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로 섀플리



Harlow Shapley (1885년 11월 2일 - 1972년 10월 20일)

미국의 천문학자.
젊을 때의 모습과 늙었을 때의 모습이 아버지와 아들을 보는 느낌이다.

러셀의 제자, 허블의 상사, 르메트르의 스승으로 유명한 인물이며, 많은 업적이 있지만 사실은 다 제치고 단 하나의 이유로 기억되는 굉장한 인물이다.

1 업적

프린스턴에서 러셀[1]에게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르메트르를 지도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허블이 활약했던 윌슨산 천문대에서 허블의 상사로 있었다. 두 사람의 사이는 굉장히 안 좋았는데 이론적으로나 개인의 성격, 사상 모든 분야에서 갈등을 빚었던 것으로 유명하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광도 곡선을 바탕으로 거리 측정법을 연구하였으며, 거문고자리 RR 변광성으로부터 태양계의 우리 은하 내 위치를 찾은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커티스 - 섀플리 대논쟁이라는 유명한 천문학적 논쟁에 이름을 남긴 천문학자이다.문제는 졌다.. 그리고 허블을 갈군다. 사실 따지고 보면 진정한 승자는 따로 있지만...

관련 된 인물의 이름들도 어마어마하고 본인의 업적 또한 눈부시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건...

2 막나가는 전공 선택

대학 진학을 선택한 어린 섀플리는 언론 쪽으로 공부를 하고 싶었으나 마침 미주리 대학교에 언론 전공이 없어서 섀플리는 색다른 방법으로 전공을 결정하기로 하는데...

그 방법은 대학교의 팜플렛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전공을 선택하는 것(!!!)

그렇게 팜플렛을 펼치자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은 고고학이었다. 하지만 섀플리는 고고학의 스펠링을 읽을 수 없었고,[2] 계획에 실패한 섀플리는 다음에 있는 전공을 선택했는데, 그것이 Astronomy...

만약 섀플리가 고고학을 읽을 수 있었다면 역사가 바뀌었을 것이다.[3]

  1. 헤르츠스프룽-러셀 다이어그램의 그 러셀이다.
  2. 실제로 고고학 - Archaeology 을 읽지 못 하는 미국인은 굉장히 많다. 종종 미국 매체에서도 떡밥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시트콤이라거나 애니메이션에도 종종 나온다. 일상적으로 쓸 일이 있는 단어도 아닌데다가 발음을 어떻게 할지도 꽤 애매하며, 발음 자체도 좀 어렵다. 대충 '아키올로지' 정도로 읽으면 그럴싸하다.
  3. 이름은 별로 안 유명한 것 같지만 이 사람이 밝혀낸 것들이 전부 메이저 중의 메이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