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라섬혼검법

1 개요

풍종호의 무협소설 『호접몽(胡蝶夢)』에 등장하는 육대세가 중 모용세가에 전해지는 비전검법이다.

수라섬혼검법(修羅閃魂劍法)은 절대경(絶對經)에 근접한 무공으로, 칠백여 년 전 모용세가의 선조가 전승시킨 이래로 단 세 번의 패배 밖에 없었다.[1] 그만큼 뛰어난 검법이지만, 마성(魔性)이 서려 있어서 그동안 익혀왔던 모용세가에는 후손이 쌍둥이만 태어나는 저주가 일어난다. 수라섬혼검법을 포기하면 그러한 저주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나, 가문의 적들에게 패하여 후계자가 죽는 불상사가 일어나니 모용세가에서는 검법을 포기할 수 없었다. 그래서 쌍둥이 중 한 명만 거두고, 남은 아이는 먼 신강(新疆)의 흑산에 가문의 비상시를 대비하는 그림자 묵린영(墨燐影)으로 살아가게 한다. 즉, 세상의 소문이 무서워 비밀리에 아이를 버려왔던 것이다.

모용세가에서는 이 마성을 극복하기 위해 양대현문(兩大玄門)에 전해지는 태극혜광검(太極慧光劍)과 수미혜광검(須彌慧光劍)을 취합하는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나 큰 성과를 얻지 못하고, 그러던 차에 백여 년 전에 세쌍둥이가 태어나는데, 이 중 한 아이는 묵린영조차 되지 못하고 가문으로부터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 그래서 세상으로 뛰쳐 나가고, 그 아이가 기연을 얻어 나중에 유아독존(唯我獨尊)의 천잔영(天殘影)이라 불리워지게 된다. 그가 나중에 신강으로 돌아와 자신이 익힌 일수일보(一手一步)의 비결을 전해주고, 이를 통해 모용세가는 양대현문의 혜광검에서 드디어 혜광섬혼검(慧光閃魂劍)을 완성하게 된다.

세상에는 혜광섬혼검이 오래 전부터 모용세가에 전해진 것처럼 알려졌지만, 실상은 백여 년 밖에 안된 것이다. 이 혜광섬혼검은 수라섬혼검의 공격성을 약화하고 방어를 강화한 열두 번째 수라섬혼검과 같은 것으로, 세상에 불패검(不敗劍)이라 불리우며 육대세가의 논검회(論劍會)에서 백여 년 간 무적을 자랑한다. 그러나 이 혜광섬혼검을 완성했음에도 모용세가는 저주에서 벗어날 수는 없었다.

2 초식

  • 건곤수리장(乾坤袖裏掌) : 혜광섬혼검의 일부로, 단순한 검의 파지법(把持法)을 뛰어넘는 수법이기에 독자적인 방식으로 아예 일가(一家)를 이룰 수 있다고 인정받는 장법이다.
  1. '절대무적의 그', 천절(天絶) 조수인, 천잔영에게 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