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열역학 과정

1 정의

열역학 과정이란 열역학 제 1 법칙에 따라 기체가 외부의 환경에 영향을 받으면서 그 상태가 변화하는 과정이다.

2 배경

Q=Δu+W

위 식은 열역학 제 1 법칙을 나타내는 식으로 간단히 설명을 하자면,

  • Q는 열량이다.
  • u는 내부 에너지로, 어떤 기체의 분자들이 가진 운동에너지의 총합이다. 이때 uT(T:온도)인 관계가 성립한다.
  • W는 기체가 한 일의 양이며, WV인 관계가 성립한다.

이때 열역학 제 1 법칙에 따라 어떤 기체가 가진 열량은 그 물질의 내부 에너지와 그 기체가 한 일의 양의 합과 같다.

3 단열 과정

3.1 정의

단열 과정이란 열에너지의 출입 없이 일어나는 열역학 과정이다. 단열과정은 단열 팽창과 단열 압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단열 팽창은 기체의 부피가 늘어나면서 온도가 감소하고, 단열 압축은 기체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온도가 증가한다.

3.2 원리

단열팽창을 하는 기체의 부피는 늘어나기 때문에 기체가 한 일의 양 W는 양수(+)가 된다 [1]. 그런데 기체의 부피가 증가하는 동안 외부의 열은 차단되어 있었기 때문에 열량Q=0이여야 한다. Q 가 0이 되기 위해서는 Δu가 음수(-)가 되어야 하고, 위에서도 말했듯이 기 때문에 위에서 말했듯이 uT이기 때문에 Δu가 음수라면 온도의 변화량 역시 음수가 되야한다. 따라서 단열팽창을 하면 온도가 감소한다.

이를 정리해 보면 물체의 부피가 증가하면 내부에너지는 감소하며, 내부 에너지는 온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온도 역시 감소한다. 이것이 단열팽창 할 때 물체의 온도가 내려가는 이유이다. 단열 압축은 이와는 반대로 부피가 감소하고 온도가 상승한다.

4 등압 과정

5 등온 과정

6 등적 과정

  1. 이동 참고로 기체가 일을 했을 때의 부호는 (+), 기체가 일을 받았을 때의 부호는 (-)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