가능하다.

4.13 턴어라운트

5hlv.png
에어형 스킬로 즉시 시전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30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최종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하지 않는 스킬이다.
B-Gear와 I-Gear 공동 스킬로 기어가 순간 180도로 회전하는 스킬. 시전중에는 스킬을 시전할 수 없으나, 공격은 가능하다.

4.14 인비지블

drvm.png
속성형 스킬로 발동마다 켜고 끌 수 있는 토글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45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습득시 특수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습득 즉시 마스터할 수 있다. 발동중에는 스킬과 공격을 사용할 수 없다.
B-Gear의 특수 스킬로 밥줄 회피기. 초반 사용시 이펙트가 생기며, 이펙트 뒤에 스킬이 발동된다.

4.15 빅붐

xlol.png
속성형 스킬로 시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이다. 기어의 레벨 70레벨 이후 습득이 가능하며, 습득시 필살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하며, 강화시 필살 스킬 개방 카드를 요구한다.

B-Gear의 필살 스킬로 일정 범위 내[13]에 현재 자신의 에너지만큼의 피해를 주어 자폭한다.
  1. 볼드체는 주 스텟으로, 해당 기어가 착용하기 위한 엔진의 요구 스텟이 된다.
  2. 즉 표적을 두는 것
  3. 상대 세력의 플레이어를 죽이면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레벨마다 계급이 다르며 그 계급에 따른 킬마크를 얻는다. 킬마크는 컴퓨터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4. 개임 내에서 흔히 중량챈이라 한다. 무기의 무게를 줄여 부스터 및 속도 제한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5. 위 그림은 바우중 가장 최상위에 있는 110레벨에 착용 가능한 바우 리비젼이다. 인챈트도 공격력 증가 인챈트를 13번이나 하였으므로 정통으로 맞으면 발당 낮아도 2천 ~ 3천을 웃돌 수 있다.
  6. 정확히 말하자면, 미사일 무기중 공격력 란에 (a X b) 형태로 존재하는데, 멀티샷은 b 부분을 추가한다. 바우는 2 X 1, 즉 미사일 하나를 두번 발사하는데 여기에 멀티샷이 4개 붙으면 2 X 5, 미사일 다섯개를 두번 발사하게 된다.
  7. 물론 이펙트중 피닉스가 가장 화려하고 큰 이펙트로 손꼽히기 때문에 그만큼 렉을 크게 유발하고 시야마저 차단시켜버리는 역할이 있다.
  8. 2015년 2월 12일날 패치로 인해 워프에서 나온 뒤 3초간 무적이 발동되도록 변경되어 더 이상 대기샷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도 그 의미를 알고싶으면 읽어보자.
  9. 워프 앞에서 공격하여 적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흔히 대샷이라 불리운다.
  10. 물론 일부는 B-X를 구하지 못해 최저속도 0을 가진 기어 (특히 M-Gear)와 편대를 이루기도 한다
  11. 세력 선택 전 9레벨 미션 비정한 총구
  12. 바이제니유 20레벨 미션 무모한 용기
    알링턴 17레벨 미션 계곡에 부는 바람
  13. 1레벨 반경 80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