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토기강


Collembola

1 특징

spring1.gif
몸 크기가 0.2~10mm일 정도로 엄청 작다. 몸이 작은 만큼 너무나 가벼워 물 위에서도 떠다닐 정도이다... 몸 색은 흰색, 회색, 노랑색 등등 다양하다. 더듬이는 4~6마디인데, 처음 3마디에는 내재근육을 갖고 있다. 눈은 퇴화되어 보이지 않는 수준이며 있다 하더라도 거미처럼 8개 이내의 낱눈을 가지고 있다. 구기는 침 형태이며 머리 안쪽에 숨겨져 있다.[1]

가슴은 3마디이나 일부 종의 경우 퇴화되어 있다. 다리는 4마디로 되어 있으며, 경절과 부절은 유합되어 경부절을 이루고 있다. 발톱과 내부발톱을 가지고 있다. 배는 6마디이지만 배 끝에 미모와 같은 부속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

배의 1, 3, 4마디 배판에 1쌍의 특수한 부속기가 있으며 5마디 째에는 생식구가 있다. 제1배마디와 배판에는 관 모양의 복관이 있는데 물 표면에서 활동하는데 도움을 준다. 제3, 4마디 배판에는 각각 보체와 도약기가 있으며, 도약기는 기부의 자루 마디와 치상돌기 및 끝마디 등으로 구성되는데 일부 종들은 그것이 없기도 한다.[2] 몸 표면은 대개 인편이나 털로 덮혀 있다.

2 생태

대부분이 서늘하고 습기가 있는 토양 속이나 부식물(낙엽, 썩은 나무 등) 또는 이끼 서식지 주변에 서식하며, 식물, 세균이나 균류, 화분, 동물의 분비물을 먹이로 삼는데 톡토기 강에 속하는 종 중 알톡토기과의 대부분이 살아 있는 식물을 가해하는 해충이다.

전세계에 분포하며 3600 여 종이 기록되어 있는데 국내에는 50 여 종이 분포한다.

3 곤충강과 다른 점

톡토기를 포함한 대다수의 무시아강의 하위 계통들은 최근까지 곤충강의 한 무리로 취급되었으나 여러 특징들을 통해 각각 독립적인 강으로 분리되었다. 톡토기의 경우 곤충과 달리 배마디 수가 4마디 이상 적다. 그리고 머리에 있는 눈은 곤충처럼 겹눈이 아닌 몇 개의 낱눈으로 되어 있고 가슴 마디가 유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또한 다리의 부절의 마디 수도 현저히 적다.

4 분류

collembola_0.jpg

톡토기강은 마디몸목과 둥근몸목, 그 이외의 다른 한 목으로 분류한다.
  1. 이런 특징 덕분에 내구강이라 불리기도 한다.
  2. 이 도약기를 이용해 벼룩이나 메뚜기들처럼 멀리 이동이 가능하여 미소 절지동물 중 가장 이동 범위가 넓은 생물들 중에 하나이다. 그리고 한번에 최대 75~100mm 이상을 도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