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철권
고스트(섀도우 캐릭터). 철권 5부터 서비스가 시작되어 철권 6, 철권 6 BR, 철권 태그 토너먼트 2에서 지원되는 시스템으로, 쉽게 설명하면 자신의 계정으로 CPU가 실제 유저와 대전을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1]
원조는 버추어 파이터의 고스트 시스템이다. 여담이지만 철권이 아직 5작품이 되었지만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의 고스트 시스템 AI[2]를 못따라오는건 사실.
대한민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이 시스템이 퍼진게 6부터인지라 흔히들 6부터 생겼다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사실은 5 시절에도 있었던 시스템. 다만 5시절 국내에 철권NET 연동이 안되었던지라 생성되었던 고스트는 모조리 자신이 플레이했던 했던 기판에만 남았다.
즉 고스트가 생성이 되더라도 6처럼 온라인에서 간단하게 받을 수 있는게 아니라 해당 기계에서 싸우고 획득하는 형태여서 현재보다 훨씬 불편한 형태. 설상가상으로 넷이 없었기 때문에 5나 5.1에 등록한 카드데이터를 6와 연동하는것이 힘들어졌었고, 그래서 유명유저들의 쉐도우는 전부 6 계열에서 생겼다.
만드는법은 카드를 구매한 뒤 카드에 캐릭터를 생성하면 철권넷에서는 이 캐릭터를 그대로 복사하여 보유하게 되는데 이것이 고스트가 된다. 참 쉽죠? 물론 캐릭터를 생성하기만 하고 사용하지 않으면 고스트도 게임상에 등장하지 않고, 반대로 말하면 카드 속에 내장된 캐릭터로 승수를 쌓으면 쌓을 수록 고스트가 더 자주 나온다는 것.
이렇게 만들어진 고스트는 해당 고스트의 주인의 패턴을 기억하여 재현한다. 따라서 계급에 따라 강력해지는게 아닌 원본 유저가 강하면 강할수록 고스트도 강력해진다.
이렇게 생성된 고스트는 네트워크가 연결된 오락실에서 비슷한 단수에 맞춰 등장하여 이 고스트 CPU가 플레이어를 꺾으면 해당 계정에 파이트머니가 들어온다. 철권 6 BR을 기준으로 보통 캐릭터는 2000골드, 6스테이지에 고정으로 등장하는 라스와 알리사는 400골드, 7스테이지에 고정으로 등장하는 노멀진은 200골드.
위에서도 설명했지만 5와 5DR때는 철권넷이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계 로컬상으로만 돌아가서 그다지 돈이 짭짤하게 들어오지 않았지만, 철권 6부터 네트워크가 지원되어 이젠 푸진급 이상 되면 고스트가 벌어오는 돈만으로도 상당한 양으로 돈에 쪼들릴 일은 별로 없다고 한다. 부익부 빈익빈.
- ↑ 이 덕분에 간혹 실제로 온라인 배틀이 지원되는 BEMANI 시리즈 게임과 헷갈리기 쉬우나, 엄밀히 따지면 DJMAX TECHNIKA 2의 크루레이스와 비슷한시스템이다.
- ↑ 철권의 고스트는 네임드의 고스트라 하더라도 그냥 보통 국콤을 잘 구사하는 정도에 잘 해야 해당 플레이어의 특징적인 패턴 등을 베끼는 정도에 그치지만, 버추어 파이터의 것은 이미 네임드의 손버릇이나 상징적인 저스트 기술까지 재현해내는 경지이다. 그래서 저런 고스트를 재페하는 모드를 할때 일본 유명 고수들 고스트의 난이도는 상상을 초월한다. 그래도 CPU인 이상 한계가 있기 때문에 미미하지만 헛점 역시 존재한다.
근데 한국엔 아케이드 VF5가 없으니깐 안될거야 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