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문서:앰프
1 개요
SONY PHA-1
헤드폰 앰프를 휴대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휴대용 기기들(스마트폰 등)의 경우 출력이 저임피던스의 헤드폰/이어폰(~32옴)에 맞춰 개발되었기에 일반적인 경우 출력이 부족하지 않다.
그러나 몇몇 임피던스가 높은 이어폰/헤드폰에서 사용하면 휴대용 기기가 최대로 출력할 수 있는 Vpp(Voltage Peak-to-Peak)가 낮고 전류 출력이 부족해 제대로 된 소리를 출력하기 힘들기 때문에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는 헤드폰 앰프에 내장된 Crossfeed(X-feed) 필터 등에 의해 더해지는 음색을 선호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는 스마트폰의 헤드폰/이어폰 볼륨이 유럽연합에 의해 상한 제한선[1]이 생기게 되어 임피던스가 높은 리시버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2 특징
CMoy 헤드폰 앰프[2]
Headwize 포럼에 올라온 Chu Moy의 이름을 딴 CMoy를 기점으로 다양한 휴대용 앰프 회로가 업로드되었고, 국내에서는 하스(HAS : Headphone Amp Station [1])를 중심으로 한 자작층이 형성되었다. 초기의 회로는 구성의 용이성을 위해 주로 OPAMP를 사용하였으나, BJT, FET를 이용한 Class AB, 디지털 증폭 소자를 이용한 Class D 앰프 등 다양한 앰프가 만들어졌다.
Sony PHA-2
이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USB DAC를 내장하여 휴대용 USB 사운드카드로 활용할 수 있게 되거나, 디지털 입력(Coaxial, S/PDIF 등)을 받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이 생기기도 하였다. 이렇게 추가된 기능으로 인해 늘어난 전력 소모를 기존의 건전지로는 감당할 수 없게 되어 리튬-이온 등의 이차 전지를 사용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3]
사용법은 소스 출력단과 헤드폰 앰프의 입력 단자를 오디오 케이블로 연결하고 헤드폰 앰프의 출력 단자에 헤드폰을 연결한다.
디지털 입력 기능이 있는 경우 아이폰/안드로이드/터치/소니 워크맨을 헤드폰 앰프의 USB 단자에 연결할 수 있다.[4]
3 여담
요즘 나오는 포터플 헤드폰 앰프들의 성능은 대부분 준수한 편이다. 골든이어스에 휴대용 헤드폰 앰프 리뷰를 참고하면 좋다. 골든이어스의 경우 측정 환경이 엉망이고 데이터를 자의대로 해석하니 보지 말도록 하자. 주로 해외 리뷰[5]나 국내 시코 등의 사이트를 참고하는것이 좋다. 라고 자의적으로 비판하시는...?(요즘은 표준을 따르는 모습을 보이나 요즘 앰프 리뷰가 없다)
소스 기기의 출력 임피던스로 인해 화이트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디지털 입력을 사용하면 해결된다.
워낙 무겁고 귀찮은 존재이기에 결국 안쓰는 사람도 적지 않다. 일반인들은 말할 것도 없고 오디오필 사이에서도 고임피던스 헤드폰은 어차피 실내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 없다는 의견도 많다.
현재 휴대용 헤드폰 앰프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는 회사는 소니이다.[6] 디지털 입력은 물론이고 좌우 그라운드 채널이 분리된 출력 방식인 밸런스드 출력[7]을 지원하고 있다.
이대로 가면 추후 휴대용 헤드폰 앰프는 디지털 연결을 넘어 무선 연결(블루투스&와이파이)로 고음질 음원 재생하는 기기로 진화할 가능성이 높다.(오디오 테크니카에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앰프가 있긴있다)- ↑ 85dB 이하. http://www.eknews.net/xe/EU/50402
- ↑ 출처 , 저작권자 Generic Shell
- ↑ 이는 전력 소모의 증가도 그 원인 중 하나이지만 알카라인이나 망간 전지의 경우 방전율이 작아 다양한 기능을 함께 구동하는 것에 걸림돌이 되었기 때문이다.
- ↑ 단, 해당 앰프가 지원하는 기기를 확인할 것. 소니 PHA-1, PHA-1A, PHA-2, PHA-3의 경우 애플 기기 및 워크맨,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지원하나 타 제품의 경우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 ↑ diyAudio [2], head-fi [3]
- ↑ 소니가 원래 무엇으로 시작한 회사인지 생각해 보자.
- ↑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밸런스드 입력을 지원하는 리시버를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