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안산중학교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파일:01[1].jpg|20px]] 여수시의 중학교 목록
여수중학교여수안산중학교여수무선중학교여수여선중학교여수여천중학교여수여도중학교여수문수중학교여수구봉중학교
여수율촌중학교여수충덕중학교여수화양중학교여수돌산중학교여수거문중학교여수중앙여자중학교여수개도중학교여수여양중학교
여수여남중학교여수삼일중학교여수여자중학교여수웅천중학교여수종고중학교여수진남여자중학교여수진성여자중학교여수돌산중앙중학교
여수거문중학교 초도분교여수여남중학교 화태분교여수여남중학교 안도분교여수화양중학교 화양남분교
여수안산중학교
YEOSU ANSAN MIDDLE SCHOOL

교훈지혜로운 사람이 되자
개교2004년 4월 6일
유형일반계 중학교
성별남녀공학
운영 형태공립
교장김인수
교감이용주
학생 수676명
(2016년 기준)
교직원 수67명
(2016년 기준)
상징소나무, 철쭉, 청색
관할 교육청전라남도교육청
소재지전라남도 여수시 (장성4길)
홈페이지
{{틀:}}

1 개요

여수안산중학교는 전라남도 여수시 안산동에 위치한 일반계공립중학교 이다.

2 시설

건물은 두개로, 본관 후관으로 이루어진다.

본관에는

  • 1층에는 Wee클래스, 보건실, 보건교실, 행정실, 인쇄실, 교무실, 교장실, 방송실이 있으며 도덕, 역사 등 여러 수업실이 있다.
  • 2층에는 다울 도서관, 홈베이스, 탈의실이 있으며 한문, 국어, 사회 등 여러 수업실이 있다.
  • 3층에는 홈베이스와 탈의실이 있으며 진로, 한문 등 여러 수업실이 있다.
  • 4층에는 홈베이스와 탈의실이 있으며 과학, 영어, 수학 등 여러 수업실이 있다.

후관에는

  • 1층에는 시청각실, 급식실이 있으며 체육 수업실만 있다.
  • 2층에는 체육관, 컴퓨터실이 있으며 음악, 체육 수업실이 있다.
  • 3층에는 음악, 미술 수업실이 있다. 미술 수업실은 두 개 이다.
  • 4층에는 과학실만 세 개이다.

본관과 후관은 다리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데 그냥 건물이 이어져있다.
다리는 2, 3, 4층에 있다.

(학교가 꽤 복잡하다. 이유는...?)

3 학교 운영 방식

안산중학교는 교과교실제와 수준별교실제가 있다.
자유학기제도 실시 중이다.

3.1 교과교실제

교과교실제는 반마다 교과목에 대한 선생님이 있으시다.
다른 학교와는 달리 선생님들이 이동하지 않으시고, 학생들이 움직인다.

학교에 반이 여기저기 복잡하게 있는 것도 그 때문.

과학선생님반의 학생이라면 아침자습시간, 과학수업시간, 종례시간 빼고는 볼 시간이 많이 없다.

이 때문에 반에 물건을 놓고 다니면 물건이 잘 없어지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홈베이스에 사물함이 학년마다 다 있다.

2층엔 1학년 사물함, 3층엔 2학년 사물함, 4층엔 3학년 사물함 이렇게 말이다.

3.2 수준별교실제

수준별교실제는 시험의 점수마다 A반, B반, C반으로 나뉘어지는 것 이다.

이 때문에 A반의 몇몇 학생들은 B, C반의 학생들을 놀리기도 한다.

3.3 자유학기제

1학년에게만 실행되는데, 시험대신 평소의 수업모습으로 점수를 매기는 것으로 알고있다.

4 교가

500px

'학문의 요람' 이란 가사가 있지만 자음동화로 인해 '항문의 요람' 으로 발음 된다.
이 가사를 학생들은 웃어가며 더 크게 부르기도 한다.

5 교복/체육복

5.1 교복

5.1.1 하복

남녀 둘 다 별 차이는 없는 교복이다.
회색바탕에 빨강, 파랑, 검정색의 줄이 체크무늬를 이루고 있다.

5.1.2 춘추복

동복에서 마이를 벗으면 춘추복 ★완☆성★

5.1.3 동복

남자의 경우, 흰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메고, 고동색의 바지를 입고, 연한 갈색 ~ 진한 살구색의 조끼를 입는다.
마이는 진한 고동색이다. 그냥 거의 나무같은 느낌..?

여자의 경우, 흰 와이셔츠에 남자보다 조금 짧은 넥타이를 메고, 찐한 고동색의 치마나 바지를 입고, 연한 살구색의 조끼를 입는다.
마이는 연한 갈색이다. 좀 특이하게 다른 학교와는 다르게 흰색 스타킹을 신는다.

5.1.4 교복을 보고싶다면?

(카페 가입시 볼 수 있음) 이 곳에서 볼 수 있는데,
어떠한가 여자교복에서 '찐' 과 '연' 에 강조를 준 이유를 알겠는가?

글을 볼 수 없다면 초록검색창에 '안산중학교 교복'을 쳐보면 2008년도 글을 볼 수 있다.
아쉽지만 남자 교복은 나오지 않는다.

5.1.5 명찰

명찰은 두개로 나누어서 달 수 있는데 하나는 셔츠나 교복에 달려있는 천 명찰이고, 하나는 뺐다가 꼈다가 할 수 있는 플라스틱 명찰이다.

명찰의 디자인은 천 명찰의 경우, 흰 바탕에 검은색으로 이름을 쓰며 이름의 왼쪽엔 학교 마크가 있다.
그리고 위에는 학년별로 색을 넣어준다. 이름의 글씨체는 궁서체와 비슷하다.

플라스틱 명찰의 경우, 연한 회색바탕에 검은색으로 이름을 쓰고 이름의 왼쪽엔 학교 마크가 있다.
그리고 위에는 학년별로 색을 넣어준다. 이름의 글씨체는 굴림체와 비슷하다.

5.2 체육복

체육복은 학년마다 색이 다 다른데 2016년 1학년의 여름체육복은 디자인이 약간 바뀌었다.

2016년도 기준으로 체육복의 색은 1학년은 하늘색 파랑색이고, 2학년은 연두색 초록색이며, 3학년은 보라색 진보라색이다.
(명찰의 색도 이렇게 된다.)

5.2.1 하복

하복의 경우, 상의는 연한색으로 이루어지고, 하의는 진한색으로 이루어진다.
2016년 1학년의 하복은 좀 다르게 가슴쪽이 진한색으로 덮여있다.

5.2.2 동복

동복의 경우, 상의의 몸쪽은 연한색으로 이루어지고 팔은 진한색. 하의는 진한색으로만 이루어져있다.

5.2.3 춘추복?

딱히 춘추체육복은 존재하지 않으나, 학생들의 패션감각으로 입는다.
뭐 하복바지에 동복상의라던지 동복바지에 춘추교복의 셔츠위에 하복상의를 입는다던지...

여러가지로 입고 다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