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 오페라

1 개요

스페이스 오페라(Space Opera)란 우주에서 펼쳐지는 모험, 서사시 스타일의 SF 소설을 지칭한다. 사실 명칭 자체는 비명칭으로, 우주+드라마(Space+Soap Opera)라는 뜻이다. 이런 비칭으로 시작된 장르이지만, 이후에 아예 《스페이스 오페라》라는 제목의 소설이 나오고, 《스타워즈》나 《스타 트렉》과 같은 공전절후의 타이틀들이 나오면서 이미지의 대반전이 이루어졌다.

실제 과학적인 요소보다는 외계나 과학빙자한 신화전설에서 모티브를 따오거나 유명 모험물의 영향을 받은 우주 모험 소설, 만화, 영화 장르 전반을 일컫는다. 따라서 라이트세이버는 이러저러해서 불가능하다 등등 스페이스 오페라를 과학적으로 따질 수는 있겠지만, 창작자도 애초에 딱히 그런 거 신경쓰고 만드는 건 아니므로 별 의미는 없다. 게다가 '라이트세이버는 실현 가능하다', '먼 미래에 어떻게든 실현된다'라는 식으로 넘어가기도 한다. 스페이스 오페라에서는 포스 같은 초능력이나 Q처럼 과학과는 거리가 먼 우주적 존재들이나 초자연적 요소들이 자주 등장한다.

2 SF인가?

일부 SF 팬들은 스페이스 오페라를 SF의 일부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사실 SF의 정의와 범위는 팬덤 사이에서도 오랜 논쟁 거리들 중 하나이다. 하지만 하드 SF도 SF에 속하는 분류 중 하나이기도 하므로 하드 SF만 SF라고 할 수도 없으며,[1] 현재 몇몇 구 SF 팬덤을 제외하면 신규 SF 팬덤과 SF를 처음으로 접해본 대중들은 스페이스 오페라를 SF로 인정하고 있는 분위기다.

기본적으로 스페이스 오페라 작품들의 대다수가 SF를 베이스로 판타지적 요소를 어느 정도 버무린 분위기의 작품들[2]이 대다수이기에 판타지적인 요소가 가미된 SF작품들[3]을 통틀어서 스페이스 오페라로 분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도 있겠다. 아니면 최소한 외계인이라도 나온다.

하지만 스페이스 오페라 내에서도 일부 작품[4]들은 하드 SF적인 요소들, 즉 양자 순간이동이나 인공지능과 같은 최신 기술들이나, 상대성 이론에 의한 시간 지연현상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엄격하게 이건 맞고 이건 아니다와 같은 태도는 지양하는 편이 좋다.

3 인기

서브컬쳐SF 소설 또는 게임의 장르가 거의 '스페이스 오페라' 정도로 SF 장르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 이유는 하드 SF를 창작하기 위해선, 과학적 고증이 철저해야 되기 때문에, 창작자 입장에선 매우 까다롭다.[5] 소프트 SF는 미래사회의 사회적 문제 및 사건을 중심으로 다루기에 인문학정치학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상대적으로 과학적 고증으로 부터 자유롭고, 소프트 SF의 사회적 요소에 잘 얾매이지 않아도 되는 스페이스 오페라는 창작자들에게 무난한 편이다. 그리고 우주를 여행하는 모험극과 외계인과의 전쟁, 마법과 같은 과학 기술 등, 대중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소재들이 많기 때문에 대중성을 확보할 확률이 SF내에서 매우 높은 편이다.[6]

SF의 불모지라고 불리는 한국에서도 SF라면 대부분 스페이스 오페라를 떠올리며, 곳곳에서 스페이스 오페라 형식의 창작물들을 발견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스타워즈》와 《스타크래프트》 그리고 《스타 트렉》을 꼽을 수 있다.

4 대표 작품

5 주요 소재

  1. 만약 하드 SF처럼 오로지 과학의 이론이 철저하게 고증을 지키면, 미래사회의 사회적 특성을 중심으로 다룬 소프트 SF는 SF라고 부르기 어려울 수 있는 부분들이 있다.
  2. 현실의 지구의 미래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든, 아니면 아예 현실의 지구와는 완전히 다른 세계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든 상관없이 작게든 크게든 현실의 인류는 먼 미래, 혹은 먼 과거가 배경이라도 가지기 힘든 초자연적인 무언가가 등장하는 작품들이 거의 대부분이다.
  3. 스타워즈포스건담 시리즈뉴타입, 혹은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사이오닉이 좋은 예가 될 수 있겠다.
  4. 주로 모던 스페이스 오페라라고 불리는 1980년대 이후 작들
  5. 조금 틀리는 것은 어느정도 '옥의 티'으로 치더라도 상당히 틀릴 경우에는 비판이 거세게 나오기 때문이다.
  6. 반대로 인터스텔라와 같은 상당히 심오하고 복잡한 주제를 한 SF가 흥행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인터스텔라는 하드 SF처럼 물리학 이론의 고증이 완벽하지는 않다.
  7. 세계 3대 SF 프랜차이즈 중 하나이자, 이 타이틀에서 유일하게 미국 작품이 아닌 다른 나라 작품이다.
  8. SF이지만 과학 기술보다는 초자연적인 능력과 그 능력으로 인해 벌어지는 권력 싸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SF 세계관에서 정치 싸움이나 전쟁을 하는 세계관, 혹은 한정된 자원이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작품은 어떻게든 《듄》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면 된다.
  9. 작가가 본래 정통파 SF 작가라서, 작품의 별 의미없는 요소인 우주 노트 시합 같은 곳에서 이상한 고퀼리티함이 뽐어져 나온다.
  10. 70년대에 나온 원작은 스페이스 오페라의 성향이 강하지만, 21세기 들어 나온 리메이크작은 외계인이나 빔포 같은 것도 없고 과학적 묘사도 진지하여 하드 SF에 가까운 분위기를 풍긴다.
  11. 이 분야의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인 작품 중 하나이자, 세계 3대 SF 프랜차이즈 중 하나. 단, 몇몇 사람들의 오해와는 달리 '최초의' 스페이스 오페라는 아니다. 첫 번째 영화가 개봉된 1977년쯤 되면 웬만한 SF물과 스페이스 오페라물의 주제는 거의 다 탐구된 시기이고, 그 주제를 영상으로 옮길 일만 남은 때였다.
  12.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스페이스 오페라 게임.
  13. 세계 3대 SF 프랜차이즈 중 하나. 트레키를 비롯하여 영미권 사회 전반에 영향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모티브는 서부극에서 많이 따왔기 때문에 전형적인 스페이스 오페라로 간주된다.
  14. 1988년에 극장판으로 시작한 애니메이션이 있으며 2017년에 프로덕션 I.G가 신작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한다.
  15. 스페이스 오페라라기보다는 룰북이자 세계관.
  16. 그것도 우호적인 쪽보다 적대적인 성향의 외계인들. 물론 반대로 우호적인 외계인도 클리셰급으로 등장한다.