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사를 집전하는 사람
정의대로만 한다면 동양식 제사에서 그 제사를 주관하는 장남, 그리스도교의 사제[1], 전근대 중국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천자 등도 제사장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대부분의 경우는 '고대 사회의 제사장'에 가까운 뉘앙스로 쓰인다. 특히 고대의 제사장의 경우 제정일치 때문에 정치적 지도자와 겹치는 경우도 많다. 한국의 단군왕검 역시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는듯이 정치와 종교를 두루 관장하는 지배자였다.
또한 특이하게도 권력유지수단으로 제물을 이용하였다.
미디어 등지에서 나오듯, 보통 제사에는 희생용 제물이 필요한데, 제물의 선택은 겉으로는 신의 선택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제사장이 마음대로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재물 선택 기간이 되면 부족원들이 제물로 선택되어 죽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사로 잡히게 되고, 이를 이용해 공포심을 주어 충성을 이끌어 내는 방식으로 부족 내에서 권력을 유지했다. 어이없는것은 부족원들도 이를 은연중에는 알고 있지만, 여러 세대 동안 이어져온 오랜 전통이자 문화이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받아들였단 것이다. 따라서 제사장 제물 선택은 절대적인 권력을 보장하는 도구였다.[2]
1.1 유대교의 성직자
유대교에서 예루살렘 성전의 의식이나 전례를 맡아보는 사람을 일컫는 말. 히브리어로 코헨이라고 한다. 구약시대와 로마군에 의해 예루살렘의 대성전이 파괴되기전까지는 레위지파에서 사제직이 세습되었다. 이 제사장들의 우두머리는 대제사장/수석사제였는데 히브리어로든 코헨 가돌 혹은 코헨 가하돌이라고 한다. 수석사제는 대대로 아론의 후손들이었다.
1.2 그리스도교의 사제
그리스도교에서는 미사를 제사라고 부른다. 사실 이는 매우 당연한 논리인데, 그리스도교의 논리에 의하면 미사는 유대교식 제사를 그만두고 새로운 방법으로 절대자에게 제사를 지내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서기 1세기 당시 유대교에서는 파스카 축제때 빵+양+술의 조합으로 제사를 지냈는데, 예수는 최후의 만찬에서 양 대신 자기 자신을 제물로 하여서[3] 제사를 지낸다. 그리스도교는 예수의 이 제사 방법을 계승하였기에 미사를 제사라고 부르는 것이다. 신부들이 미사를 집전할때 쓰는 제대는 단순한 탁자(...)가 아니고, 사실은 제물을 올려놓는 자리이다. 즉 구약 시대였다면 양 한마리가 제물로 바쳐지는 자리에 해당한다. 사실은 인간과 함께 양들도 구원했다 카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