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우(1950)

34998.jpg

1950년 6월 6일 출생

국내의 정치/국방 부문 학자들 가운데 손꼽히는 핵문제 전문가로 알려진 인물이다. 본래 동시통역 분야에서 활동하다가 핵문제의 중요성을 깨닫고 뒤늦게 국제정치학을 전공, 뉴욕주립대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대한민국 국방부 산하의 연구기관인 한국국방연구원(KIDA)에서 활동하던 중인 1990년대 초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핵주권론'을 주창했다. 하지만 당시 그의 주장은 독자적인 핵연료 재처리 및 농축의 포기를 골자로 하는 노태우 정부의 한반도 비핵화선언과 배치되는 것이었으며, 결국 국방연구원을 떠나야 했다.

이후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새정치국민회의 서울 강남을 후보로 출마하였다가 낙선하였다. 국민회의 후보였다는 점이 의외일 수도 있는데, 당시 김진명도 국민회의 공천을 받아 서울 송파을에 출마했다. 당시 국민회의가 정체성이 어울리지 않는 이 2명을 국회의원 후보로 공천한 것은 지역구에 후보가 없었기 때문이다. 어차피 당선가능성이 희박한 서울 강남지역이라 아무나 땜빵으로 세운 것이다.[1]

국민회의의 당론이 핵주권론이었는지는 추가바람.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자유민주연합 공천을 받아 서울 강남을에 다시 출마하였으나 역시 낙선하였다.

2000년대 초 국방연구원 연구위원으로 복귀한 후로는 북한의 핵위협에 맞서기 위한 강한 안보태세를 강조하는 전형적인 보수 학자의 면모를 보였으며,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견해를 숨기지 않았다.

2011년 통일부 산하의 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의 원장으로 임명되었다.국방 전문의 보수 학자가 진보 성격이 강한 통일 관련 연구기관으로 갔다는 점에서 어색한 것은 사실인데, 일단은 넘어가자

하지만 2012년 8월 "일본과 독도에서 개발되는 자원을 공유하자"는 주장을 하여 논란을 빚었다. 당시 그의 주장은 '일본이 한국의 독도 영유권을 확실히 인정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는 것이었지만, 문제가 문제인지라 야당과 여론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결국 문제의 발언의 책임을 지고 통일연구원장에서 사임했다.

지금은 2013년 4월부터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석좌교수로 활동 중.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김태우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실제 당에 관계없이 어떻게든 출마라고 하고 싶어서 정치판을 기웃거리는 지역유지나 유명인들이 상당하다. 당선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에 지원자가 없는 지역구의 경우 정체성 상관없이 이런 사람들로 대충 땜빵하는 사례가 대부분. 이런 사람들은 선거때마다 나타나다가 마지막에는 허경영의 공화당 같은 곳으로 흘러간다. 호남에 출마하는 새누리당 후보들, 대구/경북에 출마하는 민주당 후보들 상당수는 이런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