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E 로얄럼블 (2012)

WWE 로얄럼블 (2012)
WWE Royal Rumble (2012)
개최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포스터 모델산티노 마렐라
테마Switchfoot "Dark Horses"
일시2012년 1월 29일 일요일 8시(E)/5시(P)
한국시각 2012년 1월 30일 월요일 오전 10시
장소미주리세인트루이스 스캇 트레이드 센터
Scottrade Center in St. Louis, Missouri
관중18,121명
WWE PPV의 순서/해당 PPV의 순서
TLC (2011)로얄럼블(2012)]엘리미네이션 챔버 (2012)/로얄럼블 (2011)로얄럼블 (2012)로얄럼블 (2013)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1 개요

로얄럼블Royal Rumble(2012)은 2012년 1월 29일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스캇 트레이드 센터에서 개최된 WWE의 PPV로, 25번째 로얄럼블 PPV이다.

언제나 그랬듯이 이 이벤트의 백미는 역시 로얄럼블 매치. 이번에는 다시 30인 경기로 진행된다. 개최지가 랜디 오턴의 고향이기 때문에 다들 그의 우승을 점쳤으나...

2 진행

PPV의 전체적인 흐름이나 경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WWE TV쇼나 WWE.com을 통해 공식 확인된 경기에 대해서만 추가바람. 이 곳에 너무 많은 내용을 서술하는 것은 최대한 자제할 것.

3 대진표

순서경기조항승자
1 대니얼 브라이언(C) vs 빅 쇼 vs 마크 헨리 트리플 쓰렛 매치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쉽
대니얼 브라이언
2베스 피닉스&나탈리야&벨라 트윈스 vs 켈리 켈리&이브&알리샤 폭스&타미야4:4 태그팀 매치팀 베스 피닉스
3 존 시나 vs 케인 싱글 매치X[1]
4 드류 매킨타이어 vs 브로더스 클레이싱글 매치브로더스 클레이
5 CM 펑크(C) vs 돌프 지글러 (w/비키 게레로[2]) 싱글 매치
WWE 챔피언쉽
특별 심판 : 존 라우리나이티스
CM 펑크
6로얄럼블 30인 경기로얄럼블 매치
승자는 레슬매니아 28에서 월드 챔피언쉽 경기를 가질수 있다
쉐이머스

3.1 로얄럼블 30인 매치 기록표

등장순서선수제거 수~에 의해 제거제거순서버틴 시간
1미즈2빅 쇼2445:39
2알렉스 라일리0미즈11:15
3R 트루스0미즈25:15
4코디 로즈5빅 쇼2542:12
5저스틴 가브리엘0믹 폴리 & 리카르도 로드리게스46:28
6프리모0믹 폴리32:04
7믹 폴리2코디 로즈86:48
8리카르도 로드리게스0산티노 마렐라53:23
9산티노 마렐라1코디 로즈72:48
10에피코0믹 폴리60:22
11코피 킹스턴0셰이머스1818:11
12제리 롤러0코디 로즈91:00
13이지키엘 잭슨0그레이트 칼리113:58
14진더 마할0그레이트 칼리102:14
15그레이트 칼리2코디 로즈147:59
16휴니코0카르마169:26
17부커 T0돌프 지글러134:59
18돌프 지글러2빅 쇼2620:09
19짐 더간0코디 로즈121:16
20마이클 콜0부커 T & 제리 롤러152:09
21카르마1돌프 지글러171:30
22셰이머스2우승자22:31
23로드 독0웨이드 배럿195:13
24제이 우소0랜디 오턴207:15
25잭 스웨거0빅 쇼238:14
26웨이드 배럿1랜디 오턴214:23
27데이빗 오텅가0크리스 제리코223:43
28랜디 오턴3크리스 제리코285:55
29크리스 제리코2셰이머스2911:54
30빅 쇼4랜디 오턴272:26
  • 파이널 4 : 셰이머스, 랜디 오턴, 크리스 제리코, 빅 쇼
  • 최장시간 생존 : 미즈 (45분 39초)
  • 최단시간 탈락 : 에피코 (22초)
  • 최다 제거 : 코디 로즈 (5명)

