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상위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e스포츠
1 개요
브라질의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 현재 IWCA 와일드카드 지역 리그 중에는 가장 강력한 리그이며[1], 경제논리로 보나 리그의 수준으로 보나 시드권 한 장을 브라질 전용으로 분배해야 한다는 의견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그 시드를 와카 한장을 떼어줘야 하는지 아니면 북미나 중국 것을 빼앗아야 하는지는 북미와 중국의 국제대회 폼에 따라 초단위로 의견이 바뀐다
paiN Gaming, INTZ esports, Keyd Stars 같은 인기팀의 극성팬들은 포르투갈어 사용에 국한되지 않고 레딧이나 트위치챗같은 영어권 사이트에서도 어마어마한 화력을 자랑한다. 브라질 용병 경력이 있는 엠퍼러의 이미지가 서양에서 나빠진 것도 북미에서 반시즌의 부진 탓도 있지만 브라질리언들이 매니지먼트와의 트러블로 인한 문제를 오해해서 확대재생산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2016 시즌에는 캐리형 정글러 메타에서 탑캐리팀인 paiN이 롤드컵 멤버에서 크게 바뀌지도 않았는데 몰락하는 반면[2] 정글캐리팀인 지난시즌 준우승팀 INTZ[3]가 대박을 치고 있는 모양이다. 사실 어쨌든 롤드컵 2승에 빛나는 명문팀이 정규리그야 벌점과 탑라이너 정지 탓이라 쳐도 포스트시즌에 6위로 멸망하는 것을 보면 운영 수준은 떨어져도 브라질 리그의 전반적인 개인기량 자체는 빠르게 강해지는 것이 맞는 모양이다.물론 그렇다고 페이커 브라질 검증설같은 개드립을 치는 트위치 브라질리언 말을 귀담아들을 필요는 전혀 없다
만우절에는 이스포츠피디아에서 NA LCS와 브라질의 위치를 맞바꿨다.곧 사실이 될 게시글입니다라는 갓벤 반응이 압권 NA가 어마어마한 현질을 한 2016년에야 별로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어렵지만 롤드컵 종료 시점에서는 paiN 승률>북미 3팀 평균승률이라는 드립이 흥하고 INTZ와의 스크림을 토대로 브라질 만만히 보면 안된다던 아윌도미네이트의 발언이 재조명되는 등 개그와 진지의 경계를 잠시 넘나들기도 했었다. 다만 브라질의 경우 중국 못지 않게 매니지먼트가 개판인 것이 리그의 발전을 저해하는 느낌도 있다.[4]
2016 시즌 1은 INTZ e-sports가 승리.
2 중계
3 참가팀
3.1 paiN Gaming
SirT | Thúlio Carlos | Jungle |
Kami | Gabriel Santos | Mid |
brTT | Felipe Gonçalves | AD |
Picoca | Matheus Tavares | Support |
Leko | Whesley Holler | Sub/Top |
TheFoxz | Renato Souza | Sub/AD |
3.2 CNB e-Sports Club
Aoshi | Franklin Gomes | Top |
Nappon | Carlos Rücker | Jungle |
Vash | Guilherme Del Buono | Mid |
pbo | Pablo Yuri | AD |
Wos | Willyan Bonpam | Support |
Gary | Murilo Choquetta | Sub/Top |
Richardoo | Ricardo Tuness | Sub/Jungle |
Marf | João Piola | Sub/Mid |
danz0r | Daniel Mussoi | Sub/AD |
Gafone | Pedro Ramos | Sub/Support |
3.3 Keyd Stars
Robo | Leonardo Souza | Top |
Turtle | Gabriel Peixoto | Jungle |
takeshi | Murilo Alves | Mid |
esA | André Pavezi | AD |
Baiano | Gustavo Gomes | Support |
BroTher | Gabriel Caetano | Sub/Top |
Bgob | Bruno Giovane | Sub/Jungle |
Deoxys | Luis Gustavo | Sub/Mid |
mascot | Jonathan Paiva | Sub/AD |
verfix | Jorge Silveira | Sub/Support |
3.4 INTZ e-Sports
3.5 g3nerationX
3.6 RED Canids
3.7 KaBuM! e-Sports
3.8 Operation Ki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