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건 리드

DX3_MeganConcept.png

1 개요

Megan Reed. 데이어스 엑스: 휴먼 레볼루션의 등장인물. 일본판 성우는 소노자키 미에. 북미판 성우는 미셸 버백(Michelle Boback)으로, 본작에서 아담 젠슨 역을 맡은 일라이어스 투펙시스의 실제 아내이다.

2 상세

아담 젠슨여자친구이자 데이빗 사리프의 조카. 사실상 백수막장루트를 밟은 아담에게 새 삶을 살 기회를 준 은인이다. 게임 작 시점에선 워싱턴에서 중대 발표를 하기 위해 준비중이었으나, 용병들이 연구소를 완전히 박살내는 와중에 아담을 자론 나미르로부터 구해주고, 살해당한다. 죽기 전에 아담에게 뭔가 고백하려고 했었지만, 재수없게 프랭크 프릿차드가 엘리베이터에 끼어드는 바람에 미처 말하지 못했다. 게임이 시작되자마자 메건의 이메일을 읽어볼수 있는데, 신체에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나노입자를 발견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디트로이트 경찰청에서 부검기록을 확인하면 목뼈가 부러지도록 강하게 목이 졸려 죽었다는 기록을 볼 수 있다. 이 사실을 메건의 어머니에게 그대로 전달할 수도 있고, 고통없이 죽었다고 하얀 거짓말을 할 수도 있다.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컷신을 자세히 보면, 나미르는 메건의 뺨을 때린 뒤 그녀를 바로 죽이지 않고 데려간다.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 아리에 밴 브루겐이 보험용으로 숨겨놓은 통신 영상에서 자오 연 루자론 나미르가 과학자들의 '납치'운운하며, 살아있었다는 것을 입증한다.

엘리자 카산은 과학자들이 죽은 것처럼 표시된 것은, 그들이 장착하고 있던 GPL 임플란트[1]가 제거되었기 때문이라며 아담에게 아이사야스 산도발과 나미르의 통신을 보여준다.

산도발이 GPL 임플란트를 빼내려고 시도했다는 사실을 알아낸 아담은 산도발을 찾아내 메건을 비록한 다른 과학자들의 위치를 묻지만, 정작 산도발은 능력이 딸려서 못 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임플란트를 해체하는 대신 그 신호만 억제하고 있다는 사실을 가르쳐 준다.

단서가 막막한 상황에서 같은 연구진이었던 셉첸코[2]의 GPL 신호가 뜬금없이 헹샤에서 나타나고, 신호를 추적한 아담은 수술을 마친 통시홍이 당당히 셉첸코의 팔 Aug를(...) 끼고 있는 것을 목격한다. 다시 모든게 막막해지려는 가운데 통은 벨타워의 화물선이 헹샤에 정박해 있으며, 어떻게든 숨어들면 그들의 본진으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가르쳐 준다.

급한대로 컨테이너의 한 냉동 포드에 들어간 아담은, 며칠 후 싱가포르에서 깨어난다. 그곳은 '오메가 랜치'라는 비밀 연구 단지였고, 셉첸코를 제외한 연구원 3인방을 찾아낸 아담은 셉첸코가 죽기 전 준비한 바이러스를 신호 억제탑에 침투시켜 GPL 신호가 잡히게 만든다.

하지만 아직 메건의 신호는 잡히지 않고, 그녀가 시설 핵심부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아담은 자론 나미르를 무찌르고, 휴 대로우의 방[3] 에서 아무탈없이 잘 있는 메건을 목격한다. 이 때 문 열리는 소리에 뒤돌아서 뭔가 뒤적뒤적 하던 메건이 "자론, 이제 왔어?" 하면서 뭔가 심상치 않게 대답하는데, 침대 보면 베개도 두 개고 하니 뭔가 썸씽이 있었던 것일까. 게다가 변명이랍시고 떠드는 얘기를 들으면 아담이 끝날 때까지 테이크다운 안 건 게 용하게 보인다.

