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X

  • 일본 애니메이션 방송국을 찾으신 분은 AT-X 항목으로.

x86 아키텍처 컴퓨터메인보드 표준 규격. (폼 팩터 규격이라고 한다.) 1990년대 중반까지 쓰이던 AT 규격을 대체하기 위해 인텔에서 만들었다. 1995년 발표된 이 규격은 메인보드 뿐만 아니라 메인보드가 설치되는 컴퓨터 케이스와 전원 공급 장치에도 영향을 주었다.

기존 AT 폼 팩터 규격은 IBM-PC AT(286) 시절부터 쓰이던 것으로, 이 때의 메인보드 구조는 확장카드 슬롯과 램 슬롯이 평행하게 줄지어 있었고, 확장카드 슬롯 옆에 CPU가 설치되는 구조였다. 하지만 이 구조는 PC가 발전하면서 문제가 생겼다. 당시 386 PC까지는 CPU 냉각에 방열판만 쓰는 정도였다. 486에 들어서 쿨링팬이 달렸으나 CPU의 발열이 점점 커지면서 쿨러의 크기도 커졌고, 또한 486에서 확장슬롯이 VESA로 확장되면서 확장카드의 길이도 길어졌다. 이 때문에 기존 AT 폼 팩터 규격은 확장카드와 CPU 쿨러의 간섭이 발생하게 된 것.

ATX 폼 팩터 규격은 확장카드 슬롯 위로 CPU의 위치를 옮기고, 램 슬롯을 90도 돌려 CPU 옆쪽으로 옮긴 규격이다. 메인보드 규격이 바뀌니 컴퓨터 케이스와 전원 공급 장치도 바뀌었는데, 이 때부터 전원 버튼이 한 번 누르면 켜지고, 다시 누르면 꺼지는 쇼트 방식으로 바뀌었다. 메인보드에 공급되는 전원의 규격도 이때 확정된다. 또한 컴퓨터 케이스도 ATX에 맞는 규격으로 바뀌고, 쿨링 방식도 바뀌었다.

그리고 OS에서 종료명령을 내리면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는것도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인텔은 이 규격을 430FX 칩셋이 발표된 1995년에 인텔 Advanced/ATX(토르 430FX)라는 ATX 메인보드 레퍼런스로 처음 공개했으나 본격적으로 제품이 시중에 유통된것은 430HX 칩셋이 등장한 1996년이었으며, 시장이 펜티엄 2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거의 정착되었다. 2011년 현재 거의 모든 데스크탑 PC는 이 규격을 기반으로 하여 나오고 있다.

한편, ATX 보드를 180도 돌려서 장착하는 RTX라는 규격도 있다. 뜨겁고 전기 많이 먹는 하마인 그래픽카드가 위쪽으로 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쿨링 효과가 좋다고. [1]

여담으로 ATX 규격으로 출시된 케이스들은 AT규격 메인보드와의 하위 호환성을 가진다.[2] 다만 그 반대로는 불가능.

(다만 최근 나온 케이스들은 전원버튼이 베젤에 붙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AT규격 메인보드는 장착할 수 있지만 전원버튼은 케이스를 직접 개조하는 수밖에 없다. 다만 AT규격 메인보드가 ATX규격 기능까지 가지고있다면 해당없음.)
  1. 이런 형태는 ATX 초창기인 1997~1999년경에 출시된 케이스(대표적으로 세진컴퓨터의 진돗개나 세종대왕 98의 케이스라던가, 성일정밀 프로미디어 케이스)에서도 종종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어째서인지 2000년대 초반에 사장되었다가 최근에 다시 등장했다 (...)
  2. 일반 ATX규격 케이스만 해당한다. M-ATX규격이나 일부 슬림계열은 장착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