4 이야기거리

  • 전반적으로 WWE의 로스터가 부실해졌음을 여실히 보여준 로얄 럼블이었다. 현재도 간간히 경기를 뛰고 있는 부커 T나 제리 롤러는 그렇다치더라도, 마이클 콜까지 합쳐서 해설자 세 명이 모두 30명으로 다시 줄어들어버린 로얄 럼블 자리를 꿰찬 것에 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게다가 작년에 이어 올해도 돌프 지글러가 WWE 타이틀전을 치른 후 다시 참가하였다.
  • 게다가 레전드 엔트리로 세 자리(제리 롤러까지 친다면 넷)나 때워버렸다. 현재 WWE에서 에이전트로 일하고 있는 로드 독이나 긴밀한 관계를 유지 중인 믹 폴리 정도까지는 충분히 반가웠고 활약도 꽤 있었지만, 핵소우 짐 더간은 그냥 엔트리 때우기에 지나지 않았다.
  • 1999년부터 2011년까지 12년간 계속되어온 케인의 로얄 럼블 개근 기록이 깨져버린 것에 대해서도 아쉽다는 의견이 많다. 게다가 케인이 존 시나와의 싱글 매치를 치른 것이 로얄 럼블에서 빠진 직접적인 원인이기에, 언제나 그랬듯이 까임의 화살이 시나를 향하기도...
  • 2011년 WWE와의 계약을 끝내고 나갔던 그레이트 칼리가 깜짝 출연했다. 그 후 정식으로 재계약했다.
  • 임신으로 인해 공백을 가지고 있었던 카르마도 컴백. 이로써 카르마는 로얄 럼블에 참전한 역대 세번째 디바[3]가 되었고 휴니코를 탈락시키며 건재함을 과시한다. 물론 얼마안가 돌프 지글러에게 탈락되지만...
  • 레슬링 커뮤니티 등에서는 전체적으로 셰이머스의 우승에 대하여 약간 탐탁치 않아하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다. WWE내의 입지와 각본 상황을 생각했을 때 충분히 우승후보감이긴 했지만 그래도 뜬금없이, 그리고 1년여 만에 복귀한 제리코나 고향에서 참가한 랜디 오턴이 우승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었기 때문에 결과를 보고 다소 실망이었다는 의견이 적지 않은 편.[4] 프로레슬링 관련 소식통 등지에서는 원래 제리코가 우승할 계획이었지만 제리코가 5월에 다시 WWE를 떠나는 관계로 사위에 의해 셰이머스의 우승으로 변경되었다는 루머도 돌고 있다.
  • 셰이머스는 개인 기록상 2번째 출전한 로럼에서 2명을 탈락시키고 22분간 버텨 우승함으로써 22번으로 출장해서 우승을 차지한 2번째 인물이 되었다.[5] 여담이지만 인터넷상에 떠 있는 영상 파일을 받아보면 셰이머스의 등장은 영상 시작 후 2시간 22분째다. 레슬매니아에서의 타이틀전도 2번째 경기로 배치되며 완벽한 행보를 마무리.
  1. 더블 카운트아웃으로 처리되었다.
  2. 특별 심판인 존 라우리나이티스에 의해 시작 전 퇴장조치를 받았다.
  3. 첫번째는 차이나(99, 2000), 두번째는 베스 피닉스(2010).
  4. 다만 어차피 2012 레슬매니아의 포커스는 시나와 더 락이 차지할게 뻔하기 때문에 유명한 스타를 우승 시키는것보다는 신예를 우승시키는게 나을수도 있기는 했다.
  5. 첫번째는 트리플 H. 게다가 트리플 H는 2002년 우승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