어서 나가자는 아담에게 메건은 그럴 수 없다는 소리를 하고, 분노한 아담은 너 찾자고 지구 반바퀴를 돌았는데 뭐야, 너도 한 패였어?! 라고 말한다. '사실을 말 하려고 했는데', '납치된 건 진짠데' 둥의 CASIE가 불필요할 만큼 빤히 보이는변명으로 거짓 들통나서 안절부절한 모습을 보이며 메건은 대로우가 일루미나티의 계획을 막으려 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지만... 대로우가 생방송으로 보여주는 일루미나티의 계획을 막을 방책이란 전세계의 Aug 착용자를 폭주시키는것. 대로우에게 낚여서 졸지에 전세계를 생지옥으로 만든 과학자가 되어버린 것이다.[4] 후속작에서 나오는 바에 따르면 사상자가 무려 5천만 명이나 발생한다!

메건은 아담보고 휴 대로우를 말리라고 판체아로 가라고 닥달해서 아담은 메건과 다른 과학자들을 돌려보내고이 썅년은 자기 구하겠다고 죽었다 살아나서 그 목숨을 또 바치고 겨우 만나 배신당한 거 확인하고도 이 악물고 사지로 가는데 작별인사조차 제대로 안 한다 혼자서 판체아로 향한다. 이후로는 등장 없음.

그러나 엔딩 후, 크레딧이 전부 올라갈때까지 기다려보면..

"아, 리드 박사. 환영합니다. 당신이 우리 회사로 와주다니 정말 기쁘군요."
"그럼 제가 어디 갈 다른 데가 있나요?"

엔딩 이후 페이지 산업에 들어가 버렸다.[5] 그리고 밥 페이지와 그녀가 나누는 대화에선 나노 바이러스가 언급된다!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하이론 프로젝트 때처럼 속아버렸다라는 식의 변명이 붙을지도 모르겠으나... 결국 원흉은 원흉. 그나마 건진 게 있다면 화이트 헬릭스 랩의 전소로 완전히 날아갈 뻔한 아담의 유전자를 확보하고, 나노 Aug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 [6]

3 맨카인드 디바이드

직접적으로 등장하지는 않는다. 사리프 말로는 버사라이프가 있는 로스엔젤레스로 이주했다고 하는데, 정황상 판체아 사건 이후 아담과의 관계는 끝장난게 분명하다. 서로 연락도 안 하는듯. 근황을 들은 아담이 'LA로 이사한다는거 자기 어머니에게 말했으려나', 라고 말하는데 상기한 메건 어머니 건을 생각해보면 이래저래 전편에 생겨버린 메건에 대한 불신과 실망은 여전한듯 하다. 메건 쪽에서는 아담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불명.

관련 문서가 나오기는 하는데, 전작 엔딩에서의 나노 바이러스 관련 대화를 의식한 듯 게임상 테러에 사용되는 생체병기인 오키드의 개발에 관여했다고 한다. 역시 만악의 근원
  1. 일종의 위치 추적장치로, 게임 인트로에서 프릿차드가 사리프의 비서에게 추적 방법을 설명하는 그것이다.
  2. 인트로에서 타이푼 시연때 오닐 장군과 동행하는 남성 연구원
  3. 차가운 노란색의 색조가 지배하는 이 게임과 위화감이 들 정도로 이질적인, 앙드레 김선생님 스타일의 흰색 방이다. 감독판 코멘터리에 따르면 온통 흰색이라 개발자 중 하나가 테스트 중에 왜 이 방은 텍스쳐가 안 나오나 고민하기도 했다고. 방 한가운데의 축음기를 사용하면 시리즈 1탄의 파리 스테이지 배경음악이 흘러나온다.
  4. 여담으로 여기에 재미있는 뒷이야기가 있다. 아담의 성우와 메건의 성우는 위에 써있듯 서로 부부 사이인데, 이걸 녹음하던 당일 아침에 진짜로 둘이 싸웠다. 그래서 녹음할 때 일부러 연기할 필요 없이 아주 진짜로 싸우는 것처럼 할 수가 있었다고.
  5. 크레딧을 끝까지 기다리면 볼 수 있다.
  6. 초보적인 형태. LIMB 클리닉의 바이오칩 리콜 낚시에 걸린 경우 하이론 프로젝트 면역 주사를 아담에게 놓아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